思慕 ㅡ물의 안쪽
바퀴가 굴러간다고 할 수밖에 어디로든 갈 것 같은 물렁물렁한 바퀴 무릎은 있으나 물의 몸에는 뼈가 없네 뼈가 없으니 물소리를 맛있게 먹을 때 이(齒)는 감추시게 물의 안쪽으로 걸어 들어가네 미끌미끌한 물의 속살 속으로 물을 열고 들어가 물을 닫고 하나의 돌같이 내 몸이 젖네 귀도 눈도 만지는 손도 혀도 사라지네 물속까지 들어오는 여린 볕처럼 살다 갔으면 물비늘처럼 그대 눈빛에 잠시 어리다 갔으면 내가 예전엔 한번도 만져보지 못했던 낮고 부드럽고 움직이는 고요 - P11
수련
작은 독에 더 작은 수련을 심고 며칠을 보냈네 얼음이 얼듯 수련은 누웠네
오오 내가 사랑하는 이 평면의 힘!
골똘히 들여다보니 커다란 바퀴가 물 위를 굴러가네 - P12
바깥
장대비 속을 멧새 한 마리가 날아간다 彈丸처럼 빠르다 너무 빠른 것은 슬프다 갈 곳이 멀리 마음이 멀리에 있기 때문이다 하얀 참깨꽃 핀 한 가지에서 도무지 틈이 없는 빗속으로 소용돌이쳐 뚫고 날아가는 멧새 한 마리 저 全速력의 힘 그리움의 힘으로 멧새는 어디에 가 닿을까 집으로? 오동잎같이 넓고 고요한 집으로? 中心으로? 아, - P20
다시 생각해도 나는 너무 먼 바깥까지 왔다 - P21
극빈
열무를 심어놓고 게을러 뿌리를 놓치고 줄기를 놓치고 가까스로 꽃을 얻었다 공중에 흰 열무꽃이 파다하다 채소밭에 꽃밭을 가꾸었느냐 사람들은 묻고 나는 망설이는데 그 문답 끝에 나비 하나가 나비가 데려온 또 하나의 나비가 흰 열무꽃잎 같은 나비 떼가 흰 열무꽃에 내려앉는 것이었다 가녀린 발을 딛고 3초씩 5초씩 짧게짧게 혹은 그네들에겐 보다 느슨한 시간 동안 날개를 접고 바람을 잠재우고 편편하게 앉아 있는 것이었다 설핏설핏 선잠이 드는 것만 같았다 발 딛고 쉬라고 내줄 곳이 선잠들라고 내준 무릎이 - P22
살아오는 동안 나에겐 없었다 내 열무밭은 꽃밭이지만 나는 비로소 나비에게 꽃마저 잃었다 - P23
벌레詩社
시인이랍시고 종일 하얀 종이만 갉아먹던 나에게 작은채마밭을 가꾸는 행복이 생겼다 내가 찾고 왕왕 벌레가 찾아 밭은 나와 벌레가 함께 쓰는 밥상이요 모임이 되었다 선비들의 亭子모임처럼 그럴듯하게 벌레와 나의 공동 소유인 밭을 벌레詩社라 불러주었다 나와 벌레는 한 젖을 먹는 관계요 나와 벌레는 無縫의 푸른 구멍을 사랑하기 때문이다 우리의 유일한 노동은 단단한 턱으로 물렁물렁한 구멍을 만드는 일 꽃과 잎과 문장의 숨통을 둥그렇게 터주는 일 한올 한올 다 끄집어내면 환하고 푸르게 흩어지는 그늘의 잎맥들 - P26
묽다
새가 전선 위에 앉아 있다 한 마리가 외롭고 움직임이 없다 어두워지고 있다 샘물이 들판에서 하늘로 검은 샘물이 흘러들어가고 있다 논에 못물이 들어가듯 흘러들어가 차고 어두운 물이 미지근하고 환한 물을 밀어내고 있다 물이 물을 섞이면서 아주 더디게 밀고 있다 더 어두워지고 있다 환하고 어두운 것 차고 미지근한 것 그 경계는 바깥보다 안에 있어 뒤섞이고 허물어지고 밀고 밀렸다는 것은 한참 후에나 알 수 있다 그러나 기다릴 수 없도록 너무 늦지는 않아 벌써 새가 묽다 - P32
길
배꽃이거나 석류꽃이 내려오는 길이 따로 있어 오디가 익듯 마을에 천천히 여럿 빛깔 내려오는 길이 있어서 가난한 집의 밥 짓는 연기가 벌판까지 나가보기도하는 그런 길이 분명코 있어서 그 길이 이 세상 어디에 어떻게 나 있나 쓸쓸함이생기기도 하여서 그때 걸어가본 논두렁길이나 소소한 산길에서 봄 여름 다 가고 아, 서리가 올 때쯤이면 알게 될는지 독사에 물린 것처럼 굳어진 길의 몸을 - P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