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것이 산산이 부서지다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71
치누아 아체베 지음, 조규형 옮김 / 민음사 / 200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30년 아프리카의 나이지리아 출신인 '치누아 아체베'는 아버지가 목사인 기독교 가정에서 태어나서 문학과 사학을 전공하였다. '치누아 아체베'는 아프리카의 탈 식민지화를 말하며 민족의식과 문화 차이에 대하여 글을 남겼으며 아프리카 인들에게 의식의 방향을 올바르게 잡아주기 위해서 노력한 작가이다. 28세라는 젊은 나이에 집필한 <<모든 것이 산산이 부서지다>>는 영국 제국주의가 들어오는 19세기 말을 배경으로 하여 쓰여졌으며 당시의 상황과 등장인물들을 통하여 아프리카의 도덕과 문화를 바로 세워나가기 위하여 쓰여졌다. 젊은 나이에 작성한 글이라고는 믿기 어려울 정도로 <<모든 것이 산산이 부서지다>>는 잘 짜여진 한편의 영웅 서사시와 같은 느낌을 주는 글이다. 주인공 '오콩코'는 전형적인 아프리카의 영웅적인 모습을 가지고 있다. 호전적 영웅의 표상이기도 한 '오콩코'는 전사라는 표현이 어울릴정도로 강인한 체력과 정신 그리고 보수적인 성향을 가진 인물이기도 하다. 반면 '오콩코'는 여성적인 것을 부정하며 아버지와 대립하기도 하며 다혈질적이고 적극적인 성향으로 말미암아 실수도 저지르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인간의 장단점을 모두 가지고 있되 누구보다도 뛰어난 전사로 묘사되는 '오콩코'의 이야기는 아프리카의 힘의 원천을 보는 듯한 착각을 느끼게 한다.

아프리카의 문화에 대한 묘사와 부족민들의 생활상 등은 책의 전반부에 상당히 자세히 그리고 세밀하게 묘사되어 있다. 독자는 아프리카의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문화를 보고 그리고 그들의 삶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바라봄을 통하여 우리는 아프리카의 미개성에 대하여 다시한번 생각해 볼 시간을 가지게 된다. 그들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문화의 가치에 대한 판단은 <<모든 것이 산산이 부서지다>>를 통해서 보류된다. 한편 '오콩코'의 마을로 들어온 '백인교회'로 인한 혼란과 백인들로 넘어가는 힘의 추는 독자들이 생각하는 식민주의 시대를 보여준다. '오콩고'는 아프리카 민족의 고유의 문화와 백인의 문화 충돌의 현장에서 살아가는 인물이며 그는 아프리카의 문화의 대표이자 의지로서 백인들과 대립한다. 문화와 문화의 충돌가운데서 벌어지는 상황의 변화와 갈등 구조는 과거 식민주의의 침탈로 고난을 받아왔던 여러 국가들의 이야기를 다시한번 생각하게 만든다.

탈식민주의를 표방하며 아프리카 민족의 문화와 내면을 보여주는 <모든 것이 산산이 부서지다>>는 '문화와 문화의 충돌' 가운데서 벌어지는 혼란과 가치관의 몰락과 변화를 보여주는 뛰어난 작품이다. 이제는 아프리카의 고전으로서 인류학 보고서이자 아프리카의 문화 보고서인 이 작품이 수많은 독자들에게 알려준 것은 단순히 민족주의의 작품이 아닌 세계에 알리는 '문화충돌'의 보고서이자 '아프리카의 참 모습'이라고 말할 수 있다.

혼란의 시대를 살아가는 '젊은이들'에게 그리고 아프리카를 알지 못하는 이들에게 '오콩코'의 비극적 삶의 최후와 아프리카에서 벌어지는 일들의 보고는 검은 대륙 아프리카를 넘치는 에너지에 대한 절제와 균형으로 잘 조절하여 독자들에게 펼쳐내는 수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