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철 행복 - 가장 알맞은 시절에 건네는 스물네 번의 다정한 안부
김신지 지음 / 인플루엔셜(주)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벚꽃에 취한 게 엊그제 같은데 초록에 반하는 날들이다. 나는 혼자 멈춰 있고 계절은 사부작사부작 제 길을 걷는다. 곧 모내기가 시작될 테니 여름인 것이다. 시골에서 나고 자란 탓에 계절의 움직임을 조금 안다. 그건 참 좋은 일이다. 이맘때의 절기를 찾아보는 것, 계절을 사는 일이다. 경계가 불분명해하지만 계절의 문턱을 지나 다음 계절이 온다는 건 얼마나 감사하고 다행인지. 김신지의 『체절 행복』 그런 일상의 감사를 들려준다. 제목 그대로 체절의 행복을 느끼며 사는 일 말이다. 입춘부터 대한까지 24절기를 소개한다. 절기마다 어떻게 재밌고 즐겁게 지내는지 집중하게 만든다.


누군가 사느라 바빠서 절기 따위는 챙길 여력이 없다고 말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가만 생각해 보면 추운 겨울 지나 꽃이 피면 꽃이 반갑고 그 소식을 전한 기억이 따라올지도 모른다. 계절이 오고 가는지 체감도 못하게 지내다가 어느 날 문득 한 계절이 지났다는 사실이 안타까웠던 적도 말이다. 엊그제 24절기 중 일곱 번째, 여름의 입구인 입하(立夏)였다. 벌써 올여름의 더위를 걱정한다. 제철이었던 주꾸미도 먹지 못하고 냉동실에 얼려 둔 머위 쌈도 먹지 못했다. 이런 생각이 드는 건 나뿐일까. 『체절 행복』을 읽으면서 우리 조상들이 얼마나 지혜로운 삶을 살았는지 감탄한다.


그때는 지금과 달라서 자연의 흐름에 맞춰 살아야 했지만 여름 더위를 피하고 겨울 추위를 피해 다른 나라에 갈 수도 있는 세상이니 제철 절기를 알고 챙기는 게 의미가 없다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충분히 그럴 수 있다. 하지만 이 책을 만난다면 나만의 제철 절기를 즐기는 기쁨을 쌓고 싶을 것이다. 봄마다 조팝과 이팝나무를 구분하지 못하고 헷갈렸던 나는 이제 확실히 안다. 키가 큰 게 이팝나무라는 걸 말이다. 계절에 맞게 사는 일, 그건 일상의 소소한 즐거움을 누리는 삶이다.


새하얀 눈꽃 치즈를 수북이 뿌려둔 것 같은 이팝나무는 이맘때 어딜 가도 시선을 사로잡는다. 저 꽃 좀 봐, 하고 멈춰 서는 순간에 우리 삶은 조금 느리게 흐른다. 한 사람의 삶에서 그렇게 말한 순간들만 모아 편집해둔다면 그건 얼마나 아름다운 영상이 될까. (110쪽)


시골에서 나고 자란 탓에 계절마다 심어야 할 작물이 무엇이고 수확해야 할 게 무엇인지 안다고 생각했다. 한데 책을 읽으면서 나는 잊고 지낸 게 많았다. 요즘 마늘종 뽑을 때인데, 어렸을 적에는 그게 정말 싫었다. 바쁜 농사철에는 시험공부를 핑계로 학교로 도망 치곤했는데, 부모님께 정말 죄송하다. 그때가 아니면 할 수 없는 일이 있다는 것, 그때가 아니면 볼 수 없는 풍경이 있다는 것, 제철 절기를 기억해야 할 충분한 이유가 된다.


계절마다 좋아하는 것에 마음을 쏟으며 사는 일이 좋다. 기쁘게 몰두하는 일을 어쩌면 ‘마음을 쏟다’라고 표현하게 된 것일까. 여기까지 무사히 잘 담아온 마음을 한 군데다 와르르 쏟아붓는 시간 같다. 그렇다면 내게 초여름은 ‘바깥’에 마음을 쏟고 지내는 계절. 좋아하는 계절은 어떻게든 시간을 내어 즐기고 그게 곧 잘 사는 이이라고 믿으며 지낸다. (141~142쪽)


바깥에서 친구들과 맥주를 마시려고 오며 가며 카페나 식당을 봐 둔다는 저자의 마음이 괜히 설렌다. 나도 더위가 몰려오기 전에, 장마가 시작되기 전에 맘껏 바깥을 즐기는 일상을 계획하고 싶다. 우선은 지금 한창인 작약을 보는 일에 몰두할 생각에 설렌다. 바깥은 아니더라도 집안에서 볼 수 있는 작약, 지금의 제철 행복이다.


다가오는 절기를 헤아려본다. 절기를 안다는 게 참 좋다. 계획을 하지 않아도 자연이 알아서 계획을 알려준다고 할까. 물론 나이가 들고 계절의 흐름이 더 놀라고 신기하고 감사함을 느낀다. 주변의 것들을 둘러보는 마음, 같은 자리에서 좋은 이들과 작년의 이맘때를 기억하고 떠올리는 일, 이 역시 감사하다. 그럼에도 어린 시절과 다르게 춥고 날카롭던 겨울에 점점 무뎌지고 한여름의 땡볕 더위를 즐기지 못하는 건 아쉽고도 안타깝다. 이 땅에 살면서 온몸으로 만끽할 수 있는 절기의 즐거움이 어느 순간 기록에만 존재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면 아찔하다.


자연스럽게 산다는 건 결국 계절의 흐름을 알고, 계절이 무엇을 어떻게 바꾸어놓는지도 알고, ‘제때’ 해야 할 일을 찾아서 했던 옛사람들과 동식물처럼 사는 것.(333쪽)


다시 돌아오는 계절이 있어 우리 삶을 새로고침 해준다는 건 얼마나 다행한 일인지. 봄이 오는 한 우리는 매번 기회를 얻는다. 동시에 이번 봄은 다음 봄이 아니기에 유일한 기회이기도 하다. (334쪽)


눈이 부신 이 계절, 지금 이 순간을 즐겨야겠다는 생각이 앞선다. 제철의 행복을 만끽하고 누리고 싶다. 내가 맞이하는 여름은 작년과 같지만 다를 것이다. 내가 맞이할 가을과 겨울도 그러할 것이다. 그러니 이때를 놓치지 말길 바란다. 먹어야 할 것을 먹고 봐야 할 것을 보고 만나야 할 사람을 만나고 감사해야 할 것에 감사하자. 계절이 보내는 기척을 놓치지 말고 그것을 반갑게 맞이하며 살아가고 싶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망고 2024-05-07 16:2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요즘 작약철이죠 저희집에도 작약이 조금 폈어요 활짝은 아니고^^ 며칠 지나면 또 장미철이고요 꽃 피는거 보고 있으면 제철행복이 느껴집니다 자목련님이 들이신 작약 보면서 5월 행복하게 보내셔요😄

자목련 2024-05-09 10:49   좋아요 0 | URL
작약에 반갑고, 장미에 설레고!
제가 들인 작약은 활짝으로 가고 있어요^^

서니데이 2024-05-11 17: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책 장바구니에 담아둔 것 같은데, 샀는지 찾아봐야겠어요.
자목련님, 비오는 주말입니다. 따뜻하고 좋은 시간 되세요.^^

자목련 2024-05-13 15:09   좋아요 1 | URL
지금은 이 책을 곁에 두셨을 것 같아요.
비 오고 깨끗하고 맑은 월요일이에요. 서니데이 님 좋은 오후 이어가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