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이버섯 숲과 대조해보자. 사탕수수 클론과 달리 송이버섯은다른 생물종과 변형적인 관계를 맺지 않고서는 살아갈 수 없는 것이 분명하다. 송이버섯은 숲의 특정한 나무와 어울려 지내는 땅속곰팡이의 자실체다. 이 곰팡이는 숙주 나무 뿌리와 상리공생 관계를 맺는데, 나무에게 양분을 찾아주고 자신은 나무로부터 탄수화물을 얻는다. 송이버섯 덕택에 숙주 나무는 비옥한 부엽토가 없는 척박한 땅에서도 살아갈 수 있다. 그 대가로 곰팡이는 나무에게서 영양분을 공급받는다. 이 변형적인 상리공생 때문에 인간의 송이버섯 재배는 불가능했다. 일본의 연구기관들이 송이버섯을 재배하기 위해 수백만 엔을 들여 노력해왔지만 아직 성공하지 못했다. 송이버섯은 플랜테이션 농장의 환경 조건에 저항한다. 송이버섯에게 필요한 것은 숲의 역동적인 다종적 다양성, 그리고 이를 통해 서로를 오염시키는 관계성이다. - P85
그러나 먼저 불확정성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한다. 불확정성은내가 추적하는 배치에서 핵심적인 특징이다. 지금까지 나는 다음과같은 부정적인 특징을 열거하며 배치를 정의했다. 즉, 배치의 성분들은 오염되었고, 따라서 불안정하며, 배치는 순조롭게 확장되기를거부한다고 말이다. 그러나 배치는 항상 소멸 가능한 것으로 규정되는 것만큼이나 그것이 모으는 무언가의 힘으로도 규정된다. 배치는 역사를 만든다. 형언할 수 없으면서도 현존하고 있는 이러한 조합은 냄새로 확연히 드러난다. 냄새는 버섯의 또 다른 선물이다. - P91
냄새는 규정하기 힘들다. 우리는 냄새의 효과에 깜짝 놀란다. 냄새가 강렬하고 특정한 반응을 일으킬 때조차도 우리는 냄새를 말로 설명하는 방법을 잘 알지 못한다. 인간은 공기를 들이마실 때 숨쉬기와 냄새 맡기를 동시에 하는데, 냄새를 묘사하는 것은 공기를 묘사하는 것만큼이나 어렵다. 그러나 공기와 달리 냄새가 난다는 것은 또 다른 것이 존재한다는 신호이며, 우리는 그것에 이미 반응하고 있다. 반응은 항상 우리를 새롭게 한다. 우리는 더는 우리 자신 또는 최소한 이전의 우리 자신이 아니라 또 다른 것과 마주치고 있는 우리 자신이다. 마주침이란 본래 정확히 규정할수 없는 현상이다. 우리는 마주침을 통해 예상할 수 없는 방식으로 변형된다. 규정하기 어렵지만 명확히 존재하는 혼란스러운 조합 - P94
의 냄새가 마주침에 내재한 불확정성에 대해 알려주는 유용한 안내자가 될 수 있을까? 인간은 불확정성으로 버섯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풍요로운유산을 물려받았다. 미국인 작곡가 존 케이지가 작곡한 짧은 퍼포먼스 곡들로 이루어진 <불확정성 Indeterminacy>이라는 시리즈에는 버섯과의 마주침을 기리는 내용이 많이 담겨 있다.‘ 케이지는 야생버섯을 찾기 위해서는 특정한 종류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것은 마주칠 때 발생하는 모든 가능성과 놀라움을 포함해 마주침이 일어나는 지금 여기here and now에 관심을 두는 것이다. 케이지의 음악은 대부분 이렇게 ‘항상 다른‘ 지금 여기에 관한 것이었는데, 그는 이것을 고전음악에서 나타나는 지속적인 ‘같음 sameness과 대조했다. 그래서 그는 청중이 작곡된 음악만큼이나 주변의 소리도 들을 수 있도록 작곡했다. 그의 유명한 작품 중 하나인 <4분33초433">에서 청중은 어떤 음악도 연주되지 않는 상황에서 듣기만 하도록 강요된다. 케이지는 일이 일어나는 그대로 듣는 방식에 주의를 기울였기에 불확정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 P95
