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의 시들은 느슨한 시인, 나를 단련시킨다. 그의 ‘시로 씌어진 제사(祭祀)‘를 읽으며 나는 달리기를 준비한다. 신발끈을 조이며 겨울모자를 쓴다. 한 시인이 도착한 어느 순간에 동반하기 위하여 정결하게 옷깃을 여민다. 나의 폐활량이 충분하여 이 달리기가 그곳으로 이르길 바란다. 짧고 간결한 제사, 투명하게 슬픈 제사, 풀벌레와 새소리, 낙과와 울퉁불퉁한 과일과 쓸쓸한 어머니를 위한 제사. 이 아득한 아름다움은 본래 우리의 것이었다. 그러나 얼마나 오래전에 아름다움은 우리를 떠나갔나. 태준의 시들은 그 ‘본래 아름다운‘ 것들을 우리 앞으로 데려온다. 마음먹은 대로 되지않더라도 심란하지 않게 저녁을 잘 보내라는 안부인사다. 이런 짧은 안부인사가 시의 어떤 힘이라는 생각을 하게 한다. 그렇지 않다면 시인들이여, 왜 세계는 가장 가난하고 아름다운 연인으로 우리를 기억하겠는가. 허수경 시인
아침
새떼가 우르르 내려앉았다 키가 작은 나무였다 열매를 쪼고 똥을 누기도 했다 새떼가 몇발짝 떨어진 나무에게 옮겨가자 나무상자로밖에 여겨지지 않던 나무가 누군가 들고 가는 양동이의 물처럼 한번 또 한번 출렁했다 서 있던 나도 네 모서리가 한번 출렁했다 출렁출렁하는 한 양동이의 물 아직은 이 좋은 징조를 갖고 있다 - P10
빈집
주인도 내객(來客)도 없다 겨울 아침 오늘의 첫 햇살이 흘러오는 찬 마루 쪽창 낸 듯 볕 드는 한쪽 몸을 둥글게 말아 웅크린 들고양이 여객(旅客)처럼 지나가고 지나가는 집 - P13
먼곳
오늘은 이별의 말이 공중에 꽉 차 있다 나는 이별의 말을 한움큼, 한움큼, 호흡한다 먼 곳이 생겨난다 나를 조금조금 밀어내며 먼 곳이 생겨난다 새로 돋은 첫 잎과 그 입술과 부끄러워하는 붉은 뺨과 눈웃음을 가져가겠다고 했다 대기는 살얼음판 같은 가슴을 세워들고 내 앞을 지나간다 나목은 다 벗고 다 벗고 바위는 돌 그림자의 먹빛을 거느리고 갈 데 없는 벤치는 종일 누구도 앉힌 적이 없는 몸으로 한곳에 앉아 있다 손은 떨리고 눈언저리는 젖고 말문은 막혔다 모두가 이별을 말할 때 먼 곳은 생겨난다 헤아려 내다볼 수 없는 곳 - P18
그 아무것도 없는 11월
눕고 선 잎잎이 차가운 기운뿐 저녁 지나 나는 밤의 잎에 앉아 있었고 나의 11월은 그 아무것도 없는 초라한 무덤에 불과하고
오로지 풀벌레 소리여 여러번 말해다오 실 잣는 이의 마음을
지금은 이슬의 시간이 서리의 시간으로 옮아가는 때 지금은 아직 이 세계가 큰 풀잎 한장의 탄력에 앉아 있는 때
내 낱잎의 몸에서 붉은 실을 뽑아 풀벌레여, 나를 다시 짜다오 너에게는 단 한 타래의 실을 옮겨 감을 시간만 남아 있느니 - P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