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생의 마지막 저녁 식사 - 살아가는 동안 놓쳐서는 안 되는 것들
루프레히트 슈미트.되르테 쉬퍼 지음, 유영미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0년 11월
평점 :
절판


"잃어버린 시간을 만드는 요리사"-루프레히트 슈미트 

  죽음을 앞둔 이들에게 연명이 아닌 평안한 임종을 맞이하게 해주는 봉사활동을 가리켜 호스피스라고 합니다. '호스피스'는 인간의 존엄성과 남은 생의 질을 높이는 봉사로 방문자들을 섬깁니다. 아직 한국에는 낯선 용어이지만 삶의 질과 인간의 존엄성, 그리고 '호스피스'서비스를 요구하는 이들이 증가하는 가운데 '호시피스' 또한 계속 증가할듯 싶습니다.

  독일 함부르크에 자리한 '호스피스'기관인 '로이히트포이어'(역:등대의 불빛)의 요리사 루프레히트 슈미트는 '호스피스'의 정신과 이상을 실현하고 있는 분입니다. 슈미트는 매일 호스피스 사람들의 주문을 받아 그들이 원하는 요리를 만듭니다. 슈미트의 요리는 남은 생을 모르는 '호스피스 입주자'들에게 음식을 통해 지나간 세월의 기억을 되돌려주는 의미있는 일입니다.

  <내생의 마지막 저녁 식사>는 단순히 죽음을 눈앞에 둔 이들이 먹게 되는 만찬이 아닙니다. 슈미트의 요리는 추억의 요리이며 방문자들은 슈미트의 요리를 통해 "자기 생의 의미"를 다시 생각하는 시간을 갖게 됩니다. 


  "마가린 비빔밥이 먹고 싶어요"-요셉아저씨


  책을 읽으면서 생각나는건 내 삶을 되돌아보면서 느껴지는 음식과 관련된 기억이었습니다. '호스피스'에 방문했던 이들이 추억 속 음식이 슈미트의 손에 의해 만들어져 올라 눈앞에 두는 순간의 소회들은 숙연하면서도 깊은 감동을 줍니다. 누구나 한번쯤 어릴적 추억의 음식을 가지고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글을 쓰는 필자 또한 어릴적 어머님이 영양을 보충해주기 위해서 만들어주셨던 음식이 생각납니다. 음식을 눈앞에 둔 이들은 비록 그 음식을 입안에 넣지 못할지라도 음식의 향과 모습만으로도 깊은 감동을 느낍니다. 이들이 만난 음식은 단순한 음식이 아닌 추억이기 때문입니다.

  살아갈 날이 얼마 남지 않은 이들에게 음식이 얼마나 가치있는가를 말하기 보다는 '추억의 가치'를 담은 음식이 이들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들을 갖게 됩니다. 


  "촛불이 켜져 있는가? 아니면 켜져 있지 않은가?"


   '로이히트포이어'의 현관에 초가 켜져 있으면 입주자 중 누군가 세상을 떠났다는 표시입니다. 세상을 떠나는 이들이 언제 어떻게 어떠한 죽음을 맞이할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하지만 추억을 다시한번 맞이하고 남은 시간이나마 생의 의미를 찾은 이들에게 죽음은 절망이 아닌 잠시간의 이별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부모의 마음을 이해하고 아내와 남편이 소통하고 홀로 사는 이들이 자신의 마음을 여는 모습들을 보면서 필자는 '호스피스'의 의미를 다시한번 살펴봅니다. 남은 생의 시간을 늘릴 수 없지만 입주자들의 하루를 가치있게 만드는 순간들을 제공하는 슈미트의 요리.

  만일 우리의 삶에서 마지막 저녁 식사가 있다면 여러분은 누구와 어떤 음식을 식사하고 싶으신지요. 사랑하는 아내와 그리고 부모님을 만나고 오늘 하루도 눈을 뜨고 살아 숨을 쉬며 글을 읽고 쓸수 있는 이 시간을 감사합니다. '삶의 의미'를 생각하고 살아가지 못하는 우리에게 '삶의 의미'를 가르쳐 주는 <내 생의 마지막 저녁 식사>.

  '삶', 이웃, 학우, 지인, 그리고 가족의 소중함을 다시한번 생각할 수 있는 이 순간이 여러 독자분들에게도 함께 하였으면 좋겠습니다. 
 

우리 몸속에 어느날 멈춰 설 시계가 째깍대고 있지 않다면 인생은 지옥일 거예요.

즐거움과 행복이 없겠죠.

이 상태가 유한하다는 것을 알기에 열정적으로 삶을 향유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