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일 아침에 찍은 사진이다. 자목련이었다. 사진을 좀 더 잘 찍을 걸 후회가 된다. 세상에 여름에 자목련이 꽃을 피우나? 이건 꽃이 아닌가. 혼란스럽고 반가웠다. 내가 모르는 자목련의 세계라고 할까. 여하튼 그랬다. 사실 봄이 지나면 자목련을 잊는다. 꽃이 필 때에 다시 바라본다. 자목련이라는 닉네임을 사용하고 있지만 꽃 그 자체를 생각하는 건 봄이라는 계절뿐이다. 그러다 노희경 작가의 <디어 마이 프렌즈>를 보다가 화면 속 자목련을 담아둔 게 생각났다.



1회의 장면인데 나는 이 장면이 좋아서 자꾸 멈췄다가 돌려보기를 반복했다. 꽃보다 아름다운 이들이었다. 그 환한 웃음이 행복해 보였다. 연기가 아닌 실제처럼 여겨졌다. 방영 당시 계절이 봄이었구나 싶었다. 단도직입적으로 말하면 역시 좋은 드라마다. 사랑, 죽음, 우정이라는 진부한 메시지를 전하는 방식이 누구나 공감할 수 있어서 좋고, 서로의 상처에 때로는 조용히, 때로는 분노할 수 있다는 게 좋았다. 노년의 삶에 대해 조금 더 깊게 생각할 수 있었다. 엄마에게 노년은 존재하지 않았다. 그 이전에 돌아가셨기 때문이다. 같이 늙어가는 친구가 있다는 것, 자식 흉을 보며 맛난 음식을 먹을 수 있다는 것, 아픈 몸에 대해 한탄할 수 이를 곁에 두었다는 것, 정말 축복이다.






이렇게 느닷없는 자목련을 보고 즐거운 마음도 축복이다. 장마가 시작되었다. 남부 지방에는 폭우로 피해가 많은 듯하다. 출근길, 마스트를 써야 하는 일상에 피로도는 커지겠지만 그래도 이 일상을 공유할 수 있는 이들이 있으니 이 또한 기쁘다. 자귀나무가 한창인 날들, 그 한 귀퉁이에 자목련이 있다. 여름엔 자귀나무와 배롱나무인데 올해는 자목련도 기억할 수 있는 시간이다. 여름에 마주하는 봄이라고 할까. 드라마 때문에, 우연하게 만난 자목련 때문이다.

여름이니까 한 권쯤은 제목에 여름이 들어간 책을 만나야겠지. 백수린의 『여름의 빌라』, 오랜만에 시집도 한 권 검색한다. 허연의 시집 『당신은 언제 노래가 되지』, 김하나의 『말하기를 말하기』. 그리고 정용준의 장편소설 『내가 말하고 있잖아』 도 궁금하다. 


읽고 있는 책은 아니 에르노의 『빈 옷장』인데 너무 솔직해서, 너무 신랄해서, 너무 거침이 없어서 놀라면서 읽고 있다. 아니 에르노의 글을 읽은 적이 있지만 이런 느낌을 받는 적이 있던가 싶다. 아니 에르노의 데뷔작이라는데, 이런 글을 쓸 수 있다니, 입이 다물어지지 않는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20-07-15 10: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목련 님 오랜만이죠. 다들 무소식이 희소식이라 생각하고 그저 잘 지내시길요.
아니 에르노의 책 담아갑니다. 여름에 만난 자목련 특이하고도 반갑네요. 계절이 따로 없는 것 같은 요즘.

자목련 2020-07-16 09:38   좋아요 0 | URL
네, 저도 무소식이 희소식이라 여깁니다.
아니 에르노의 책을 함께 읽는 7월의 날들이겠네요.
프레이야 님, 건강하고 시원한 여름 보내세요^^

stella.K 2020-07-15 15: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엇, 자목련님 얘긴 줄 알았습니다.ㅋ
재작년까지만 해도 저희 집도 마당에 목련 나무가 있었죠.
흰색, 자색 둘 다. 그런데 무슨 공사를 하면서 베어버렸습니다.
공동주택 마당에 있는 거라 우리만 사는 것 같으면 결코 베는 일은 없었을 텐데.
많이 아쉽더군요.

노희경 작가의 <디어 마이 프렌즈>가 몇년도 작인지 모르겠습니다.
한 3, 4년된 작품 아닌가요? 노배우들이 대거 등장해 과연 재밌을까
싶었는데 확실히 노희경은 뭐가 달라도 다르더군요.
무엇보다 저는 오랜만에 노배우들이 나와서 좋았습니다.
옛날에 정말 브라운관을 화려하게 장식했던 배우들이었는데
언제부턴가 잘 안 나와서 아쉬웠거든요.
그런 걸 보면 저도 나이 들었다 싶어요.ㅋㅋ

자목련 2020-07-16 09:36   좋아요 0 | URL
자리를 지키던 나무가 사라지면 무척 서운할 것 같아요. 돌아보면 그 자리에 있던 거라서요.
노희경 작가의 이 드라마가 방영될 때는 못 봤어요.
고현정과 조인성이 아닌 김혜자, 고두심, 나문희, 윤여정의 연기가 너무 좋았어요.
주현, 신구 배우도 그렇고요.
<거짓말>부터 좋아했는데 점점 더 믿음이 가는 작가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