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혹의 기술 1 로버트 그린의 권력술 시리즈 3
로버트 그린 지음, 강미경 옮김 / 이마고 / 2002년 8월
평점 :
품절


어떻게 보면 여성지에 나오는 '남자친구 만들기 (혹은 꼬시기)'의 집대성 같기도 하다. 이 책에 나오는 사례들을 보면 더욱 그렇다. 카사노바의 다양한 여자꼬시기 방법--;, 시대를 풍미한 로맨스 (혹은 스캔들)의 주인공들인 여배우, 남배우들의 갖가지 사생활, 여기에 플러스로 정치가들의 대중에 대한 유혹의 기술까지 나와있는 책이다.

세상만사가 다 내 이익을 위해 (그게 성욕이든 권력욕이든 혹은, 운명같은 사랑이든) 남을 이용하는 그 간단한 '유혹자-피유혹자'의 관계로 귀결될 수 있을까? 이 책은 그렇다고 한다. 또한 나와 같은 종류의 사람, 즉 도덕을 중요시 하면서 자기에게 천착하고 불안한 마음을 가진 사람은 유혹을 할 수도, 당할 수도 없다고 한다. (마치 성격개조 전에는 연애는 없다고 쏘아 붙여주는 것과 같은 효과다.)

나도 흔들린다. 저대로 한 번 꼬셔봐? 하는 생각 반, 내가 생각해도 스스로가 한심하다는 생각 반. 세상에 운명이란 건 없고, 모두 누군가로부터 시작된 일이라는 걸, 아직은 잘 모르겠다.

그래도 이 책에서 한 가지 건진 점이라면, '매력'이라는게 그렇게 이해불가능한 선천적 재능은 아니라는 점이다.  :)

(2003년 8월의 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며칠 전에 파일로 (--;) The prince and me (내 남자친구는 왕자님)을 보았다. Julia Stiles 는 전형적인 신데렐라는 아니었지만 다양하게 변주되는 신데렐라 중에 하나인 건 사실이다. 이런 이야기를 좋아하는 내 심리는 뭘까? 설마 아직도 내 무의식은 어딘가에 왕자가 있을 거라고 믿는 걸까? @.@

from http://www.guardian.co.uk/comment/story/0,,1274755,00.html

Comment

The princess who refused to die  죽기를 거부하는 공주

The new Cinderella films have lost the story's meaning - they just teach girls they must be pretty to be loved

최근의 신데렐라 영화들은 이야기의 의미를 잃고 있다 - 단지 소녀들에게 사랑받기 위해서는 예뻐져야 한다고 가르칠 뿐이다

Cherry Potter
Tuesday August 3, 2004
The Guardian


Cinderella, the most popular princess of all time, is making a comeback. This year we are seeing a steady stream of Cinderella "princess movies": The Prince & Me, A Cinderella Story, The Princess Diaries 2 and Ella Enchanted, which will be released in time for Christmas.

전 세대를 통틀어 가장 유명한 공주인 신데렐라가 돌아오고 있다. 올해 우리는 신데렐라 "공주 영화" 를 끊임없이 보고 있다. : The Prince & Me, A Cinderella Story, The Princess Diaries 2 와 Ella Enchanted (Ella Enchanged는 크리스마스에 개봉될 것이다)  

The reason is simple. According to the market research, if you tot up the annual pocket money of American "tweens" (eight- to 14-year-olds) it's about $85bn (£47bn) and rising. Apart from movies and DVDs, Disney is introducing 69 new princess books. Disney Princess magazine sells 10m copies annually in 42 countries and last year its princess-themed product sales hit $1.3bn.

이유는 단순하다. 시장조사결과에 따르면 미국의 트윈즈 (8살에서 14살 사이) 들의 연간 용돈을 합하면 약 850억 불(470억 파운드)에 달하며 점점 늘어나고 있다. 영화와 DVD를 제외하고도, 디즈니는 69가지의 새로운 공주책들을 시장에 내놓았다. 디즈니 Princess magazine은 42개국에서 연간 1000만 권이 팔리고 지난해 공주와 관련된 상품들은 13억 불어치 팔렸다.

For the past 30 years feminists have been trying to kill off Cinderella. She makes a terrible role model. Instead of asserting herself by standing up to her wicked stepmother and spiteful sisters and getting a life, Cinderella is a miserable stay-at-home waiting passively for a fairy godmother to transform her and for Prince Charming finally to resolve all her problems. But despite feminist Colette Dowling's controversial theory in The Cinderella Complex, that the story reveals women's deep-seated hidden fear of independence, Cinderella has tenaciously refused to die. Instead, the story has been whittled down and Cinderella herself has undergone numerous makeovers to keep her appeal alive for each new generation.

