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의 풍차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9
장 지오노 지음, 박인철 옮김 / 민음사 / 200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랑스 남부 프로방스 지방 출신인 '장 지오노'는 활동시절 프랑스를 대표하는 작가였다. 그는 어릴적 그리스의 고전 문학 작품을 접하였으며 작품의 기본을 이루는 토대를 얻어낸다. '장 지오노'의 작품은 전기와 후기로 나뉘게 되는데 자연 친화적인 삶을 기반으로 한 전기와 양차대전 이후 자연의 질서를 파괴하는 비열한 인간들에 대한 현실적 작품들이다. <<폴란드의 풍차>>는 '장 지오노'의 후기 작품에 해당하며 작품 속에서는 '운명'이라는 소재를 가지고 작품 속 코스트 가문의 비극적 모습을 묘사한다. 그리스의 비극 작품의 특징인 '운명'과 인간의 거침없는 도전과 항거하는 '영웅'의 모습 그리고 '운명' 가운데서 아무런 색채 조차도 가지지 못한 인물들의 향연이 펼쳐지는 <<폴란드의 풍차>>는 분명 그리스 문학과는 다른 또다른 '운명에 맞서는 인간>>을 주제로한 생명력 넘치는 글이라고 생각한다.

<<폴란드의 풍차>>를 즐겨볼 수 있는 두가지 키워드를 꼽으라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운명'이라는 이름의 절대적인 힘
화자가 전하는 '폴란드의 풍차'의 영지 주인인 코스트 가계의 주인공들의 죽음은 우리가 보기에
어이없는 하지만 한편으로는 공감이 가는 죽음들이다. 분명 그들의 죽음은 낚싯바늘에 찔려죽거나, 사고사, 열차사고사, 버찌씨가 목에 걸려 죽음, 급사, 자살, 행발불명 등 온갖 방법이 등장한다. 한편으로는 어이가 없지만 '죽음'이란 예고없이 누구에게나 어떠한 형태로든지 방문할 수 있다는 사실에 의거해서 본다면 이해할 수 없는 죽음이 아니다. 우리가 보아야 할 것은 화자가 말하는 코스트 가의 5대에 걸쳐 일어나는 이러한 죽음들 가운데서 '운명'이라는 요소를 살펴 보는 것이다. '운명'은 때로는 잔인하며 광적이며 불가항력적인 폭력성으로 인간을 휩쓸어 버린다. 코스트 가문
을 휩쓴 '죽음'가운데서 우리는 운명의 한 단면을 발견할 수 있으리라.
둘째, '영웅'적인 이들의 등장
고대 그리스에서 등장하는 영웅들의 특징은 바로 운명에 맞선다는 것이다. 그들은 신이 주관하는
시련과 고난의 시험 가운데서 그것을 헤쳐나갈 것을 주문 받기도 하지만 비극적 최후가 기다리더라도 운명에 맞서 싸우며 인간의 힘을 보여준다. 코스트 가문을 휩쓰는 죽음 가운데서 우리는 영웅들을 찾아볼 수 있다. 힘이 세고 강해서가 아니다. 그들은 코스트 가문에는 저주와 죽음이 흐른다는 편견을 비웃고 그 운명에 맞서 싸워 나가는 이들이다. 대표적인 인물은 바로 조제프이다. 그는 코스트 가문의 비극적 인물인 쥴리와 결혼한 인물이며 영지를 살려내는 역할을 맡고 있다. 그의 역할은 코스트 가문을 지켜내며 운명을 물러나게 만들며 운명의 저주받은 영지가 아닌 낙원으로 변모시키는 힘을 보여준다.

<<폴란드의 풍차>>는 코스트 가문에 불어 닥친 운명과 가문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이야기이다. <<폴란드의 풍차>>속에는 다양한 이들이 등장하며 가문의 인물들을 제외하고 화자는 다른 이들에게 익명을 붙이고 있다. '운명'이라는 거대한 힘 앞에서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방관자적인 입장에 놓인 이들에게 이름조차도 붙여지지 않은 것 또한 작가의 또다른 메시지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폴란드의 풍차>>를 보며 비극적인 죽음과 몰락을 보며 나름대로 카타르 시스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운명'이 가진 힘으로 가계가 몰락 하는 가운데서 나타나는 폭력성에 취할 수 있다면 반대로 '운명'을 비키게 하는 인간의 힘 또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삶'과 '죽음' 가운데 '인간'이 서있다. '운명'은 분명 무시무시한 혹은 인도자의 힘이다. 그러나 그 가운데서 등장하는 주인공은 바로 '인간'이다. '삶'의 흔들림 가운데서 우리는 '비극'이 가진 힘에 눌리지 않으며 감정의 카타르시스를 느낄 수 있도록 이끌어 나가는 '장 지오노'의 <<폴란드의 풍차>>는 그리스가 아닌 프랑스 문학 작품을 대표하는 승화된 문학 작품의 새로운 지평이라고도 평할 수 있을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