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위의 남작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7
이탈로 칼비노 지음, 이현경 옮김 / 민음사 / 200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탈리아에서 태어난 문호 '이탈로 칼비노'의 <<우리의 선조들>>3부작에 속한 <<나무위의 남작>>은 경쾌하고 즐거운 상상력이 발휘된 글이다. 반면 가벼워 보이는 글 가운데 인간과 사회의 갈등을 생각하며 지적하는 작가의 글 속에서 이탈리아 문학의 거장인 '이탈로 칼비노'의 진면목을 느낄 수 있다. 나무위라는 한정된 공간 가운데서 세상을 바라보며 영향을 미치는 '남작 코지모'의 모습을 통해 이상적인 인간의 모습을 살펴보는 것은 참으로 즐거운 일이라고 생각한다.
<<나무위의 남작>>의 추천 키워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나무 위'그곳에 코지모가 있었다.
열두 살에 불과한 코지모가 '나무 위'로 도망간것은 식사시간에 벌어진 권위적인 아버지의 달팽이 요리 때문이다. 먹느냐 마느냐를 놓고 티격태격 하던 코지모는 현실을 도피하기 위하여 평소 자주 올라가던 즐거웠던 '나무 위'로 올라가 버린다. 한정 된 그리고 불안한 '나무 위'라는 공간은 불편하고 좁아보이는 공간으로 인식될 수 있으나 그곳은 주인공 '코지모'에게 있어선 안식처이자 도피처이며 기반이었다.  사고의 틀을 넓히면 전혀 다른 것을 볼 수가 있다. 만일 사고의 틀에 갇힌다면 우리 또한 코지모의 아버지처럼 조만간 금방 나무에서 내려올 수 밖에 없을것이라고 말할 것이다. 그만큼 제한되고 불편한 공간이라는 인식은 우리의 사고를 지배하고 생각을 편협하게 만든다. 반면 코지모는 나무위에서 모든것을 이루어 낸다. 자연을 느끼고 새로운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본다. 코지모의 반항은 가족들로 대변되는 이들의 혐오에 있다. 새로운 관점을 얻기 위한 코지모의 행위에는 다른 사람들과 같은 부분을 일부 포기하였지만 '조망'과 새로운 생각을 얻게된다.
'코지모'는 나무 위에서 공부한다. 그리고 세상과 소통한다. 사람들을 선동하기도 하며 사랑도 나눈다. 그의 독특하고 고집스러운 일생의 삶은 '나무 위'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이뤄진다. 하지만 한정된 공간이라는 수식은 그의 삶에서 해방된 공간으로 바뀌어 진다. 코지모의 삶은 그가 죽고 나서 새겨진 비석 가운데 요약되어진다. 그는 나무 위에서 살았고 땅을 사랑했으며 하늘로 올라갔다.
자유분방함 가운데서 살아간 그의 삶은 오늘날 지식인들 혹은 선구자들이라고 자칭하는 이들이 해야할 일들을 보여준다고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계몽주의' 18세기를 노래하다.
17세기와 18세기의 유럽과 신세계를 휩쓴 사회 진보적, 지적 사상운동의 흐름을 계몽주의라고 말한다. 이성을 통해 인간과 세계의 보편적 원리와 법칙을 찾아내도록 도와줄 수 있는 기준이 된 계몽주의는 코지모가 좋아한 '이성'이 높이 자리매김하며 중심에 자리잡고 있다. 전통과 관습 그리고 보수적 사고체계와의 안녕을 고하는 흐름을 보여주던 계몽주의는 가치와 이성을 중시하는 사고관으로서 코지모가 세상을 바라보며 사고하는 가운데서 등장하는 사회흐름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나무위의 남작>>에 등장하는 코지모는 작가 '이탈로 칼비노'가 말하는 인물 가운데서 이상적인 형태의 인물로 보인다. 그는 낡은 것과 부당한것에 굴하지 아니하며 스스로의 판단과 노력이라는 '이성'을 중심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이야기 한다. 비록 '나무 위'라는 공간 가운데에 자신의 몸을 두지만 '이성'은 세상을 향해 뻗어나가며 시선은 눈에 보이지 않는 곳까지 닿아 세상에 영향을 미친다. 연구하며 공부하는 가운데서 지식의 장을 열어가는 가운데서 '진리'에 가까운 '이성' 획득을 이루고 그 '이성'을 가지고 세상에 영향을 미친 코지모의 삶은 작가 자신의 모습이자 현대인들 그리고 앞장서야 할 이들에 대한 이상적인 형태를 보여준다고 볼 수 있다.
유쾌한 상상력과 즐거움을 가지고 우리는 작가의 꿈을 볼수 있었다. 이 꿈이 현실 가운데 어떻게 적용될지는 모르나 하나의 방법과 나아갈길을 재미있게 묘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책의 가치는 더욱 드높아 진다고 말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