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소년전기 카이엔 1
이성영 지음 / 뫼비우스 / 2004년 1월
평점 :
절판


판타지 소설의 출판도는 가끔 사람을 경악하게 한다. 그저 제목에 혹해서 봤던 소설이 출판까지 됐을줄이야!!!

카이엔이라는 이름은 아는 사람은 다 아는 애증의 이름...(하지만 이 소설과는 상관없는 이야기)

아무튼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미소년 전기 카이엔은 최악이다. 처음에는 그저 재미로 읽을 만하다. 일단 미소년 전기 카이엔이라는 제목도 눈길을 끌면서 '나는 가벼운 소설이오.'라고 말하고 있지 않은가? 꽤 뒤쪽 까지 카이엔의 일상에서 펼쳐지는 재밌는 에피소드에 곁들여 계속 카이엔에 대한 미스터리의 냄새를 풍기면서 또 주인공의 불안을 그야말로 불안스럽게 서술한다.

우선 가졌던 불만. 읽어도. 읽어도 카이엔에 얽힌 미스터리의 정체를 절대! 확실하게 드러내지 않는다. 과연 언제쯤 뚜렷이 드러나는 걸까. 가르쳐 줄듯 가르쳐 줄듯 꼬리만 빼면 짜증난다.

내가 최악이라는 결론을 도출하게 한것은 주인공의 태도이다. 나는 주인공의 그 불안하게 서술되있는 불안도 넘겼다. 하지만 이 소설에서 용서할수 없는 것은 사람을 아름답게 놓아두지 않는다는 것이다. 작중인물들이 작중인물을 비웃고 깔아 뭉개고 작가도 작중인물을 발악하게 만든다. 갑자기 사람이 돌변한다. 욕을 하고 악을 쓰고 갑자기 비굴해지고 잔인해진다. 완전히 내가 환멸을 느낀것은 자신의 친구가 살해된데에 대한 주인공의 반응이었다. 거기에 관련된 사람들을 모두 살해하고 시체를 훼손하고 이래저래 날뛰면서 자신의 힘에 전율하고 감동하면서 '나는 파괴의 왕이다!'라고 즐기는 것이다. 솔직히 주인공이 갑자기 힘이 세진것도 마음에 안드는 판국에 배운적도 없는 고급기술을 턱턱 쓰기나 하더니 저런 소리를 하는 것이다. 난데없이 욕이나 바락바락하고.

사람이 변한다는 것은 저런게 아니고. 분노의 절규또한 저런것이 아니라고 나는 굳게 믿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몬스터 로드 1
권태용 지음 / 로크미디어 / 2003년 7월
평점 :
절판


표지도 내용도 대충 봤을때는 기대가 컸지만 자세히 보니 실망이었다. 특히 실망이 된것은 갈린의 교육법-무조건 실전과 거기에 대한 구태의연한 변명이었다. 사상적인 반감과 그 문체와 논리의 조잡스러움에 대한 실망을 나는 동시에 느꼈다. 결국은 그 논리의 조잡함이 문제한 이야기다. 너무 쉽게 생각하고 쉽게쓴다. '살기위해서는 무조건 강해야 한다.' 살기위해서. 라고 해도 나는 그 변명에서 절박함도 비장함도 느낄수 없다. 아는가? 저 논리에 반항하는 주인공도 자신의 동료나 친구를 죽이기라도 하면 잔학하게 복수한다. 시체 훼손까지 해야 분이 풀리고 이 소설은 그렇게까지 하진 않지만 어떤 소설의 주인공들은 살인의 광기와 아름다움에 빠지기도 한다.

뭐 그 이야긴 그쯤 해두고 그 외에도 사실 이 이야기는 소재의 참신성에 기대를 걸고 있었다. 작가의 머리속에서 이 이야기가 떠올랐을 때는 참신하고 재밌겠다는 생각이 들었을 것이다. 실제로 그렇게 될수 있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모름지기 소설은 쓰기 나름이다. 소설자체의 참신성을 획득하는 데는 실패했다-.

