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중권의 이매진>을 리뷰해주세요.
진중권의 이매진 - 영화와 테크놀로지에 대한 인문학적 상상
진중권 지음 / 씨네21북스 / 200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현대사회에서 대중들이 가장 손쉽게 접할 수 있고 행할 수 있는 문화 상품이 영화라는 생각을 한다. 이제 영화는 현대 도시인들에게 더이상 특별하고 의미를 두는 문화생활이기 보다 소비하고, 무의식적으로 접근 가능한 문화상품이다. 수많은 영화가 제작되고, 상영되고, 잊혀지고. 정말 수많다. 이렇게 수많은 영화들 중에 개인이 그 영화들을 기억하는 방법과 정도도 수많을 것은 당연하겠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영화를 이야기, 감독의 연출, 배우의 연기, 색다른 촬영기법 등으로 영화에 잣대를 대고 평한다. 여기 진중권은 그의 전문분야를 살려 '미학'이라는 잣대를 한껏 휘두른다. '미학'은 자연이나 인생 및 예술 따위에 담긴 미의 본질과 구조를 해명하는 학문이란다. 진중권은 이런 사전적 의미의 '미학'을 '영화감상'에 한껏 적용한다. 작가의 충실한 본분의 실행으로  '진중권식 영화보기'의 황새걸음 때문에 뱁새의 다리는 찢어지기 일보직전이다. 

 소개되어 있는 영화들은 디지털 기술의 혜택을 듬뿍 받은 작품들과 사고의 전환이 두드러지는 작품들이다. 우선 디지털 기술의 은총을 받은 작품으로는 단연 <300>이 돋보이며, 서사의 구조를 파괴함으로써 미학의 세계로 발을 들여놓은 <나비효과>와 <메트릭스>에 이견을 달기엔 웬만해선 쉽지 않을 듯 하며, 시각적인 영화를 그 감각을 넘어서 관객이 바로 그 노르망디 해변에 있는 것처럼 온몸으로 느낄 수 있게 한 촉각적 감상을 가능케 했다는 <라이언 일병 구하기>의 20분에 대한 진중권의 해석엔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하지만 책에 소개된 진중권식 영화 감상법에 모두 고개를 끄덕이고 호응할 수 없는 데는 비일반적인 영화선택과 그의 언어 사용에서 그 이유를 찾아야겠다. 여기서 소개 되고 있는 영화는 총 37편이다. 이중에서 영화관에서 혹은 DVD등으로 본 영화는 절반도 채 되지 않는다. 그래서인지 아무리 미학적으로, 기술적으로, 서사적으로, 환상적으로 만들어진 영화라고 침이 마르도록 씌여있어도 다가오는 감흥의 수위는 높아지지 않는다. 좀더 대중적인 영화를 선택했더라면 인문학적 의미가 축소되지나 않을까하는 작가의 기우가 작용했을까하는 생각이 드는 건 어쩔 수 없다. 또한 책을 읽다보면 어느 영화의 남자 주인공이 여자 주인공에게 했던 대사가 떠오른다. "....말들이 조사를 빼곤 모두 영어네요....."  참... 영어가 많이 등장한다. 물론 우리말로 해석하기 힘든 영화용어도 있지만, 빈번한 영어사용이 독서를 방해한다는 느낌은 지울 수 없다. 더불어 마지막 영화평 때까지 마음이 무거웠던 다른 이유는 37편 전부는 아니지만 소개된 영화가 과연 이런 해석으로 풀이될 수 있는지 확인해 봐야 할 것 같은 영화보기 숙제가 생긴 것 같기 때문이다. 

*서평도서의 좋은점-새로운 시각으로 영화보기. 스토리만으로 영화를 보던 1차적 시각이었다면 2,3차의 눈을 갖게 해 줄 계기를 마련. 

*서평도서와 맥락을 같이 하는 한 핏줄 도서 - 작가핏줄이라면 진중권의 <미학오디세이> 책내용(?)핏줄은 <김영하 이우일의 영화이야기>

*서평도서를 권하고 싶은 대상 - 영화동아리 신입회원에게 멋지게 보이고 싶은 선배.  

*마음에 남는 책속에서 한 구절 -p.226 해석에 대한 이 강박은 도대체 어디서 비롯된 것일까? 여기서 우리가 던져야 할 질문은 이것이다. "꿈은 받드시 해석할 필요가 있는가?' 꿈의 해석학이 아닌 꿈의 제작학이 있을 수 있듯이 굳이 꿈을 해석하려 들지 않는 그런 사유체계도 얼마든지 가능하지 않을까? 변경해야 할 것은 꿈을 대하는 우리의 태도다. 

p.230 대중은 아직도 영화의 표면에서 줄거리에 빠지는 것을 좋아한다. 평론가들은 그 심층에 깔려 있는 의미를 해석하는 것을 좋아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