송이버섯 냄새는 나를 물리적인 방식으로 변형시켰다. 내가처음으로 송이버섯을 요리했을 때, 먹음직스럽게 볶아졌음에도 그것은 망친 음식이었다. 냄새가 너무 강해서 나는 먹을 수가 없었다. 그 냄새와 마주치지 않고 다른 채소만 골라낼 수도 없었다. 전 - P97
부 버리고 맨밥을 먹었다. 그 이후부터는 신중해져서 채집만 하고 먹지는 않았다. 결국 어느 날 한 일본인 동료에게 한가득 가져다줬더니 그는 뛸 듯이 기뻐했다. 평생 이렇게 많은 송이버섯은 본 적이 없다고 했다. 물론 그는 저녁 식사로 조금 요리해줬다. 먼저 그는 칼을 대지 않고 버섯을 찢는 방법을 보여줬다. 칼의 금속 성분이 맛을 바꾼다고 했다. 게다가 그의 어머니에 따르면 버섯의 정령이 칼의 금속 성분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그러고 나서 그는 달궈진 팬에 기름을 두르지 않고 송이버섯을 구웠다. 기름은 향을바꾼다고 설명했다. 가장 나쁜 것은 향이 강한 버터다. 송이버섯은 마른 채로 굽거나 국에 넣어야 한다. 기름이나 버터는 요리를 망친다. 그는 라임즙을 약간 뿌린 송이버섯구이를 상에 내놓았다. 훌륭한 맛이었다. 나는 그 냄새에 매료되기 시작했다. - P98
그 후로 몇 주 동안 내 감각이 변했다. 당시는 송이버섯 풍년이어서 어느 곳에나 송이버섯이 있었다. 이제는 살짝 냄새만 맡아도 행복감을 느꼈다. 나는 보르네오섬에서 여러 해 동안 산 적이있는데, 기묘하게 고약한 냄새를 풍기는 열대 과일 두리안에 대해서도 비슷한 경험을 했었다. 처음 두리안을 대접받았을 때는 거의토할 뻔했다. 그런데 그해에 두리안이 풍년이었고, 어느 곳에서나그 냄새를 맡을 수 있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나는 그 냄새를 맡고 설레게 되었다. 무엇 때문에 역겨웠는지 기억할 수 없었다. 송이버섯도 비슷했다. 무엇 때문에 불쾌했는지 더는 기억할 수 없었다. 이제는 냄새가 기쁨이 되었다. - P98
아마도 송이버섯 냄새가 주는 이러한 행복감 때문에 일본인향미 기술자들은 인공 송이버섯향을 제조하게 되었을 것이다. 이제는 송이버섯맛 감자칩과 송이버섯맛 즉석 미소 된장국을 살 수 있다. 내가 먹어봤는데 혀끝에서 송이버섯맛을 조금 느낄 수 있었다. 그렇지만 버섯을 직접 마주치는 것과는 확연히 달랐다. 그럼에도여전히 많은 일본인이 이러한 형태로만, 혹은 송이버섯 밥 또는 송이버섯 피자에 든 냉동 버섯 형태로만 송이버섯을 알고 있다. 그들은 왜 쓸데없이 야단법석을 떠는지 의아해하기도 하고, 송이버섯에 대해 그치지 않고 이야기하는 사람들에 대해 완곡하게 비판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한다. 어떤 것도 그 정도로 좋은 냄새를 가질 수는 없다. - P99
오가와 박사는 많은 아이러니와 웃음으로 노스탤지어를 음미한다. 우리가 송이버섯이 없는 사찰의 숲 옆에서 비를 맞으며 서있는 동안 그는 일본의 송이버섯 사랑이 한국에서 기원했다고 설명했다. 이 이야기를 듣기 전에 알아두어야 할 것이 있는데, 일본의 민족주의자들과 한국인들은 사이가 나쁘다는 것이다. 한국의귀족이 일본의 문명을 시작했다는 오가와 박사의 설명은 일본인들의 신경을 거스르는 발언이다. 그의 이야기 속에서는 문명이 모두 좋은 것만은 아니다. 오가와 박사에 따르면, 한국인은 일본 중부로 오기 오래전에 사찰 건설과 철기를 생산하는 대장간의 연료로 쓰려고 숲의 나무를 베었다. 그들은 한국에서 송이버섯이 자라는, 인간에 의해 교란된 탁 트인 소나무 숲을 가꿨는데, 이는 그러한 숲이 일본에 생기기 훨씬 전의 일이었다. 8세기에 한국인들이일본으로 건너왔고 숲의 나무를 베었다. 소나무 숲은 그런 산림벌채 이후에 갑자기 생겨났고, 그와 함께 송이버섯도 나타났다. 한국인들은 송이버섯 냄새를 맡았고 그러면서 고국을 생각했다. 그것이 첫 번째 노스탤지어이고 송이버섯을 향한 첫사랑이다. 일본 - P101