지난 30년간 페미니스트들은 신데렐라를 없애려고 노력해왔다. 신데렐라는 끔찍한 역할 모델이었다. 짜증나는 새엄마와 언니들을 견디고 스스로의 삶을 찾는 대신에 신데렐라는 요정이 자기를 변화시켜 주기를, 그리고 결국 왕자가 자신의 모든 문제를 해결해 주기를 집에서 넋놓고 기다리고 있었다. 신데렐라 컴플렉스에서 Colette Dowling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이 이야기는 독립에 대한 여성들의 숨겨진 두려움을 보여주고 있다. 신데렐라는 끝끝내 죽기를 거부하고 있다. 대신, 신데렐라는 자신을 다듬고 새로운 세대에도 살아남을 수 있도록 수많은 얼굴로 변화하고 있다.

The basic formula can be clearly seen in two recent Cinderella rom coms. In Maid in Manhattan, Cinderella is a good, kind, hardworking but spunky chambermaid, and in Two Weeks Notice she's (you've guessed it) a good, kind, etc lawyer. In both films she's poor (at least in Hollywood terms) and Prince Charming is so wealthy that he doesn't really notice her as a contender to be his future bride until the obligatory ball when she appears transformed in a stunning evening dress and diamonds.

로맨틱 코메디의 기본 공식은 최근 두 편의 신데렐라 영화에서 명확하게 나타난다. Maid in Manhattan에서 신데렐라는 착하고, 친절하고, 열심히 일하는데다가 용감한 메이드다. Two Weeks Notice에서는 착하고, 친절한데다가 변호사이기까지 하다. 두 영화에서 모두 여주인공은 가난하고 (적어도 헐리우드가 생각하기에는) 왕자는 진짜 부자라서, 꼭 참석해야 하는 파티에 여주인공이 기절할만큼 아름다운 이브닝 드레스와 다이아모드로 변신을 하고 나타나기 전까지는 저 여자가 미래의 부인이 될 것이라는 걸 절대 모르고 있다.

She runs away from the ball - another essential requirement - because she feels like she's posing and anyway it would never do if we suspected her of being a fortune-hunter. Her prince runs after her, makes a few concessions to the modern woman's need for a career (the chambermaid can still become a chambermaid manager and the lawyer can continue to do good works) and the rest is wealth and glamour ever after.
 
여주인공은 파티에서 도망간다 - 또하나의 필수적인 요소다 -왜냐하면 그녀는 자기가 어울리지 않는 포즈를 취하고 있는 것 같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또, 여주인공이 재산을 노려서 결혼하려고 한다고 생각한다면 그런 일은 절대 일어나지 않는다. 왕자는 그녀를 쫓아가고 현대 여성이 캐리어를 위해 필요로 하는 몇 가지 것들을 양보해 준다. (호텔 메이드는 결국 매니져가 되고 변호사는 좋은 일을 계속한다. ) 그리고 결국 그들은 부유하고 멋지게 오래오래 잘 산다. 

The Prince & Me, The Princess Diaries and Ella Enchanted follow the basic formula but in these films Prince Charming is a real royal prince. In The Prince & Me a fictional prince of Denmark spots his Cinderella (whom he met while a college student in America) in the cheering crowd, lifts her on to his horse and rides with her to the palace. Despite the tragedy of Princess Di, Hollywood is banking on tweens fantasising about being spotted by the world's two most eligible bachelor princes, William and Harry.

The Prince & Me, The Princess Diary 시리즈와 Ella Enchanted는 기본공식을 따른다. 거기에 이 영화들에서는 왕자가 진짜 왕자다. The Prince & Me에서는 허구로 꾸며낸 덴마크의 왕자가 그의 신데렐라를 (미국에서 대학을 다니다가 만났다) 군중속에서 보고 그녀를 들어 말에 태워 궁전으로 달려간다. 다이아나 비의 비극에도 불구하고 헐리우드는 세계에서 가장 결혼하기 적합한 총각 왕자들인 William과 Harry가 나를 선택할 것이라는 환상을 소녀들에게 심어주고 있다.  