그런이야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계지인 1
최신영 지음 / 뫼비우스 / 2003년 9월
평점 :
절판


이제 1권을 읽었는데 더 읽고 싶은 생각은 추호도 없다. 1권에서는 중 2때 주인공이 기연을 얻는 이야기부터 대학까지의 생활사가 나온다. 하지만 그게 주인공의 성취에 대한 설명체의 글이 대다수라서 도무지 재미가 없다. 그 중인공의 성취라는 것도 한심해서, 주인공은 우연히 얻은 무공을 익히고 나서는 이해력과 습득력이 눈부시게 증진되서 천재에 가깝다고 나온다. 그런데도 읽는 사람이 한심할 정도로 쉬운-아예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어쩌고 할 필요도 없는 글로 고민을 한다. 그렇게 쉬운 고민거리밖에 만들수 없는 작가의 상상력이 한심하다.

그외의 내용들도 모두 그런 종류의 소설이 다 그렇듯 학교 일진들한테 주인공은 욕도 잘하고 그렇게 당한 일진은 회개해서 친구가 되고, 빈약하고 평범하다 못해 지긋지긋한 묘사로 장식된 주인공 여자친구는 주인공이랑 잔다.

맞춤법은 특히 눈물날 정도다. 지금 책을 가지고 있지 않아서 정확히 적을 수는 없지만 주인공은 짐을 '싫어'놓았다. 절대로 '싫'이 쓰일 곳이 아닌데에 쓰였다는 것은 확실히 기억하고 있다. 장난이 아니다. 비슷한게 적어도 서너가지 더 있다. 출판사에서는 책을 만들기 전에 읽어는 보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에 관한 7가지 이야기
지완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01년 12월
평점 :
품절


실려있는 단편 하나하나가 똑같이 허무했다. 표지그림도 멋있고 사람들평도 다 좋다고 하길래 엄청 기대했었는데 나느 그 표지그림을 좀더 유심히 보고 좀더 생각을 했어야 했다. 표지 그림만큼이나 허무한 만화였다. 무엇하나 나는 감동할 겨를도 없이 '하아.'하고 울면서 끝나버려서 그 텅빈 배경이 허무했다. 그래서 기억하고 있으면서 대충생각해서야 도무지 내용이 떠오르지 않는다. 오늘 본건데말이다. 뒤끝까지 허무한 만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빵가게 재습격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권남희 옮김 / 창해 / 200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무라카미 하루키의 단편 소설들은 기본적으로 모두 판타지가 아닐까 하고 생각하게 된다. 어딘가 비현실적으로 바람이 불듯 이야기는 흘러가고 있다. 다시 생각해보면 전부 내용이 현실에서 불가능 하다는 건 아니다. 있을법한 이야기들도 잔뜩. 하지만 그런 이야기도 어떨떨한 분위기가 느껴진다. 하루키의 문체자체가 특별한 구석이 있다고 본다.

빵가게 재습격도 실제 하자면 못할 일은 아니겠지만 아내의 미스터리와 주인공이 '저주'를 느끼고 있었다는 이야기 등은 주인공도 인정하는 비현실적 하나의 판타지라고 생각한다.

기억에 남는 것은 '한번 더 빵가게를 습격하는 거야. 그것도 지금 당장.그것 말고는 이 저주를 풀 방법이 없어.'. 어째서냐고 한다면 단호하고. 그 말의 내용에 있어 말끔해지는 기분이었다.

하루키의 소설은 비현실적이 느낌이지만 또 하나 느낀것은 사회였다. 특히 코끼리의 소멸. 그외에도 이런저런 소설들. 비현실적인 분위기와 함께 현대사회는 언제나 또렷히 존재하고 있었다. 아무것도 아니라는 쓸쓸한 느낌의 이야기. 그 기분도 기억에 남는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waho 2004-05-01 19: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하루키 장편보단 단편이나 여행기가 좋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