한 줌의 먼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37
에벌린 워 지음, 안진환 옮김 / 민음사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타임>>지가 선정한 현대 100대 영문 소설작품 중 하나이기도 한 <<한줌의 먼지>>는 영국의 작가 '에벌린 워'의 경험이 반영된 책이다. 작품 속 주인공들은 희극 무대에 등장하는 유쾌한 배우들 처럼 보이나 사실은 비극적 종말을 향해 달려가는 인물들이다. 도덕적 가치가 상실되며 무엇이 우선인지를 잊고 살아가는 이들의 모습은 세상과 단절된 또 다른 세상을 살아가는 이들의 삐뚤어 지고 망가진 모습이기도 하다. 이러한 작품 속 주인공들을 등장시키고 바라보는 가운데서 등장하는 작가의 해학과 풍자는 <<한 줌의 먼지>>가 왜 현대 100대 영문 소설 작품인지를 보여준다.

 

<<한 줌의 먼지>>는 '토니'와 '브렌다 라스타' 부부의 파경을 중심을 통해 영국 상류사회의 허식과 속물 근성을 보여준다. 작품의 성격은 유쾌한 희극을 보여주지만 그 결말은 충격적이며 비극적이다. 그렇기에 작품 서두에 등장하는 "다친 사람은 없었지요?"라는 문장은 더욱 의미심장하게 다가오는 문장이다. 작품에 등장하는 이들은 모두 비극으로 가는데 일조하는 인물들이다. 반면 주인공 부부의 파경과 비극적 결말에 대하여서는 책임 지는 사람들이 없다는 것 또한 특징이라면 특징이라고 할 수 있을듯 싶다. 이러한 모순을 비집고 들어가서 파헤치는 작가의 필력은 가식적인 인물들에 대한 경고이자 지적의 힘을 보여준다. 그렇다면 이 작품은 풍자를 넘어선 그 무언가가 숨어 있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실제로 작가는 자신의 경험을 살려서 글을 썻다. 그렇기에 작품 속 인물들의 모순을 더욱 잘 이해하였을지도 모른다. 작가는 그들의 삶에 대하여 비록 날카로운 펀치를 날리지만 그들을 책망하기 보다는 그들 자체를 독자들에게 보여주려고 한것인지도 모르겠다.

작품을 읽는 동안 작품 속 인물들의 삐뚤어지고 망가져 버린 도덕관념과 가치관들은 독자로 하여금 허탈과 어이없음을 선사할지도 모른다. 상류사회에 속한 이들의 망가진 모습은 이미 웃음과 기쁨을 주는 대상을 넘어서 상실감을 안겨준다. 책의 제목대로 <<한 줌의 먼지>>처럼 작품 속 인물들의 삶은 공허하며 허황되고 위선적이라고 말하고 싶다. 반면 작품 속 주인공들을 책망하기 보다는 동정심이 가며 애정이 가는 것은 '망가져 버린 현실'사회로 이야기 되는 인물들을 대변하기 때문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해본다.

 

너무나도 해학적이고 풍자적인 인물들의 설정과 그들의 몰락을 통해 독자로서 그리고 사회와 시대를 함께 살아가는 이로서 슬픔과 연민을 함께 느끼는 작품이라고 말하고 싶다. '정상적인 삶'을 살아가는 가운데서 내면적 망가짐을 가지고 살아가는 '비정상적인 삶'의 주인공들이 펼치는 한편의 드라마는 곧 우리 자신의 자화상의 또 다른 모습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