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개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21
미겔 데 우나무노 지음, 조민현 옮김 / 민음사 / 200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페인 출신의 '미겔 데 우나무노'는 초기 실존주의자이자이자 14개 언어에 능통한 석학이다.
<<안개>>는 기존의 스페인 소설들을 무너뜨리기 위해 새로운 신 소설로서 만들어진 작품이며 작품 속 등장인물들과 작가는 허구이면서도 실제를 혼돈으로 내모는 관계를 보여준다. 철학적이며 새로운 시대로 나아가려는 그의 <<안개>>는 가공의 인물이 서문을 쓰고, 주인공이 기르던 개가 에필로그를 장식하는 파격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특히 작가 자신과 소설 속 등장인물의 대화는 보는 이로 하여금 강렬함을 안겨준다.

<<안개>>는 제목 그대로 허구와 실제 가운데 등장하는 애매모호한 기운이 휩쓰는 작품이다. 몽환적인 비현실적인 공간과 리얼리즘으로 점철된 공간 가운데 소설 속 주인공 '아우구스토'는 창조주인 '미겔'과 꿈과 현실 가운데 만나고 이야기 한다. 작품 속 주인공들은 그들의 창조주에 대하여 반항할 수 없다. 주인공의 삶은 창조주의 뜻에 따라 움직이며 그 결말에 대하여 고민하고 고뇌하나 결국 창조주의 의지대로 마무리된다. 그러한 기존의 작품에 반하는 <<안개>>속 주인공은 창조주인 '미겔'과의 대화를 통해 자신의 의지를 주장하며 심지어는 명령한다. 작가는 고뇌하며 작품 속 주인공의 의지에 맞춰 글을 쓴다. '아우구스토 페레스'의 죽음과 에필로그에 대하여 작가와 주인공이 기르던 개가 말하는 그의 삶에 대하여 우리는 철학적이며 대단히 실험적인 작품을 만났다는 인상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처음 부터 끝까지 그저 평범하게 전개되는 평이한 작품들과는 다른 관점과 사고를 제시하는 <<안개>>의 특징은 도전적이며 아름다운 작품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인간의 사고가 멈춰지고 모든 틀에 막혀있을때 그 사고의 틀을 깨고 나아가는 새로운 방향이 제시하는 그 끝은 아름답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창조주로서 새로움을 만들어 내지 못하고 담습하는 가운데서 죽은 작품만을 만들어 내는 기성세대에 대한 도전은 <<안개>>라는 작품을 통해서 절정을 이룬다고 말할 수 있다. 소설의 구조를 무너뜨리고 전복시켰다는 평가를 듣는 <<안개>>를 읽어본다면 이 작품이 가지고 있는 실험정신에 아낌없는 찬사를 보낼 것이다.
스페인 문단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실험적인 정신을 전수한 <<안개>>를 통해 새로운 문학 장르로의 한발 나아감을 통하여 보다 넓은 세계로 지평을 넓혀갈 수 있다는 점은 행복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살과 뼈를 가지고 살아있는 인간' 그러한 인간이 살아 숨쉬는 작품 그리고 주인공은 이미 그러한 인간의 모습을 가지고 <<안개>>속에 존재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