Traditional fairy tales contain a deep inner meaning for children. The original Cinderella addresses children's most secret frustrations and resentments. The child longs to be special in the eyes of her neglectful father and is convinced that if it weren't for her wicked stepmother (she can't be her real mother or she would be good) and her cruel selfish siblings her father would love her and her alone. Her fantasy resolution to this impossible conflict is to be magically transported out of this hateful family by a handsome prince whose sole purpose in the story (which is why he remains a shadow character) is to replace her father and recognise her as special. However much feminists dislike this story, its archetypal significance, at least to children, cannot be denied.

전통적인 동화는 깊은 내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원래의 신데렐라 이야기는 아이들의 가장 비밀스런 좌절감과 분노를 보여준다. 아이는 소홀한 아버지의 눈에 특별하게 보이고 싶어하고 나쁜 새엄마(친엄마여서도 안되고 착해도 안된다) 와 새언니들이 없으면 아빠가 자기만을 사랑할 것이라고 스스로를 납득시키려고 한다. 이 불가능한 갈등구조에 대한 아이의 환상적인 결론은 이 이야기의 단하나의 목적이며 아빠를 대신해 그녀를 특별하게 알아볼 잘 생긴 왕자(이것이 이야기에서 왕자의 성격이 평면적인 이유다)에 의해 마법처럼 이 가족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대부분의 페미니스트들은 이 이야기를 혐오하지만, 적어도 아이들에게 이 원형은 부인될 수 없다.

The problem with the recent so-called Cinderella stories - apart from the fact that the wicked stepmother and cruel ugly sisters have either been demoted or wiped from the story completely - is that they have been denuded of meaning and context. All the other rite-of-passage fairy tales, where heroes and heroines face all sorts of tests of character to enable them to learn and change, have been dumped. Instead, the modern fairy tale is exclusively about becoming the most beautiful princess in the land.

최근에 소위 신데렐라 이야기라고 불리는 영화들의 문제는 - 새엄마와 새 언니들의 역할이 강등되거나 이야기에서 완전히 빠진 것을 제외하고 - 의미와 내용을 모두 잃어버린 데 있다. 통과의식에 대한 다른 동화들, 영웅이 온갖 종류의 시련에 직면해서 배우고 변화하는 이야기들은 사라졌다. 대신 현대의 동화에는 세상에서 제일 아름다운 공주가 되는 이야기만 남았다.

When I was a child we loved dressing up, as pirates, bandits, bag ladies, even, on occasion, princesses - the fun was that, irrespective of our gender, we could be anything we liked. But now, with Disney's princess marketing targeting girls as young as three with Ultimate Princess kits, Very Important Princess T-shirts, and fantasy makeover Princess Parties overseen by doting parents, a whole generation of little girls is learning that they have to be the prettiest princess in order to be valued and loved. No wonder their favourite story is Cinderella.

아이였을 때는, 해적, 산적, 부랑자, 그리고 때로는 공주처럼 흉내내는 걸 좋아했었다. 성별에 관계없이 하고 싶은 걸 하는게 재미였다. 그러자 지금, 디즈니의 공주 마케팅의 타겟이 되는 소녀들은 (디즈니의 공주마케팅은 세살 무렵부터 시작된다. Ultimate Princess Kit이나 Very Important Princess T-shirts, 정신없는 부모들의 감독아래 펼쳐지는 공주 파티 따위)가치있고 사랑받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 제일 예쁜 공주가 되야 한다고 배운다.

What's really worrying is what these little girls will be like when they grow up. How will they resolve the impossible conflict between being good, kind, hardworking cinder-cleaners, and clawing their way to the top of the beauty pedestal? I suspect we are breeding, not a generation of Cinderellas, but spiteful "ugly" sisters.

진짜 걱정되는 건 이 어린 소녀들이 자라고 나서 어떤 사람이 될 것인가 하는 점이다. 미의 정점에 서려는 욕망과 착하고 친절하고 열심히 일하는 재투성이소녀 사이의 해결 불가능한 갈등을 어떻게 할 것인가? 우리는 신데렐라를 키우는게 아니라 지금, "못생긴" 새언니들을 키우고 있다.

· Cherry Potter is the author of Screen Language and I Love You But... Seven Decades of Romantic Comedy

cherrypotter@ntlworld.co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ttp://www.aladin.co.kr/authorfile/meet/simyunkyung_200408_01.asp?UID=1166928165

심윤경 작가님 인터뷰 중 일부를 옮겨본다.

 알라딘 : 그런 배경이 소설세계나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하세요? 이공계 계열 전공자로서의 글쓰기는 어떤 차이/특징이 있다고 생각하시는지요.

