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과학> 파트의 주목 신간을 본 페이퍼에 먼 댓글로 달아주세요.

신간평가단을 하겠다고 지원 댓글을 달던 게 엊그제같은데, 벌써 마지막이라니... 아쉽고 짠하고 마음이 그렇습니다. 게다가, 다달이 좋은 책들은 더 많이 나오고 있고요. 이번 달에는 주목신간 고르기가 더욱더 힘들었습니다. 가리고 가려서 뽑은 이 달의 신간, 책 읽기 좋아진 계절이라 좀 두꺼운 책 위주로 선정해보았습니다. 

 

1. 안전, 영토, 인구 

  미셸 푸코의 말년 강의 가운데 하나입니다. 프랑스든 여기든 이제야 이 강의들이 출간되는 듯 한데요. 푸코는 삶의 권력(생체권력?)과 이데올로기의 관계에 대한 문제를 가장 집요하게 파고들었던 철학자로 유명하죠. 그에게 안전(안보?), 영토, 인구라는 법적 규정들은 어떻게 받아들여졌는지, 그리고 이것을 읽는 사람들과 이 강의를 들었던 사람들은 어떻게 이 개념들을 이해할 수 있는지에 대한 좋은 참고도서가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2. 인정투쟁 

  벤야민, 아도르노, 하버마스 등이 형성한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대를 잇는 악셀 호네트의 대표작이 출간되었네요. 검색에 따르면 재출간인 것 같은데, 여튼 고전들은 언제나 읽혀야 하니까 이렇게 다시 나오는 건 아주 반가운 일이겠지요. 잘 알려져있듯이 인정투쟁은 헤겔의 사회철학에서 처음 등장하는 개념입니다. 고전에 대한 현대적 재해석, 호네트는 우리 사회를 비출 수 있는 거울이 될 수 있을까요? 

 

 

3. 이슬람의 눈으로 본 세계사 

  목차를 보니 이슬람 세계를 중심으로 서술된 세계사인 것 같습니다. 역사, 문화, 사회 등을 통틀어서 서술한 이슬람 입문서들도 숫자가 많지 않은데, 이렇게 한 분야에 집중한 책이 나오는 것도 무척이나 반가운 일이 아닐까 합니다. 사실 역사 쪽 책들을 보면서, 이번 달에도 유럽에 관련된 역사책들이 많이 눈에 들어왔는데, 한번쯤은 (우리도 거기에 소속되어있는) 비유럽에도 눈을 돌려야 하지 않을까요. 

 

 

4. 러시아 문화사 강의 

  이 책을 선정한 의도는 『이슬람의 눈으로 본 세계사』를 선정한 이유와 비슷합니다. 유럽같지만 유럽 아닌 유럽, 마찬가지로 아시아같지만 아시아 아닌 아시아, 하지만 일명 도선생과 톨선생이라는 전세계를 뜨겁게 달구는 대가를 배출한 그곳. 충분히 흥미가 생기는 곳에 대한 적절한 입문서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5. 일본, 한국 병합을 말하다 

  진보적인 성향을 띄는 일본 사학자들이 대한제국 병탄에 대해 발표한 논문들을 모아놓은 책입니다. 한국 근대사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 어쩌면 그 주체라고 볼 수 있는 그 공동체의 일원들이 어떻게 이 역사적 사건을 바라보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은 '객관적 시선으로 우리를 보기' 위해 꼭 필요한 일일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