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1 제12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전하영 외 지음 / 문학동네 / 2021년 4월
평점 :
웬만하면 젊은 작가 상 수상작품집을 챙겨읽으려 노력하는 편이다. 한 해 동안 주목받은 작가 군도 궁금하고 어떤 작가들이 어떤 글들을 쓰는지 알고 싶기도 하다. 또한 문학동네에서 특별 보급 가란 이름으로 저렴하게 펴내기에 그 뜻에 발맞추고 싶은 생각도 있다. 나는 언제나 우리 소설, 우리 시에 진심이다. 누가 뭐래도 (뭐라 하지 않아도) 우리 문학에 관한한 순정파다. 그런 내가 할 수 있는 건 한 편이라도 부지런히 읽고 한 권이라도 사는 것이 우리 문학을 지키는 이들에게 보탬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기도 한다. 하여 딴에는 꽤 부지런히 읽고 수입에 비해 과하게 사는 편이기도 하다. (그렇지. 올해 오른 최저 시급은 이제 시집 한 권을 살 수 있다. 어느 달의 도서 지출 비용은 이틀 치의 일당을 훌쩍 넘긴다. 그렇게 하루하루 일당을 제하고 나면 이게 뭐 하는 짓인지 헛웃음이 나올 때도 있다.)
올해, 올해의 작품집을 읽으면서 드는 생각은 몇 해 전 박상영, 김봉곤 등에 놀랐다면 같은 맥락으로 김멜라, 김지연 등에 놀랍다는 것이다. 늙은, 혹은 낡은 내 정서로는 파격에 가까운 일이 주변부에서 중심으로 이동하는 느낌이다. 소수라는 이유와 다르다는 이유로 차별받지 않는 세상을 꿈꾼다. 애정 하는 우리 문학에서 그 걸음을 걷는 것이 뿌듯하다. 다 옳은 것만은 아니고 다 높은 수준인 것은 아니지만 다양성은 중요하다. 나머지 선택은 독자의 몫이니까.
일하면서 읽느라고 집중력이 떨어지기도 했고 작고 촘촘한 활자는 가독성을 떨어뜨렸다. 어쩔 수 없이 늙은, 아니 낡은 나를 발견하기도 하는 독서의 시간이다. 그런 나를 지켜보는 동료들 한 마디씩 한다. "눈 좋아서 좋겠다." 그래도 여튼 읽기를 마쳤다. 이제 눈 밝은 이들이 찾아 줄 2022년의 젊은 작가들을 기다리는 일만 남았다.
엉뚱한 방향으로 드는 생각, 젊은 작가 군도 요즘 핫한 작가 군도 대부분 여성작가들이다. 괜히 어깨에 힘이 들어간다. 이것은 편가르기라고 요즘 정치가 양반들이 말씀하시겠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