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모두 읽고 쓰는 존재다. 무엇을 읽고 쓰냐가 다를 뿐이다. 소설을 좋아하는 나에게 소설가의 문장은 언제나 매력적이다. 아주 잠깐 소설을 쓰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기도 했으니까. 그런 생각을 일으켜 세운 건 내가 읽은 소설들 때문이다. 그러니까 꽤 오랜 시간 전에 책을 붙잡고 빠져있던 시간이 있었다. 지금도 책을 좋아하고 읽고 있지만 당시에는 책이 내 마음을 다잡는 유일한 통로였다. 그때 만났던 소설들, 그때 만났던 마음 잡이 글들이 나를 도왔다. 소설이 주는 위안, 소설 속 주인공도 나와 다르지 않게 힘겹게 하루하루를 지탱하고 있다는 게 큰 위안이 되었다.


그런 소설을 쓴 소설가는 어떤 마음으로 글을 쓸까, 언제 어디서 소설을 시작할까. 궁금했다. 쓰는 마음이 시작되는 공간, 쓰는 마음이 모이지 않을 때 어떻게 할까. 작가정신 35주년 기념 에세이 『소설엔 마진이 얼마나 남을까』엔 그런 글들이 있다. 김사과, 김엄지, 김이설로 시작해 박솔뫼, 손보미, 정용준, 한정현, 조경란, 하성란 등 23명의 작가가 쓴 솔직한 자기 고백과도 같은 글에는 소설 쓰기의 즐거움과 어려움이 담겨있다. 그들에게 소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도 말이다.


다행스럽게도 수록된 작가의 소설을 읽었다. 단편 하나부터 많게는 작가가 낸 소설을 거의 읽은 작가도 있다. 그래서 에세이를 읽으면서 그의 소설들이 따라왔다. 당연한 말이겠지만 소설과 에세이는 그 형식이 다르고 추구하는 바가 다른데도 소설 속 문장이 떠올랐다. 결이 같다는 게 이런 거구나 싶었다. 개인적인 의견일지만 김엄지나 박솔뫼의 경우, 에세이지만 소설처럼 읽혔다. 그의 소설이 마치 산문처럼 여겨졌던 것처럼.


한편의 에세이마다 작가가 보낸 사진이 함께 한다. 글을 쓰는 카페, 서재의 일부가 많았다. 사진과 글을 읽으면서 잠깐 상상한다. 그 자리에서 작가는 하루의 작업을 시작하는구나. 작가의 공간에서 얼핏 보이는 책등의 제목을 보면서 작가도 이 소설을 읽었구나 괜히 기뻐하면서 말이다. 글을 쓰는 작가의 많은 에세이가 그러하듯 『소설엔 마진이 얼마나 남을까』에서 들려주는 소설을 향한 그들의 마음은 매우 곡진하다.


내가 언제까지 소설 쓰기에 하루 여섯 시간을 고수할 수 있을까. 아주 오랫동안 가능할 수 있다면 좋겠다. 동료와 후배 작가들과 약속했던 것처럼 건강하게 오래 쓰는 작가가 되어야 하니 더더욱 여섯 시간을 지키자. 부디 그러자고, 촌스럽지만 굳은 다짐 같은 것이라도 하고 싶어지는 것이다. (김이설, 37쪽)


살림과 육아를 병행하면서 오롯이 소설을 쓰는 여섯 시간을 갖기 위해 무려 십오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는 김이설 작가가 쓰는 작업 일지, 이제는 체력이 되지 않아 운동을 하며 소설을 쓴다는 박민정, 정체와 지친 상태를 인정하면서도 쉬는 일의 두려움을 조심스럽게 들려주는 손보미, 너무 쉽게 글을 배우고 읽혀서 소설에 대한 상상력을 키우는 게 힘들다는 정소현, 소리가 깃든 문장을 쓸 수 있기를 바란다는 정용준의 글을 읽으면서 그의 첫 소설집의 단편이 생각나기도 했다.


