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을 말하다 - 이덕일 역사평설 조선 왕을 말하다 1
이덕일 지음, 권태균 사진 / 위즈덤하우스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왕을 말하다. _ 이덕일 역사평설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조선시대에 기반을 둔 제도와 영향은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 유교, 성리학, 문중 의식과 족보를 중시하며 가부장적인 제도들 한국에 남아있는 조선시대의 흔적이자 유물이다. 한국은 국제화의 흐름에 맞춰 세계적인 추세를 따른다고 말하는 이들도 있지만 동시에 한국은 역사 속 영향력이 사회 곳곳에 미치는 가운데서 발전하고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즉 조선 역사를 살펴 보는 것은 현대 한국 사회를 이해하는 과정과 서로 연결된다.

  역사를 바라보고 이해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리고 그 역사를 어떠한 관점을 가지고 보느냐는 더욱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다. 왜냐하면 역사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들에 따라 때로는 하나의 사건 하나의 시대에 대한 해석조차도 전혀 다른 이해와 결론으로 도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직선사관, 민중사관, 영웅사관, 순회사관 등 다양한 역사이해의 관점들은 모두 하나하나가 소중하다. 헌데 이러한 역사적 관점은 기술하는 역자에 따라 편향적이고 객관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다는 사실도 독자들은 인식해야 한다. 그리고 역사이해의 관점이 악용되어 특정한 목적을 지향되어 전달된다는 사실을 독자는 주의하여야 한다.

  역사가는 다양한 사관 가운데 자신의 목적을 가지고 역사를 바라보면서 역사가 가지고 있는 본질과 의미를 왜곡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렇게 왜곡된 역사의 기록이 오늘날 우리 손에 들어오고 후대에 적용될때 우리는 왜곡된 역사와 문제점을 고스란히 역사관으로 받아들이고 인식하게 되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

  이러한 오류를 피하기 위해서도 독자는 역사서를 읽을때 저자의 관점이 얼마만큼 공평하고 정당하게 평가되어 반영되었는지를 따져보아야 한다. 흥미와 재미는 그 다음 문제라고 생각한다. 역사는 논픽션이 아닌 픽션이기 때문이다. 제아무리 성군이라 할지라도 왜곡된 역사 기록가운데 폭군으로 뒤바뀔 수 있으며 이러한 왜곡이 자리하는 가운데 왜곡된 역사관을 진실로 받아들이는 이들이 많다는것 또한 인정해야 한다.

  저자인 이덕일의 책 <조선왕을 말하다>를 읽게된 동기는 앞서 기술한 내용의 필자의 생각들과 저자의 생각이 상당부분 일치하는데서 출발하였다. 저자는 우선적으로 우리가 가지고 있는 역사의 사료들의 재평가를 통해 당위성과 진실성들을 파헤친다. 그리고 각 사료 가운데서 왜곡된 부분을 바로 잡고 숨겨진 부분들을 들춰내는 가운데 역사를 말한다. 이렇게 말하는 저아의 역사이해가 왜곡된 부분을 반영한 기존의 여러 역사책들과 전혀 다른 관점과 결론으로 귀결되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저자와 함께 성리학적 관점과 당파적 관점을 걷어내고 조선의 왕을 바라볼때 왜곡된 역사의 무서움을 볼 수 있다. 그리고 그 왜곡의 정도와 시간이 길수록 진실과 거짓에 관한 논쟁은 치열할 수 밖에 없다. 하나의 진실이 성립되고 받아들여지기 위해서는 다른 한쪽이 부정되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예가 바로 연산군일 것이다. 조선의 몇안되는 왕의 호칭이 없는 군주 연산군은 신하들에 의해 쫓겨난뒤 권력자들의 정당성을 위해서 왜곡과 날조를 거듭한 기록에 파묻혀 본래의 모습이 지워진 대표적인 조선의 군주이다. 그리고 이러한 왜곡과 날조에 대해 연산군은 의미심장한 말을 남긴다.

<연산군 부부 초상화, 연산군이 당시 민중신앙의 숭배대상으로 섬겨졌음을 유추할 수 있다.> 

유왕·여왕이란 이름이 붙으면 비록 효자나 자애로운 자손일 지라도 백세동안 능히 고치지 못할 것이다. 만약 내가 한 일이라면 모르겠지만 내가 하지 않은 일이라도 여러 역사책에 써 놓으면 장차 어떻게 변명할 수 있겠는가” - 본문 76쪽 연산군 재위365일의 말 -

 

  저자는 연산군에 대한 정당한 평가를 위해서 연산군과 대립하던 신하들의 면면과 그들의 글, 그리고 연산군이 행한 정책과 생활에 대한 여러가지 자료들을 준비한다. 그리고 준비된 자료들 가운데서 허와 실을 구분하기 위해 양자의 세력관계와 시대적 조망을 시도한다. 이 가운데서 독자는 상당부분의 왜곡된 기록물들을 걷어내는 모습을 보게 되지만 동시에 연산군의 고립된 권력자의 모습을 함께 보게된다. 왜곡의 역사를 태동하는 기반을 제공하는 이는 다름아닌 연산군 자신이었다는 사실이 독자를 혼란스럽게 만들면서 동시에 반면교사적인 가르침으로 군주와 신하, 즉 나와 다른 이들의 소통의 필요성에 관한 교훈을 알려준다
 

 이전이나 지금이나 많은 CEO들과 정치가들은 역사서와 역사 속 인물들을 좋아한다. 많은 아이들이 꿈을 위해 영웅들과 인물들을 모델로 삼는다면 성인이 된 독자들은 역사 속 인물을 통해서 교훈을 이끌어 내어 삶에 적용한다. 주의할점은 역사는 거울과도 같아서 보는 이의 잘못된 부분을 비춰주는 기능을 하지만 그 거울이 평평하지 못하고 더럽다면 결국 역사의 거울 앞에선 이들 또한 잘못된 교훈을 반영하는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크다. 실패한 권려자의 말로를 통해서 군주의 실패를 반복하지 않는 것을 우선하여 바로 잡아야할 가르침이 군주의 흠을 끄집어내서 침소붕대하여 쿠테타의 빌미로 삼는 도구로 악용되지는 말아야 할 것이다.

  역사를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사료들에 대한 날카로운 분석과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으려는 저자의 모습에서 역사평설의 공평함이 엿보인다. 책 곳곳에 들어가있는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기록물들과 깔끔한 내용구성은 독자의 가독성을 높기오 있으며 저자 이덕일은 그동안 제대로 평가되지 못했던 역사 속 군왕들을 재평가함으로서 왜곡된 역사를 바로잡고 정당한 평가가운데서 우리의 모습을 비춰볼 수 있는 거울을 제시하는 뜻깊은 작품을 남겼다고 생각한다.  

 

<좌측부터 연산군 부부묘, 연산군 생모 윤씨의 무덤>
역사 속 인물들은 모두 무덤에 누워있으나 그들의 이야기는 우리 곁에서 다시 시작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