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계사를 움직이는 다섯 가지 힘 - 욕망 + 모더니즘 + 제국주의 + 몬스터 + 종교 ㅣ 다섯 가지 힘
사이토 다카시 지음, 홍성민 옮김 / 뜨인돌 / 2009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역사는 암기과목일까? 필자가 고등학교때 배운 한국사는 분명 암기과목 이었다. 조선시대의 역대왕들을 외우고 통치기구와 군왕들의 업적과 정책을 모조리 외웠다. 통치기구 명칭을 연대별로 정리하고 조정을 이끄는 대신들의 이름과 당파를 외우던걸 생각하면 분명 역사 과목은 암기과목이었다고 생각한다. 지루하고 따분했던 역사 수업은 그저 외우고 또 외우는 암기의 연속이었다. 도대체 역사 속 흥미진진하고 재미있는 일들을 이렇게 재미없게 만들 수 있다니 대단하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연표에 살만 붙여서 줄줄줄 외우는 작업을 언제까지 반복할까?
역사는 픽션이 아닌 논픽션이지만 우리는 픽션의 요소에 치중한 역사를 좋아한다. 논픽션이 강조된 역사는 이미 질려버렸다.
그러나 사실에 근거한 논픽션 역사는 우리들의 정서와 문화의 근본을 형성하며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를 바르게 이해하는데 필요한 매우 귀중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역사를 통찰하고 이해한다는 것은 인간과 관계된 흐름을 파악하는 작업이기도 하며 동시에 우리의 미래 방향을 제시하는 효과를 안겨준다. 이러한 역사의 긍정적인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역사의 다면적인 시각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이뤄져온 역사 공부는 대부분 눈에 보이는 영역들을 원시-고대-중세-근현대사에 맞춰 쭈욱 나열된 것을 외우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공부는 역사를 지루하고 재미없는 그리고 지극히 비생산적인 경험으로 각인시킨다.
<세계사를 움직이는 다섯 가지 힘>은 '시험'을 위한 역사 공부용으로는 어울리지 않지만 역사 이해와 통찰력의 안목을 늘려주는데는 도움을 준다. 역사라는 커다란 다면체를 상하좌우 그리고 멀리 때로는 가깝게 보기 위해 저자는 '인간의 감정'이 만들어낸 다섯가지 힘 욕망, 모더니즘, 제국주의, 몬스터(자본주의, 사회주의, 파시즘), 종교라는 주제코드를 가지고 세계사의 흐름을 정리한다. 이러한 정리 과정은 지루하고 따분했던 역사 수업의 피해자와 그리고 역사공부에 입문하고 싶은 독자들에게 역사에 대한 흥미와 재미를 유지하면서 의미와 목적을 찾도록 도와준다.
픽션에 빠져서 엉뚱한 역사를 좇는 이들은 논픽션에서 재미를 찾지 못하는 이들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서두에서도 밝혔지만 논픽션의 역사에도 분명 재미있고 즐거운 부분들이 많이 있다. <세계사를 움직이는 다섯가지 힘>다루고 있는 사건과 테마들이 그러하다. 세계의 중심 축이 움직이는 거대한 힘을 '인간의 감정'이라고 보는 저자의 관점은 비록 순환사관에 의한 다람쥐 쳇바퀴를 연상시키지만 쳇바퀴를 돌리는 축이 무엇인지를 분명하게 제시하고 있다. 독자가 역사의 축이 어떠한 것인지를 확인하고 알아가는 시간들도 책을 읽는 즐거움일 것이다.
<세계사를 움직이는 다섯 가지 힘>은 세계사의 전체적인 흐름을 보고 질문을 던지고 답변할 수 있도록 만드는 안목을 길러준다. 만일 이 책을 읽고 저자의 생각에 의문을 가지고 질문을 던지고 답변할 마음이 드는 독자가 있다면 진심으로 축하하고 싶다. 왜냐하면 역사에 관한 자신만의 사관을 가지고 역사에 대한 이해를 추구하기 시작했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역사를 사랑하고 좋아하는 이들이 단단하고 갑갑한 껍질 속에서 깨어나 좀더 유연하고 독특한 개성적인 안목이 길러지기를 소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