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과 6펜스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8
서머셋 몸 지음, 송무 옮김 / 민음사 / 200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주 마주친 책이었으나 그동안 어쩐지 손이 안 가서 지나쳤는데 앞서 읽은 서머싯 몸 책에 아쉬움을 느껴 한번 더 만나보려고 대표작이라는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이 소설은 작가인 화자가 계획한 것은 아니나 어쩌다 자꾸 얽히게 된다는 식의 전개로 예술가의 삶을 추적하고 있는 작품이다. 우리 일반인들의 머리 속에 인습 파괴적이고 행,불행을 아득히 초월한 예술가 상을 입력시키는데 일조한 소설 중 하나. 

리뷰라고 하기엔 부족하고 이입하기 어려웠던 부분들만 조금 써 본다.


고갱의 삶을 바탕으로 했다는데 대강 여기저기서 읽어 알고 있는 고갱의 실제 행적 중의 현실적인 면모(그림 투자가로 돈을 벌기도 했고 당시 화가들과 어울리며 습작 시절을 보내기도 한)와 지저분함(타히티에서의 어린 여자들)을 쳐내고 동선 정리를 하고 있었다. 그러면서 인물의 전설적인 면을 더욱 뚜렷하게 살렸다. 고갱이라는 인간이 아니고 예술가 고갱의 특정 부분을 강조한 책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나에게 내용 전개상 무리로 느껴졌던 것은 주인공 찰스 스트릭랜드가 하루 아침에 가정과 직장, 나라를 떠나 파리로 가서 거의 빈털터리로 화가로서의 새인생을 산다는 앞 부분이었다. 서머싯 몸이 주인공 화가를 영국인으로 설정하고 고갱의 삶을 이어받게 하는 연결 지점에 무리수가 있다는 것을 느꼈다. 이 점을 서머싯 몸도 알고 있었다. 소설의 삼분의 이 정도 지점에서 화자이자 기록자가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원인을 모르니 모호하게 쓸 수밖에 없다면서, 가장이자 증권 중개인으로 살 때의 삶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고 하고 있다. 어떻게 화가로서의 삶을 선택하게 된 것인지 명확하게 설명할 수 없다고 말이다. 사실이란 소설처럼 그럴듯한 이유로 짜맞춰지지 않는다는 말까지 한다. 그 문장을 그대로 옮기면 '어떤 기인 한 사람에 대해 아는 사실을 그대로 적는 게 아니고, 한 편의 소설을 쓰고 있다면 그와 같은 심경 변화가 일어난 이유를 얼마든지 그럴듯하게 꾸며 낼 수 있었을 것이다.' 라고까지 하면서 이 구멍에 대한 알리바이를 써놓았다. 


그런가요... 저는 화가가 되겠다는 결단이야 속사정이 얼마든지 다양할 수 있다고(남 모르는 어릴 적부터의 꿈이라서...그리지 않으면 죽을 것 같아서...기타등등) 보고 굳이 드러내지 않을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인간이 이렇게 인습을 벗어난 야수같이 되는 것도 하루 아침에 일어날 수 있는 변화일까 싶다. 파리에서의 스트릭랜드는 조금치의 허례허식적, 허영적, 가식적 내용의 대화도 묵살하는 사람이며 인간적인 애착 같은 것을 경멸하는 사람으로서, 고흐가 귀를 자르게 했던 무신경한 고갱이 되어 있었다. 아니 실제의 고갱은 가족과의 단절이 이 소설과 같은 식이지 않았고 밀고 당기고 인연이 끊어지기까지의 시간이 오래 걸린 것으로 안다. 이 소설에서는 17년간 가정을 이루고 증권맨 생활을 했던 영국에서의 지인들은 모두 짐작을 못하던 인격이 영불해협을 건너자마자 드러난다. 이 점은 이상하였다.

위에서 내가 쓴 표현이긴 하지만 인간이 아닌 예술가에 초점을 맞춘다는 것이 무슨 뜻일까. 그 구분의 선은 어디에서 시작되고 어디에서 끝나는지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비본질적인 인습과의 적당한 타협을 역겨워하고 그 결과로 겪는 고난 위를 아무렇지 않게 걸어다닌다는 점은 예술가에게 갖는 소중한 존경심이다. 하지만 그것은 어떻게 오는지? 그 이동의 과정이 지금의 나는 궁금하다. 신의 계시처럼 자고 나서 변화했다는 것은 궁금할 수 없는 손쉬운 설정이다. 증권 중개업자가 예술가 중의 예술가가 되는 과정에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인지가 내가 읽고 싶은 글인 모양이다. 


누가 보더라도 고갱의 삶이 바탕임이 확실한 소설인데 타히티에서 말년을 다룬 후반은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 지도 솔직히 난감했다. 소설은 타히티에선 일부일처의 삶을 살다 마감한 것으로 마무리되어 있다. 이런 것을 보면 널리 알려진 실제 인물을 바탕으로 한 창작물이 참 쉽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 모델이 엄연히 존재하니 글을 쓰는 작가에게 부담이 매우 큰 작업이다. 또 독자로서는 감상에 있어 흔쾌하지 않은 점이 생기기 쉽고. 여러 가지 방해나 복잡한 심사가 따라 오게 되니. 

20년대 소설이며 야생의 생활을 편하게 여긴 인물이 주인공이라 해도 '여자들이란-' 소리가 심하게 그 입에 자주 올려진다. 실제로 고갱은 어땠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