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터디 위드 X ㅣ 창비교육 성장소설 9
권여름 외 지음 / 창비교육 / 2023년 7월
평점 :
괴담의 시작은 어디일까? 말들이 모여 소문이 시작되는 곳, 누군가를 질투하고 시기하는 마음이 모르는 사이 살아 움직이는 곳, 학교도 빼놓을 수 없다. 어쩌면 맨 처음 경쟁이 시작되는 곳이라는 점에서 당연한지도 모른다. 한국 사회에서 학교는 그런 곳이니까. 학교를 배경을 한 드라마, 영화, 소설이 꾸준히 인기가 높은 이유다. 여기 또 하나의 학교 괴담 『스터디 위드 X 』 도 그 대열에 합류한다.
『스터디 위드 X 』에서 만나는 학교 괴담은 신박하고 오싹한 공포를 선사한다. 같은 공간에서 얼굴을 보고 공부를 하는 아이들, 친구라는 이름 뒤에 숨겨진 위선과 상처로 얼룩진 속내가 아프게 다가온다. 이유리의 「스터디 위드 미」는 전교 1등 ‘수아’의 브이로그를 시청하는 ‘나’가 발견한 귀신 이야기다. 나는 영상에 귀신이 등장하는 걸 알고 고민하다 수아에게 알린다. 다른 친구가 수아를 질투해서 저주 인형을 만든 것 같다고 알려주지만 수아는 그 모든 게 자신이 계획한 거라고 무시한다. 영상 속 귀신은 진짜 누군가의 저주의 결과일까? 친구와 우정 따위는 필요 없는 경쟁 사회, 언제부터 학교는 성적을 위한 곳으로 변한 것일까.
권여름의 「영고 1830」에서도 성적에 대한 압박을 다룬다. 해마다 명문고 1학년 8반 30번에게 일어나는 이야기, 무조건 영고를 가야 한다는 부모님의 강압을 이기지 못한 ‘희준’이 괴담의 주인공이 되는 과정은 그저 괴담이라고 치부할 수 없다. 그건 모든 걸 성적으로 평가하는 우리네 모습을 마주하기 때문이다. 학교의 본 모습을 잃어버린 한국 사회의 민낯이 부끄럽다. 가장 안전하고 평화롭고 정의로운 것이 바로 학교라는 사실을 우리는 왜 놓치고 있을까.
오래전이나 가능했던 잔인한 일이 지금도 어디에선가 일어날 수도 있다는 이야기. 소름 돋는 건 그런 게 아니겠어? ( 「영고 1830」, 89쪽)
아이들 입장은 조금 복잡했다. 그곳을 향한 아이들의 시선에는 선망과 공포가 공존했다. 영고 밖에서는 천국, 안에서는 지옥. 이런 말이 농담처럼 중 3교실에 떠돌았다. 자부심을 느끼며 학교에 다닐 수 있었지만, 중학생 때 전교권 성적이었던 아이들도 영고에서는 성적 내기가 쉽지 않았다고 했다. ( 「영고 1830」, 90~91쪽)
어쩌면 성적을 위해 경쟁하는 건 심각한 왕따와 학교 폭력에 비하면 나을지도 모른다. 한 명의 주도하에 모두가 친구를 잔인하게 괴롭히는 일, 오프라인이 아닌 온라인 왕따로 인해 학교는 공포 그 자체가 된 사연은 너무도 많다. 그래서 중학교 때 학교 폭력 피해자였던 ‘준우’가 고등학교에서 새롭게 만난 친구 ‘상현’과 함께 가해자들을 나갈 수 없는 채팅방에 초대해 나름의 복수를 하는 윤치규의 「카톡 감옥」은 한 편으로 솔직하게 후련한 점이 있다. 드라마 <더 글로리>에 열광하는 것처럼 말이다. 그러면서도 어딘가 이런 카톡 방이 존재하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두렵다. 제발 소설에서만 일어나는 이야기였으면 하는 바람이 간절하다.
교사 ‘미진’에게 학생 ‘윤재’가 첫사랑 이야기를 해달라고 조르는 은모든의 「벗어나고 싶어」는 괴담과는 전혀 상관없는 보통의 수업 시간처럼 보인다. 마지막의 반전을 밝힐 수는 없지만 묘한 슬픔으로 인상적인 소설이다. 조진주의 「그런 애」와 나푸름의 「하수구 아이」는 제목에서 따돌림과 편견을 예상할 수 있다. 하나의 틀에 가두어 친구를 판단하거나 잘 알지도 못하며 소문이나 괴담에 가담하는 일이 얼마나 잘못된 행동인지 알려준다.
실체를 확인할 수 없는 괴담은 시대에 따라 변화한다. 현실의 문제를 가장 빠르게 파악하는 일은 괴담을 읽는 일인지도 모른다. 그런 점에서 『스터디 위드 X 』는 학교와 청소년의 실상을 보여주는 생생한 르포와 닮은 소설이다.
*이 소설집을 읽으면서 ‘스터디 위드 미’란 채널을 검색했다. 이런 방송이 있다는 걸 처음 알았다. 공부를 위한 소리, 먹방, 다양한 컨텐츠에 놀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