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감 프레임 - 몸으로 생각하라
로렌스 D. 로젠블룸 지음, 김은영 옮김 / 21세기북스 / 2011년 2월
평점 :
절판


  인간의 오감, 지각의 세계로 이끌다. 

  <오감 프레임>은 우리가 살아가면서 느끼는 지각능력인 청각, 후각, 미각, 촉각, 시각을 연구하여 각각의 능력을 개발한 연구를 종합적으로 설명한 책입니다. 독자는 오감을 향상시키고  향상된 오감을 이용한 다중감각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그리고 지각과학이란 무엇이며 어떠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는지를 배울 수 있습니다. 하나의 예를 들자면 다중감각의 활용은 상호간의 소통과 뇌기능을 상승시키기 공감각 능력과 언어 능력 향상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오감 프레임>의 저자가 말하는 지각 능력의 세계는 최근 뇌연구의 발전과 지각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더해져서 새롭게 알려지고 주목되고 있습니다. 책에서는 시각 장애인이 산악자전거를 타고 , 와인감별사가 맛을 음미하고 빈티지를 맞추거나 후각에 의존하여 사물을 분별하는 능력을 통해 지각능력에서 우리가 알지 못하는 것들을 보여줍니다.
  <오감 프레임>에서 독자는 잊고 지냈던 지각 능력을 깨닫고 이를 끌어내어 적용하는 모습을 보며 지각과학의 세계로 여행을 떠나면서 새로운 것들을 배울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시각, 청각, 후각, 촉각, 미각의 세계

 영화  ’구르믈 벗어난 달처럼’에 등장하는 맹인 검객 황정학(배우 황정민)은 두 눈이 보이지 않음에도 파공음과 반향음을 듣고 상대를 구분하여 빠른 검술을 선보입니다. 맹인 검객 이야기는 영화나 소설 속 이야기라고 말하겠지만 실제로 영화 속 인물처럼 소리의 반향정위법을 이용해서 산악자전거 스포츠를 즐기는 팀(미국의 박쥐팀)이 있습니다. 그들은 일반인도 힘들다는 산악자전거를 자전거의 바퀴 소리과 입에서 내는 소리가 주변에 반사되어 나오는 반향음을 듣고 장애물을 피해 달립니다. 
  <오감 프레임>에는 평소 우리가 생각하지 못했던 능력 혹은 특별한 개인기를 보여주는 이들이 등장하지만 동시에 그 능력을 개인 또한 소유할 수 있는 능력임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시각 장애인 자전거 단체 박쥐팀, 시각장애인 야구팀, 와인 빈티지를 맞추는 와인 감별사등은 타고나면서 뛰어났다기 보다는 후천적으로 능력을 개발한 이들입니다. 즉 일반인도 오감 훈련을 거친다면 특정 감각에서 충분히 상승된 능력을 손에 넣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새로운 지식의 보고 <오감 프레임>
  
  각각의 감각을 높이기 위해서는 감각에 맞는 훈련을 해야 하는 것이 물론입니다. 하지만 퇴화된 감각을 다시 살리고 높아진 감각을 얻는 과정은 쉽지만은 않습니다. 볼거 다보고 들을거 다듣고 맡을거 다맡으면서 맛도 느끼고 촉감도 잘느끼며 살아가는데 왜 오감을 개발해야 할까요? 단순히 사람들의 흥미를 이끌어 내는 수단으로 오감을 개발하거나 눈을 감고 생활하기 위해서 청각을 극대화 시킨다면 큰 의미가 없을 것입니다. 
  <오감 프레임>을 통해서 배우는 오감 개발은 단순히 지각 능력의 새로운 연구결과를 깨닫는데 있지 않습니다. 감각영역을 응용하여 다른 부족한 감각을 채우는 대표적 사례인 독순술(입술을 통해 상대의 대화를 읽는 능력)의 다중감각적 기능은 단순히 언어를 읽는다는 것이 아닌 언어의 지각의 이해를 넘어서는 영역까지도 닿아 있습니다. 뇌의 지각 능력을 오감을 통한 훈련에서 높일 수 있다고는 하지만 동시에 그것을 적용하는데는 많은 어려움이 따르기도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어려움과 적용과 응용의 어려움이 <오감 프레임>의 독자가 기대했던 저작 목적을 더욱 혼미하게 만듭니다. 
  만일 독자가 <오감 프레임>을 통해 새롭거나 뛰어난 지각 능력개발을 기대하면서 읽는다면 만족할만한 답변을 얻을 수 없을 수도 있습니다. 분명 책은 인간의 다섯 가지 감각을 흥미롭게 설명하고 이를 훈련할 수 있도록 도와주지만 구체적인 방안은 실려있지 않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오감 프레임>은 지각과학이라는 새로운 영역으로 이해의 지평을 넓혀주고 우리의 실생활 가운데 사용되는 지각 능력을 개발 가능함을 인식시키는 역할은 충실히 해냅니다. 또한 다중감각을 통해 뇌가 정보를 수집하고 대인관계에서 상대를 파악하는 높은 능력의 원천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의 답도 책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단순히 말을 잘하고 글을 잘쓰고 생각을 잘한다기 보다는 각각의 능력을 개발하고 발전시켜 하나로 묶어낸 연결점을 찾아내는 연구는 오늘날에도 끊임없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오감 프레임>은 우리에게 지각과학이라는 연구와 심리학의 새로운 연구 영역을 가르쳐 주며 새로운 지식의 세계로 인도하는 책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