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비 뱃속으로 들어간 구렁이 한겨레 옛이야기 14
최성수 지음, 윤정주 그림 / 한겨레아이들 / 2001년 7월
평점 :
절판


전설의 고향에서 구미호 이야기를 보거나 이야기 책에서 이무기 이야기를 보면 진심으로 정성을 다한 이의 조급함으로 인해 사람이 못되고 용이 못된 여우와 구렁이에 대한 안타까운 마음이 두고두고 마음에 남는다. 고작 하루를 참지 못한 인간에 대한 원망은 여우가 그 인간과 어머니에게 온 정성을 다하고 그 자신이 간절히 바라는 것을 위해 스스로 엄청난 노력을 했다는 것을 알기에 더 커진다.

기존의 이야기들 때문일까 나는 가난한 선비가 당연히 밥을 뿌릴거라 생각했다. 그러나 눈을 질끈 감고 밥을 씹어 삼키는 선비의 모습은 나를 놀라게 했다. 구렁이라는 것을 알았고(그것도 신령님 비슷하게 보이는 할아버지를 통해) 용이 되기 위해 선비와 그 가족들을 잡아먹을 거란 이야기를 들은 상태에서 나와 가족에게 고맙게 해 준 구렁이 여인이 나를 잡아먹고 용이 되면 그것도 좋은 일이라 말하는 선비는 구미호네 신랑과 비교되어 두고두고 기억에 남을 사람이다.

권선징악이라는 통쾌한 결말이 보장된다는 옛이야기에서도 노력하고 정성을 다하는 동물들이 제 꿈을 이루지 못하는 것은 인간계와 동물계의 넘을 수 없는 구분 때문인지 그야말로 전설의 동물은 전설, 신화 속에만 존재해야 하는 때문인지 나는 아직도 알 수가 없다.

<선비 뱃속으로 들어간 구렁이>에는 다섯 편의 옛이야기가 나온다. 나무도령과 호랑이 아가씨 이야기는 많이 본 이야기인데 구렁이가 등장하는 세 편의 이야기는 낯선 이야기들이다. 특히 선비 뱃속으로 들어간 구렁이는 상상만 해도 끔찍한 이야기다(생각만 해도 속이 안좋다).

옛이야기의 상상력을 떨어뜨리고 각자가 가질 수 있는 개별의 의미를 빼앗는다는 삽화지만 차본한 톤의 색깔과 민화를 떠올리는 그림이 그리 싫지만은 않다. 다만 너무 친절하게 그려줘서 상상을 빼앗는 그림들이 몇 있었다.

'고마워요! 나무도령'에서 보면 동서양을 막론하고 가장 간절한 소원을 상징하는 것은 아이를 갖게 해 달라는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농경사회를 배경으로 힘든 농사일을 누군가 도와줬으면 하는 바람을 볼 수 있다. 또 인물의 특징이 극단적으로 정형화되어 있다는 생각은 별로 들지 않았다. 고마움을 모르고 또 동물에게 함부로 하는 소년이지만 농사일만큼은 꾀부리지 않고(팥쥐처럼 편법을 쓰지도 않고) 얼마나 열심히 몸으로 하는가. 비록 아가씨와 결혼하고 싶은 마음에서 그랬겠지만.  하지만 주의를 배려하지 않는 성실함을 경계하는 우리 조상들과 지은이의 마음을 엿보는 것 같아서 좋았다.

'가난한 선비와 구렁이 여인'에서는 나이 서른이 넘도록 일하지 않고 책만 읽는 선비의 모습이 답답했다. 그리고 선비의 착한 성품을 묘사하면서 "아무리 마음이 바른들 무얼하겠어요? 끼니를 걱정해야 할 만큼 가난한 살림이었으니"라는 표현을 보면서 요즘의 여러 사건들이 떠올라 다시 한번 가슴이 답답해졌다.

옛이야기가 아이들의 무의식을 밖으로 끄집어내어 욕구불만을 해소하고 정신적 성장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면 우리가 아이들에게 옛이야기를 많이 들려주고 보여줘서 옛이야기를 지키고 발전시켜야 할 이유는 분명해진다. 자신이 느끼는 부당함, 불평등함을 다른 사람이 가해하는 것으로 풀어내지 않도록. 가난한 아이들도 세상을 희망적으로 볼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