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틀러의 철학자들]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히틀러의 철학자들 - 철학은 어떻게 정치의 도구로 변질되는가?
이본 셰라트 지음, 김민수 옮김 / 여름언덕 / 2014년 5월
평점 :
품절
어느 경우든 나의 예상은 대체로 빗나가는 편이다. 이럴때면 운도 지지리도 없지 혹은 그럼 그렇지 하며 체념하고 넘어가면서도, 어떤때는 지극히 일반적인 범주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나의 사고한계에 실망하기도 한다. 주절주절 잡기적 얘기를 털어놓는 이유는 <히틀러의 철학자들>도 그렇다는 얘기다. 나의 기대와 예상은 히틀러에게도 철학이 있었다면 그것이 무엇이었는지, 그리고 그의 계획에 동조한 철학자들이 있다면 그들의 면면과 사상, 구체적 동조 방식들에 대한 것들이었다.
그런데 1, 2부로 나누어진 <히틀러의 철학자들>은 예상과 기대에 크게 벗어나진 않았지만, 어느 지점부터는 히틀러의 나치에 부역한 철학자와 나치의 반대편의 철학자들의 삶에 치중한 느낌이 강하게 들었다. 그리고 에필로그에 이르러서야 <히틀러의 철학자들>의 핵심이 등장한다. 바로, '나치사상에 물든 철학자의 사상을 가르쳐야 하는가?'이다. 마지막에서 작가는 솔직하게 독자에게 묻는다. 지금까지 나치에 부역했던 철학자들과 나치의 반대편에 있던 유대인 철학자들을 소개했으니, 독자들의 생각은 어떠한지 말이다.
하지만 작가의 질문이 개운하지 않으며, 도전적으로 느껴지기도 한다. 1부에서 작가는 히틀러의 꿈을 이루어주고자 나치에 부응한 철학자들 로젠베르크, 보임러, 크리크 등을 객관적이면서 평정을 유지하며 소개하고 있다. 심지어 작가의 담담함이 지나쳐 나치 부역 철학자들의 반유대인정책의 악랄함과 잔인함이 덜 느껴지기도 한다. 그렇기에 나치 부역 철학자들이 신랄한 비판을 받아야함에도 불구하고 작가가 감정에 빠지지 않고 객관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는 생각이이 들기 시작했다.
<히틀러의 철학자들>의 2부는 나치의 반유대정책으로 피해를 당한 철학자들이 나온다. 벤야민, 아도르노, 아렌트, 후버 등등이 말이다. 하지만 '히틀러의 적들'이라고 표현한 철학자들에 대한 작가의 입장은 1부하고는 조금은 다르다. 자살로 생을 마감한 벤야민, 생명에 위협을 느끼고 불안한 망명생활을 한 아도르노와 아렌트, 사형을 당한 후버 등은 아무 죄없이 단순히 유대인이며 유대인과 관계가 있다는 이유로 핍박당했다.
여기서 더이상 평정을 유지하지 못하는 것처럼 느껴진다. '히틀러의 적들'의 철학자들의 삶을 얘기할때면 점점 격앙된 분위가가 감지된다. 어떻게 나치부역 철학자들 중 로젠베르크만이 처벌을 받고, 나머지 많은 철학자들은 독일패전 후에도 같거나 나은 생활을 하고, 심지어 하이데거는 후세들에게 존경까지 받을 수 있는지 말이다. 반대로 '히틀러의 적들' 철학자들은 두려움에 고향에 돌아오지도 못했는데! 이쯤되니 작가가 유대인이 아닐까하는 의심이 살짝 들기도 한다.
에필로그의 작가 물음이 도전적이긴 해도 사고의 여지가 남기도 한다. "하지만 대다수 유명인사들이 세속의 명리를 좇았던 것과 달리 철학자들은 마치 내세에 골몰하는 승려들처럼 현실과 동떨어진 세상의 사람들로 여겨졌다. 언뜻 보면 철학자들은 상아탑에서 살다가 추상적인 관념 속에서 길을 잃은 사람들이거나 평범하고 이기적인 관심사 따위는 초월한 사람들처럼 보인다." 공감되는 부분이다. 철학자라하면 이런 이미지가 먼저 떠오른다. 더 범위를 넓혀 철학자뿐만 아니라 지성인에 대해서 품고 있는 이미지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실은 이런 기대를 가차없이 밟아버린다. 오히려 지성인들이 정의와 상식을 경시하는 경우가 더하면 더했지싶은 경우가 태반인 것이 현실이다. 그래서인지 작가의 '나치사상에 물든 철학자의 사상을 가르쳐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의 대한 대답으로 망설임이 줄어든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바인라이히는 회플러의 행적을 폭로했다. 하지만 그는 진실을 폭로할 수는 있었지만 정의를 집행할 힘은 없었다. 종전 후 회플러는 공식적으로 '단순동조자'로 분류됐다. 회플러는 자신이 태어난 오스트리아로 돌아가 1951년부터 1971년까지 빈에 거주하면서 연구를 계속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