의 새로운 귀족들이 오늘날 유명한 가을 향기를 처음 찬양한 것은한국을 향한 갈망에서였다고 오가와 박사는 이야기했다. 해외로이민을 간 일본인이 송이버섯에 집착하는 것도 놀랄 일이 아니라고 그는 덧붙였다. 그는 오리건주에서 만난 일본계 미국인 송이버섯 사냥꾼에 관한 우스운 일화로 이야기를 끝맺었는데, 그 사람은오가와 박사의 연구에 대해 일본어와 영어가 뒤섞여 알아듣기 어려운 말로 경의를 표하며 이런 말을 했다고 한다. "우리 일본인은 송이버섯에 미쳐 있어요!" - P102
오가와 박사의 이야기는 노스탤지어를 고려하고 있기에 흥미로웠지만, 또 다른 면도 생각하게 했다. 송이버섯은 심하게 교란된 숲에서만 자란다. 송이버섯과 소나무는 일본 중부에서 짝을 이루며 서식하는데, 둘 다 심각한 산림 벌채가 행해진 곳에서만 자란다. 정말이지 전 세계적으로 봐도 송이버섯은 가장 많이 교란된유형의 숲과 관련이 있다. 빙하, 화산, 모래언덕-또는 인간의 행위 때문에 다른 나무와 심지어는 유기질 토양까지 없어져버린 장소 말이다. 내가 거닐었던 오리건주 중부의 부석 지대는 한편으로는 송이버섯이 잘 서식하는 전형적인 땅이자 대부분의 식물과 여타 곰팡이는 자랄 수 없는 땅이다. 마주침의 불확정성은 이렇게빈곤한 풍경에서 어렴풋이 나타난다. 어떤 개척자가 이곳에 오는길을 발견했으며, 어떻게 살아갈 수 있었을까? 가장 튼튼한 묘목이라 할지라도 바위투성이 땅에서 영양분을 뽑아내는, 그 못지않게 강한 곰팡이를 짝으로 만나지 못했더라면 살아남지 못했을 것이다. (무슨 잎인가? 무슨 버섯인가?) 곰팡이가 성장할 때 나타나 - P102
는 불확정성 또한 영향을 미친다. 곰팡이가 수용적인 나무뿌리를 만날 수 있을까? 기질이나 잠재하는 영양분이 바뀐다면? 곰팡이는 불확정적으로 성장하면서 풍경을 배운다. 인간도 마주침을 겪는다. 그들이 땔나무를 자르고 풋거름을 모으는 동안 우연히 곰팡이를 양육하게 될까? 아니면 함께 자라기 힘든 식물을 심거나 이국적인 질병을 가져올까? 혹은 교외 주택지로 개발하면서 그 땅을 아스팔트로 포장해버릴까? 인간 역시 이러한 풍경에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인간은 곰팡이나 나무처럼) 마주침에서 맞닥뜨린 시련에 대처하기 위해 역사를 소환한다. 이러한 역사는 인간과 비인간 모두에게 결코 잘 짜인 기계장치 프로그램이 아니라 오히려 불확정적인 지금 여기의 응축이다. 철학자 발터벤야민Walter Benjamin이 표현한 것처럼, 우리가 붙잡는 과거는 "위험의 순간에 빛나는 기억이다." 우리는 "이전에 가본 곳으로 뛰어드는 호랑이의 도약처럼" 역사를 재연한다고 벤야민은 말한다. 과학학 연구자 헬렌 베런 Helen Verran은 또 다른 이미지를 제공한다. 호주 욜뉴인 Yolngu이 지내는 의례에서 클라이맥스, 즉 창 하나를 이야기꾼들이 모여 있는 중앙에 던지는 행위가 일어날 때, 조상들의 꿈꾸기에 대한 기억은 현재의 도전으로 응결된다는 것이다. - P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