엊그제부터는 오디를 먹는다. 줄지 않는다. 매년 오디를 맛볼 수 있는 건 권사님 덕분이다. 작년에 앵두를 주신 권사님이다. 크기가 오디였다. 손으로 잡을 수 없었다. 왜냐하면 오디 물이 들었기 때문이다. 젓가락으로 집어먹다가 비닐장갑을 끼고 먹었다. 아, 나는 이런 어른이 돼버렸다. 오디나무의 열매를 보고 반가운 마음에 손으로 마구 따먹었는데 말이다.
어렸을 때 먹었던 오디의 크기는 아주 작았다. 그리고 이렇게 검붉은 쪽에 가까운 색이 아니었던 것 같다. 아마도 개량종 오디나무가 아닐까 싶다. 이상하게도 어릴 적 먹었던 오디의 맛이 그리워진다. 형언할 수 없는 단맛의 기억은 이렇게 크고 탐스러운 오디의 맛과 비교할 수 없다. 뇌가 기억하는 맛이라고 할까. 어쩌면 존재하지 않는 맛일지도 모른다. 잡히지 않는 맛이라는 걸 알면서도 그 오디의 맛을 지울 수가 없다.
하루가 다르게 작았던 열매는 조금씩 커지고 어제보다 힘이 센 더위가 몰려온다. 작년에도 이렇게 더웠던가. 6월에 정말 더웠나? 기억이 나지 않는다. 그냥 더웠다는 것 정도다. 아직 선풍기는 꺼내지 않았다. 하지만 곧 꺼낼 것 같다. 올여름에는 얼마나 많은 비가 올까 걱정이다. 친구와 그런 이야기를 하다가 제습기를 하나 장만할까 싶다고 말했다. 친구도 마찬가지였다. 요즘 제습기는 정말 좋은 기능이 많다고. 정작 제습기 상품 목록을 보내온 건 친구였다. 사용하고 있는 제습기가 있지만 하나 더 있다면 편리할 것이다. 조금 더 고민이 필요하다.
나의 읽기 효율은 낮아지고 있다. 나이 탓을 해야 할까. 집중력이 떨어지는 게 당연하니까. 그러나 읽고 싶은 마음은 아직 충분하다. 김연수, 김기태, 비비언 고닉의 책을 샀다. 비비언 고닉의 에세이 『끝나지 않은 일』는 이 책에 대한 좋다는 평가가 가장 많은 듯하다. 그래서 기대가 크다. 천천히, 나중에 읽고 싶은 마음도 있다. 이 열기가 조금 식은 후에 말이다. 게으름을 대비한 생각이다.
정작 『디 에센셜 김연수』야말로 아주 천천히, 아주 나중에 읽지 않을까 싶다. 우선은 사 두는 마음. 소장했다는 어떤 뿌듯함으로 말이다. 이렇게 김연수의 책이 한 권 더 늘어난다. 김기태의 첫 단편집 『두 사람의 인터내셔널』은 기다렸던 책이다. 두 개의 단편으로 만난 그의 소설이 좋았다. 이 한 권에 담긴 다른 단편들도 분명 그러할 거라는 기대를 감출 수 없다.
주말인 내일은 비가 올 거라고 한다. 주말마다 내리는 비는 그 간격을 줄이고 일주일 내내 비가 내릴지도 모른다. 장마를 검색한다. 코킹 공사를 한 덕분에 장마에 대한 걱정의 일부는 줄었다. 얼마나 많은 비를 품었을까. 얼마나 무섭게 쏟아질까. 미리 걱정하지 않으려 해도 걱정이 달아나지 않는다. 오디처럼 검붉은 여름의 날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