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에서 온 남자, 도쿄에서 온 여자>를 리뷰해주세요.
뉴욕에서 온 남자, 도쿄에서 온 여자
권진.이화정 지음 / 씨네21북스 / 200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목으로 낚이지 마시길~ 존 그레이의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여자>을 알고 있는 독자라면 제목만으로 남녀관계, 부부관계 이해를 돕는 자기계발서가 아닐까하고 집을 수도 있겠다. 그러나 제목 아래에 '누구나 안다고 생각하지만 아무도 몰랐던 서울 이야기'라는 두줄을 확인하고 나면 약간은 젠체했던 민망함이 몰려온다. 아...일단 책의 크기가 만족스럽다. 손 안에 딱 잡히는 것이 전철이나 버스에서 읽기에 딱 적당하다.(사실 이 책은 오다가다 버스에서 읽기 시작해서 버스에서 다 읽은 책이다;;) 그림도 많아 글이 심심해지면 그림을 구경하면 되고 글도 인터뷰 형식의 대화체여서 딱히 신경을 집중할 필요도 없다. 6명의 외국인의 서울 체험기이라고 하면 너무 무미건조하지만 잡지 편집의 노하우가 집적된 씨네21이 편집을 감각적으로 해서 이 책이 성공한다면 순전히 편집의 힘이 아닐까 생각한다.  

란눈, 노랑머리, 검은피부의 이들은 한국을 특히 서울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일단 이들의 얘기를 들어보기 전에 나의 서울인상에 대해서 생각해 봤다. 나에게 서울은 공기 나쁘고 사람 많고 시끄럽고 불안한 곳이다. 하지만 6명의 외국인들은 서울에 대해서 그다지 부정적인 견해는 가지고 있지 않다. 다른 나라의 대표적인 도시들에 비해 물가도 싼 편이고 사람들도 친절하고 자연과 도시공간이 잘 어울려진 곳이 바로 서울에 대한 인상이란다. 이것을 보면 서울시가 외국인들에게만 무슨 특혜를 제공하는 것이 아닌지 하는 생각까지 든다.  서울은 대한민국에서 물가가 가장 비싸고, 범죄율도 높고 맑은 하늘 보기도 쉽지 않은 곳이고 빌딩으로 숲을 이루는 곳은 많아도 도심에서 나무 그늘을 찾기 쉽지 않은 곳이다. 인터뷰어의 또 한 가지 서울에 대한 공통적인 인상은 전통+현대의 도시가 바로 서울이란다. 음... 이건 동감이다. 가끔 덕수궁 미술관에서 전시회를 보고 궁과 정동을 산책할 때면 역사적인 장소가 생활 속에 있음을 느끼기 때문이다. 한국 토박이도 이럴지언데 외국인의 눈엔 더욱 그러하겠지. 인터뷰어의 외국인들은 한국 사람들보다도 더 한국적인, 전통적인 것에 매력을 느끼고 또 그것을 소중히 여기는 것 같다. 떡볶이, 김치, 보쌈, 왕갈비, 팥빙수, 비빔밥... 한국 사람들이 삼삼오오 패밀리레스토랑을 찾을 때 정작 이들은 길거리, 뒷골목 음식을 찾는다. 남의 떡이 더 커 보이는 심보때문인가? 한국 사람은 음식도, 옷도, 개발도 모두 서양의 것을 쫓고 한국의 외국인들은 한국인들이 저버린 전통적인, 순한국적인 것을 찾으며 점점 그것들이 없어지는 것을 안타까워하며 경고도 서슴치 않는다.  

국인들이 풀어놓는 서울 이야기를 예쁜 사진과 컬러의 글씨로 잘 포장하여 책은 한껏 희망적이고 고무적이고 낙관적인 분위기를 내뿜는다. 인터뷰어의 직업들을 열거해 보면 원어민교사, 대학교수, 댄스강사, 미술학도, 아티스트, 재연배우, 서울영상위원회 직원 등이다.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리거나 사진을 찍거나 전시를 하거나 춤을 추거나... 방식은 다를지라도 모두 어쨌거나 예술계 종사자들로, 인터뷰어가 다양하지 못해 제3의 입장이 보는 서울의 이미지를 다각적으로 연출하기엔 역부족인 것 같다. <뉴욕남, 도쿄녀>은 서울의 밝고 따뜻한 모습만 보여준다. 하지만 이 책에 포함되지 않은 비선진국 출신의 노동자가 바라보는 서울을 완전 배제한 기획에는 아쉬움이 남는다. 빛을 더 밝게 만들어 주는 것은 바로 어둠이다. 서울의 어두운 모습을 적절히 조화시키고 그 문제점들을 제기하였다면 잡지성 단행본 수준을 벗을 수 있었을 텐데 하는 씁쓸함이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