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나는, 내가 어머니와 함께 있지 않은 시간 동안 어머니가 이곳 병원에서 어떤 생활을 하고 있는지 실제적으로 생각해보게 되었다. 기껏해야 어머니가 하는 일은 식당에서 식사나 하고 하염없이 나를 기다리는 일이 고작일 것이다. 나는 장차 엄청난 죄책감을 느끼게 될 것 같다. 하여간죄책감을 간직한 채 살아간다는 건 생명이 멈추어버린 것과다를 바가 없었다. 나의 삶이 고통과 죄책감으로 소멸되는이치와 같은 것이다. ‘어머니는 곧 ‘나‘임을 실감한다. 

- P57

나는 어머니의 노쇠한 모습, 전과는아주 달라져버린 참혹한 얼굴을 무심코 쳐다볼 수 있을 정도로 어머니의 변화된 모습에 대해서 이미 타성에 젖어 있음을 문득 깨달았다. 어머니가 처음으로 집을 떠나가던 그 끔찍했던 순간이 떠오른다. 어머니는 뭔가 잃어버린 것을 찾는사람처럼 자꾸만 집을 되돌아보았다. (가을이면 사방으로 가로수가 즐비했던 안시에 살았을 당시 그 집 정원에는 거북 한마리가 살고 있었는데 그 거북은 쇠창살 문에 달라붙어 여기저기 기어다니고 있었다. 나중에야 생각난 것은 어머니가 떠날때 찾았던 것이 바로 이 거북이라는 사실이었다. 그러고 나서어머니가 쓴 글이 이것이다. "나는 나의 밤을 떠나지 않는다."
- P90

어머니는 받기보다는 주는 것을 좋아했다. 자신의 품위를 높이기 위해서였을까 아니면 인정받기 위해서 그랬던 것일까? 나 역시 어릴 적에는 사랑받고 인기를 누리고 싶어서그림책과 사탕들을 나누어주길 좋아했다. 그 후론 주는 것을 별로 좋아하지 않았다. 하지만 글을 쓴다는 것, 게다가내가 지금 무언가를 쓰고 있다는 것 자체가 하나의 주는 방법이 아닐까??
- P112

1986년

2월 2일 

일요일어머니의 현재 생활을 이야기하고픈 소망을 가지게 된후로는, 어머니를 문병하고 난 후 지금까지 항상 써오던 일기를 계속해서 쓸 수가 없었다. 아마도 더 이상 글을 쓸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다. 무엇보다도 어머니의 수많은 사연들, 즉 어머니의 과거 속에 내가 존재해 있었고 그때문에 더욱 이 글쓰기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
- P135

4월 7일 월요일

어머니는 돌아가셨다. 이루 말할 수 없이 고통스럽다. 오늘 아침부터 내내 울었다. 지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나는 모르겠다. 모든 것이 고스란히 거기 제자리에 있건만생각은 멈추어버렸다. 그렇다. 정지해버린 것이다 - P145

어머니를 다시 보고 싶은 욕망을 주체할 수가 없다. 이 순간이 오리라고는 상상도 못했고예측조차도 못했다. 어머니가 돌아가시느니 차라리 미쳐서라도 살아 있기를 바랐다.
머리가 아프고 토할 것만 같다. 나는 어머니와 화해하려고 이 모든 시간을 보냈지만 충분히 화해하지 못했다. 어제가 어머니를 마지막으로 볼 수 있는 날이 될 줄은 꿈에도 생각지 못했다.
어제 어머니에게 가져다드린 개나리는 아직도 잼을 담았던 병 속에 꽂힌 채 탁자 위에 있었다. ‘숲속의 과일 이라는 네모난 판자 모양의 초콜릿을 가져다드렸더니 어머니는판 한 줄을 모두 먹었다. 어머니를 씻겨드리고 오데코롱 화장수를 뿌려드렸다. 그게 끝이었다. 어머니는 오직 생명력일뿐 그 외에 아무것도 아니었다. 어머니는 움켜잡고 일어서기위해서 두 손을 앞으로 내밀곤 했던 것이다.
어머니는 가엾은 작은 인형 같았다.  - P146