심윤경 : 음, 이공계열 사람들의 글쓰기는 보다 실용적이고 간결한 것 같아요. 중심을 정확히 짚구요. 대신에 아름다움에 대한 묘사나 서정적인 측면이 부족하지요. 저도 소설을 쓰다보니, 이 부분이 취약하다는 걸 알겠더라구요. 그래서 앞으로는 서정적인 부분을 좀더 강화하려고 합니다.

실용적이고 간결하지 않으면 저널에서 떨어지니까 그런걸까? ^^ 나도 점점 내 글이 실용적이고 간결해 지는 것 같다. --;;

알라딘 : 매일 아침 규칙적인 시간이면 책상에 앉아 글을 쓰는 작가도 있고, 한꺼번에 내리꽂듯 작품을 집필하는 작가도 있지요. 자신은 어떤 글쓰기 패턴에 속한다고 생각하시는지. <나의 아름다운 정원>이 완성하신 첫 작품인가요?

심윤경 : 저는 꾸준히, 규칙적으로 쓰는 타입인 거 같아요. 회사 다닐 때는 퇴근 시간 후를 주로 이용했어요. 아이를 키우며 집에 있을 때는 1주일에 두 번씩 아이를 아주머니에게 맡기고 9시부터 5시까지 노트북을 들고 도서관에 갔지요. 그전에 아이 때문에 손이 많이 필요할 때는 새벽시간을 이용했구요. 일과가 대강 끝난 후 밤 9시~12시까지 수면을 취하고, 새벽 12시~4시까지 글을 썼어요. 생각해보면 참 힘든 시간이었네요.

<나의 아름다운 정원>이 그렇게 쓴 첫 작품이에요. 집필기간은 전부 2년이 걸렸어요. 준비기간 1년, 실제로 쓰는 데 1년. 처음부터 장편을 쓸 생각은 없었어요. 그런데 사람들이 보통 원고지 100~200매가 단편 길이야, 라고 말해주었을 때, 이미 500매를 넘기고 있었어요.(웃음) <달의 제단>도 등단 이전부터 쓰기 시작했습니다.

쓰는 사람에 대한 부러움은, 이런 대목에 다다르면 결국 한숨,으로 이어진다. 얼마나 부지런한가, 퇴근 후에 글쓰기라니.

2. 알라딘 : 소설을 쓸 때, 가장 염두에 두는 점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재미있는 소설'을 무어라 정의하고 있는지, '내가 기억하는 최고로 재미있는 소설'을 몇 가지 꼽으라면 어떤 소설을 들 수 있을까요. 독자분들께 꼭 한번 읽어보라고 권해드리고 싶은 책이나 작가가 있으시다면?

심윤경 : 저는 전통적이고 뚜렷한 서사구조나 틀을 선호해요. 매력적 인물이 등장하고 독자의 마음을 움직이는... 음, 이사벨 아옌데의 <영혼의 집>과 양귀자의 <희망>, 이경자의 <정은 늙지도 않아>가 가장 인상적이고, 재미있었습니다. 이야기가 풍부하다는 점에서 남미 작가들 책을 좋아해요. 또 이경자씨의 <정은...>은 공격적 페미니즘에서 보다 유하게, 우회적으로 변화한 태도를 엿볼 수 있는 소설인데요. 전 이쪽이 훨씬 마음에 들더라구요. 자기 생각을 전달하려면 우선 읽게 만들어야 하는데, 처음부터 공격적으로 뾰족하게 나오면 아예 읽지를 않으니까요.

양귀자의 희망,은 읽은 기억이 어렴풋하다. 다른 두 권은 읽지 않았고. 읽고 싶어진다, 내가 좋아하는 작가가 권하니까.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EBS space 공연실황, Crazy for you / 지킬 앤 하이드

 'Once upon a dream'

'Take me as I am'

 'This is the moment'

 'Dangerous game'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머털이 2004-08-22 21: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 이렇게 재밌는 걸 지금에서야 봤어요 @.@
<지킬 앤 하이드> 너무 보고 싶어요 흑...
 

DNA 3차결정구조를 처음 밝힌 Francis Crick이 7월 30일 타계했다. 아래는 영국 일간지 Guardian에 나온 기사.

From http://www.guardian.co.uk/leaders/story/0,,1273202,00.html

Scientist who unlocked secret of DNA dies at 88

Alok Jha, science correspondent
Friday July 30, 2004
The Guardian

"We wish to suggest a structure for the salt of deoxyribose nucleic acid (DNA). This structure has novel features which are of considerable biological interest."

