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보
一序詩
팔 하나 없는 김씨의 사연
찡그리면 바코드처럼 주름이 모아지는 노파
몸뚱이 잠깐 내주고
오만원 받은 애기엄마의 사연
전장(戰場)의 사연은 흘러
어디론가 사라져 흔적도 없지만
생의 어느 웅덩이
핏물로 고이는,
대쪽을 깎아 먹물 찍어 기록하는
시인의 수첩 - P9
호랑나비
정지용의 시 「호랑나비」를 읽고 나면 나는 문득 전생을 더듬다 온 듯한 멍ㅡ 함에 빠진다 멍 ㅡ! 그것은 어떤 아득한 묘리에 가 닿았을 때의 느낌이라는 말인데, 이 멍ㅡ 함을 나는 노자의 ‘소국과민‘의 닭 울음소리에서, 서정주의 시「新婦 나 박목월의 시「윤사월」 같은 데서 다시 느끼는 것이다. 고요한 방 타는 향불의 푸르스름한 연기가 곧추 허공에 솟아오르다 두세 번 동글게 맵을 그린 뒤 자취 없이 사라지는 그 아득함이 이 시에 있다는 말인데, 정념이 명주실같이 가늘은 사람이 아니고서는 가 닿을 수 없는 어느 극점에서 호랑나비는 쌍을 지어 날고 있는 것이다 - P75
모든 삶의 생기와 비참을 덮어버리는 달달한 이미지들의 홍수, 이미지들의 무서운 속도와 연쇄에 의해 무너져 무의미로 믹스되는 모든 가치들, 깨어날 수 없을 것 같은 이 매끄러운 사기질의 매트릭스, 그 표면에 박혀 있는 보이지도 않고 예민한 손가락 끝으로나 겨우 느낄 수 있는 화석화된 삶의 까스락지. 그 까스락지를 볼 수 있는 눈이 있다면 그것은 어떻게 보일까? 그것은 우리에게 익숙한 것이었지만 억압되어 없는것이 되어버린 우리 삶의 생기와 비참이 전혀 낯선 것이 되어 다가오는기괴함일 것이다. 조재도의 시는 이 기괴함을 보여준다. 짠맛을 잃지않기 위해 오래 고독을 견딘 소금의 울음이 아니고는 보여줄 수 없는 이기괴함이 아니라면 시의 언어가 어떻게 저 사기질의 매끄러운 매트릭스에균열을 낼 수 있으랴! 김진경 (시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