문장에 소리가 있으면 좋겠다. 소리를 닮은 문장이 아닌, 소리가 들리는 듯한 문장이 아닌, 실제로 소리가 깃든 문장이 있으면 좋겠다. 그것이 가능하다면 얼마나 좋을까. 문장 속에 리듬을 깔고 화음을 만들어 마음대로 변주할 수 있다면 얼마나 근사하겠는가. (정용준, 127쪽)


소설을 썼을 때 이익은 얼마이며 마진이 얼마인지 남을까 알 수 없지만 언제 어디서나 타이핑 살 수 있도록 빠른 속도의 암살자 같은 태도로 글을 쓴다는 오한기, 자분자분 자신이 살았던 과거와 현재를 통해 그 안에 소설이 어떻게 녹아들었는지 말하는 전성태와 조경란, 소설을 쓸 수 있는 ‘그런 자리’에 대해 설명하는 한은형. 첫 책의 출간을 축하하며 진짜 직업을 구하라는 아버지의 말을 들려주는 정지돈의 유쾌한 농담 같은 글에 담긴 소설에 대한 진심은 그동안 어렵다고 여겨 내가 읽지 않은 그의 소설을 궁금하게 만들었다. 


문학은 포기라는 사실을, 모든 것을 시도하고 모든 것에 실패했을 때에야 비로소 문학이 시작된다는 사실을, 내 능력 너머에서, 내가 통제할 수 있는 영역 밖에서 문학이 나온다는 사실을 말이다. (정지돈, 144쪽)


순서에 구애를 받지 않고 좋아하는 작가, 끌리는 작가의 글을 먼저 읽어도 상관없다. 아마도 좋아하는 작가의 편을 먼저 읽는 이가 많지 않을까 싶다. 누군가 작가의 소설을 곁에 두고 읽을지도 모른다. 소설을 좋아하는 독자의 마음도 작가의 마음 못지않게 정성스러우니까. 여기 실린 23편의 에세이를 통해 작가들의 소설 쓰기에 대한 궁금증이 해결되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좋아하는 소설가의 소설을 읽을 때 문득 이런 생각이 들지도 모른다. 


이 소설은 그 작가가 좋아하는 카페의 어느 자리에서 시작되었구나, 한 문장을 쓰면서 몇 번을 고치고 고쳤겠구나. 산책과 수영을 하고 일상을 이어가면서도 소설 쓰기에 대한 고민과 걱정을 끌어안고 지내다 모든 걸 포기하고 편안해졌을 때 쓰인 문장일지도 모른다는. 소설을 통해 작가가 말하고 싶었던 게 무엇일까 조금 더 닿고 싶은 마음도 들 것 같다. 그리고 이런 최진영의 문장이 괜히 좋아서 소설을 읽을 때마다 한 번쯤 혼잣말로 따라 해보려고 한다. “나도 소설을 좋아하는 내가 좋습니다”라고 말이다. 


세상에는 훌륭한 소설이 너무나 많습니다. 어쩌면 나는 그중에 1퍼센트도 읽지 못하고 죽을 거예요. 이제는 그 사실이 전혀 슬프지 않습니다. 나는 오늘 읽을 수 있는 소설을 읽고 오늘 쓸 수 있는 글을 씁니다. 나는 소설을 좋아하는 나를 좋아합니다. (193쪽, 최진영)


이 책을 읽으면서 다시 읽고 싶은 소설 몇 권이 생각났다. 김이설, 정용준, 박솔뫼, 박민정, 정지돈, 한유주의 소설들. 어쩌면 다시 읽으면 작가의 마음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과 함꼐. 아직 읽지 못한 작가의 에세이와 새로운 소설에 대한 기대를 품는 시간이 쓰는 마음과 나란하게 쌓인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lanca 2022-12-06 11: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자목련님 덕에 이 책 읽어봐야겠네요.

자목련 2022-12-07 09:58   좋아요 0 | URL
저는 참 좋았어요. 블랑카 님도 좋았으면 좋겠습니다^^*

서니데이 2022-12-06 21:2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소설엔 마진이 얼마나 남을까, 책 소개가 나오는 건 본 적 있는데, 조금 더 상품 페이지의 소개를 읽어봐야겠어요.
잘읽었습니다. 자목련님, 따뜻한 하루 보내세요.^^

자목련 2022-12-07 09:58   좋아요 1 | URL
서니데이 님도 포근하고 건강한 하루 이어가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