이젠 어머니의 목소리를 들을 수 없을 것이다
어제 어머니가 한 말들을 아무것도 기억해낼 수가 없다.
아니 기억나는 말이 있다. 어머니는 사람들에게 "자, 모두들자리 잡고 앉으세요."라고 말했다. 대략 이런 말을 했던 것같다.
- P147

내가 이 고통에서 곧 벗어날 수 있게 될까?
일거수일투족을 옮길 때마다 어머니와 관련된 추억들이 오른다. 어쩌면 난 이렇게 나의 고통을 이야기 하고 기록하여 진술함으로써 내부에 존재할 수 있는 모든 고통의 뿌리를 끌어내어 고갈시켜버리고 지쳐버린 고통이 더 이상 작용하지 못하게 하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글쓰기와 함께 고통을 상쇄시켜가고자 했던 것 같다. 이전에 적어놓았던 메모들을 다시 읽어내려갈 수가 없다. 너무도 고통스럽기 때문이다. 가장 끔찍한 것은 어머니가 피폐하기 시작한 때부터 최근 이 년 반 동안의 기록이다. 이 기간 동안 어머니는 나와가까워졌고 그러고 나서 돌아가셨다. 어머니는 다시 어린애가 되었지만 성장하지는 않았다. 자꾸만 어머니에게 음식을먹여드리고 손톱을 잘라드리고 머리 손질을 해드려야 할 것만 같은데 어머니는 계시지 않는다. 지난 부활절 일요일, 깨끗하고 부드럽던 어머니의 머릿결, 그 모든 것이 멈추어버렸다니 믿기지가 않는다.
- P148

4월 28일 월요일

오늘 아침, 계산서에 적힌 막힌 물이라는 말을 읽으면서내가 예닐곱 살 적에 이 말을 꽉 막힌 놈이라고 부르곤 했던기억이 떠올랐다. 내가 부르던 어머니의 별명이었다. 눈물이흘러내린다. 유수 같은 세월의 흐름 때문이다.
- P164

오로지 ‘이분은 내 어머니이시다‘ 라는 생각 외에는 다른 모든 것을 망각하며 지냈던 순간들이었다. 어머니는 더이상 오래전 내 삶의 저편에서부터 이제까지 내가 알아왔던 여자가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머니의 참담한모습에서 언뜻언뜻 비치는 당신 본래의 목소리와 몸짓, 웃음을 발견할 때면 그 어느 때보다도 나의 어머니임을 실감했다.
어떤 경우에도 이 일기를 양로원에서의 장기체류에 관한 객관적 증언으로 읽지 말 것이며 하물며 어떤 고발로도읽지 말고 (간병인 대부분이 정성스런 헌신을 보여주었다)오로지 고통의 잔재로서 읽어주길 바란다.
- P170

‘나는 나의 밤을 떠나지 않는다‘ 라는 말은 어머니가 글로 마지막 문장이다.
치매에 걸리기 전 본래 모습의 어머니를 꿈에서 자주다. 어머니는 마음속에 살아 있지만 실제론 죽었다. 나는잠에서 깰 때마다 잠시 동안 어머니가 죽었으면서도 동시에 이중 형상으로 실제로 살아 있음을 확신한다. 마치 죽올의 강을 두 번 건넌 그리스 신화의 인물들처럼,

1996년 3월 아니 에르노 - P171

어머니의 머리를 빗겨주고 단장해주는이 기쁨이여! 내가 병실에 도착했을 때 어머니와 한 병실에서 생활하고 있는 옆 사람이 어머니의 목과 다리를 쓰다듬고있었던 일이 생각났다. 살아 있다는 건 어루만지는 손길을받는다는 것, 즉 접촉을 한다는 것이다.
- P1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