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를 끝냈다.
  
 이번 토지읽기는 이미 아는 내용, 소설로 익숙한 듯 했으나 처음처럼 새롭게, 다시금 읽혔다.
 처음엔 서희와 길상을 중심으로한 주인공 위주의 인물들이 기억에 남았다면 두번째에는 ‘임이네‘, ‘강포수‘등의 초기 인물들과 질긴 생명력이, 이번에는 ‘송관수‘, ‘정석‘, ‘김강쇠‘, ‘소지감‘, ‘해도사‘, ‘임명희‘... 또 만주에서 연해주에서 활동한 많은 이들과 이름도 없이 사라져간 더 많은 이들의 생애와 발걸음이 내게로 뚜벅뚜벅 걸어들어온 느낌이다.
  관수가 남긴 편지는 오래 남을 것이다.
  참고로 내가 읽었던 토지는 솔출판사에서 찍은 1995년판 16권짜리다. 

            
            
            
            
            
            
            |   "혼자 있을 땐 그럼 어떻게 해요?"해놓고 명희는 무의미한 자신의 물음 역시 선혜가 말하는 공염불같은 것이라 생각한다. 사실 이런 시대, 참담한 이 시대, 언어란 그얼마나 공허한 것인가.
 "사람이야 있으나마나, 백두산 꼭대기에 홀로 있어도 매한가지, 누구 들어달라고 하는 얘기도 아니겠고, 그냥 그래. 그냥 그렇다니까. 너무나 오래가고 길어. 끝도 보이지 않게 길어. 피를 다 말린뒤에 끝날 건가 봐."
 얘기가 끊어졌다.
 칠월도 막바지, 해는 힘겹게 아주 힘겹게 중천에서 이동하고 있었다. 구름은 뭉쳤다가는 흩어지고, 그리고 어딘가를 향해 흘러가고 있었다. 지상의 형세를 비웃듯 유유히. 계절이 데리고 온 더위만은 아니었다. 전쟁의 그 숨막히고 뜨거우면서도 내일이 없는 허공과도 같은 시간이 몰고 온 더위가 한층 참담한 것 같았다. 소개를 독려하고 서두르는 서울의 풍경, 시민들의 소개뿐만 아니라 정부에서는 각종 시설물을 분산하고 있었으며 의용군 조직에 광분하고 있었다. 허물어진 개미집에서 미친 듯 알을 나르고 터전을 재정비하듯, 이런 차중에도 내노라! 했던 작가의 소개기(疏開記) 따위가 신문 구석지에 밀려서 실려 있곤 했다. 전쟁이 끝나기까지 서울로 돌아갈 수 없는 것을 아이들에게 타일렀다는 둥, 옹색한 얘기, 그는 결코 조선 민족의 꽃도 희망도 아니었으며 이제는 총독부의 꼭두각시도 아니었다. 하수인이 가야 할 망각 지대, 언제일지는 - P375
 
모르지만 민족 반역자의 처단이 있을 때까지 망각 지대에 은신하여 일본의 명운에 한 가닥 희망을 걸면서. 칠월 초에는 본토결전부민대회(本土決戰府民大會)가 덕수궁 광장에서 있었고, 수천 대씩 날아와서 일본 본토를 벌집 쑤시듯, 미국 항공기의 활약은 말할것도 없지만 조선땅도 예외는 아니었다. 불과 며칠 전에 일본 사군관구 (4軍管區)에 이천여 기의 B29를 포함한 미군 항공기가 날아와 폭격을 감행했는데 조선에서도 청진(淸津) 부산(釜山) 여수(麗水) 등지에 미군기가 출격했던 것이다. 물론 그것은 처음이 아니었다. 가엾은 일본은 목제(木製) 비행기를 만든다고 안간힘을 쓰고 있는 것이다. - P376
  주거니받거니, 결국 그 안은 없었던 것으로 의견이 모아졌다. 장연학의 현실을 보는 시각은 명쾌했고 판단도 옳았다. 어려움을 감수해야 할 판이었다. 그러나 세 사람 중 특히 강쇠는 서운해했다. 새삼스러울 것도 없는데 늙음을 절감했고 뒷방 신세가 된 것같이, 무용지물인 것 같은 자기 자신을 느꼈던 것이다. 광주리며 체 같은것을 칡넝쿨에다 꿰어서 어깨에 둘러메고 사방팔방 내 집 앞마당밟듯 두루 다니면서 일을 도모했던 시절이 엊그제 같은데, 역발산은 아니었지만 몇 사람은 거뜬히 해치울 수 있던 장사 김강쇠, 죽은 김환의 얼굴이며 송관수 생각도 났고 화살같이 가버린 세월, 황혼의 길목에서 강쇠는 말할 수 없이 쓸쓸했던 것이다. - P403
  "뭐라 했느냐?""일본이, 일본이 말예요, 항복을, 천황이 방송을 했다 합니다."
 서희는 해당화 가지를 휘어잡았다. 그리고 땅바닥에 주저앉았다.
 "정말이냐......"
 속삭이듯 물었다. 그 순간 서희는 자신을 휘감은 쇠사슬이 요란한 소리를 내며 땅에 떨어지는 것을 느낀다. 다음 순간 모녀는 부둥켜안았다. 이때 나루터에서는 읍내 갔다가 나룻배에서 내린 장연학이 뚝길에서 만세를 부르고 춤을 추며 걷고 있었다. 모자와 두루마기는 어디다 벗어던졌는지 동저고리 바람으로
 "만세! 우리 나라 만세! 아아 독립 만세! 사람들아! 만세다!"
 외치고 외치며, 춤을 추고, 두 팔을 번쩍번쩍 쳐들며, 눈물을 흘리다가는 소리 내어 웃고, 푸른 하늘에는 실구름이 흐르고 있었다.
 
 ㅡ끝ㅡ - P4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