"DNA 결정의 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 구조는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새로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53년 Nature 에 발표한 DNA 구조 논문의 시작부분)

With this unassuming statement, Francis Crick, who died yesterday aged 88, and his collaborator James Watson, sent molecular biology in a radical new direction while simultaneously launching the new field of genetics.

이 겸손한 문장을 시작으로, 지난 7월 30일 88세로 생을 마감한 Francis Crick과 그의 동료 James Watson은 유전학의 새로운 분야를 염과 동시에 분자 생물학을 새로운 방향으로 이끌었다.

In the 50 years since, the discovery has proved to be among the greatest in the history of science, providing the platform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every living organism.

지난 50여년 동안, 각 생명체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가능하게 한 이 발견은 과학사에 있어서 가장 위대한 발견중 하나인 것으로 증명되었다.

Crick, who died at Thornton hospital in San Diego, had been suffering from colon cancer.

San Diego의 Thornton 병원에서 숨을 거둔 Crick 은 대장암으로 고생했었다. 

"I will always remember Francis for his extraordinarily focused intelligence and for the many ways he showed me kindness and developed my self-confidence," Watson said.

"나는 비범한 지성을 사진 사람으로 Francis 를 기억할 것이다. 또한 나에게 배풀어 준 친절과 나의 자존감을 북돋아준 여러 기억들로 Francis 를 추억할 것이다." 라고 Watson은 말했다.

"He treated me as though I were a member of his family. Being with him for two years in a small room in Cambridge was truly a privilege. I always looked forward to being with him and speaking to him, up until the moment of his death. He will be sorely missed."

"그는 나를 가족의 일원처럼 대해주었다. Cambridge에 있던 작은 방에서 그와 함께 보낸 2년여는 진정한 특권이었다. 나는 항상 그와 지내기를 바랬고 그와 이야기 하기를 그가 죽는 순간까지 바랬다. 진정으로 그를 그리워할 것이다."

Born in Northampton, Crick was a distinguished research scientist and former president of the Salk Institute in San Diego. Watson worked with Crick in the early 1950s at Cambridge University. Their work on DNA resulted in their receiving a share of the Nobel prize in 1962.

Northampton에서 태어난 Crick은 특별한 연구자였으며 San Diego에 있는 Salk Institute의 전 원장이었다. Watson은 Cambridge Univ.에서 1950년대 초반 Crick와 함꼐 일했다. DNA에 관한 그들의 작업으로 1962년 그들은 함께 노벨상을 수상했다. 

Professor Richard Gardner, Henry Dale Research Professor of the Royal Society at the University of Oxford, said: "From my contact with him at Cambridge University, I would rank Francis Crick, in my view, as one of the greatest minds of the 20th century. He was a theoretician rather than an experimentalist, and was an extremely perceptive person; he would get straight to the heart of a problem while everyone else was struggling around him."

Univ. of Oxford의 Richard Gardner 교수는 "Cambridge Univ.에서 그와 함께 있을때부터 나는 Crick을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지성중의 하나라고 생각해왔다. 실험자라기보다는 이론가였고 극도로 통찰력이 있는 사람이었다. 문제의 핵심에 직접 도달하는 힘이 있었다." 라고 말했다.

Matt Ridley, author of Genome and Nature Vs Nurture, said: "Francis Crick made not one but many great scientific discoveries. He found that genes are digital codes written on DNA molecules, he found that the code is written in three-letter words and he was instrumental in cracking the code. Any one of those would have got him a place in the scientific pantheon. Discovering all three places him alongside Newton, Darwin and Einstein."

Genome and Nature Vs Nurture 의 저자인 Matt Ridely는 "Francis Crick은 단 한가지 위대한 발견을 한 것이 아니라 수많은 과학적 업적을 남겼다.그는 유전자가 DNA 분자에 쓰여진 디지털 코드라는 것을 발견했으며 이 코드가 세개의 철자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발견했고 실제로 이 코드를 해독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이중에 하나의 발견만 했더라도 그는 과학자의 영웅이 되었을 것이다. 이 모든 발견을 통해 그는 Newton, Darwin, Einstein과 어깨를 나란해 한다."

Steve Jones, Professor of Genetics at University College London, said simply that Crick was the Charles Darwin of the 20th century.

UCL의 Steve Jones 교수는 간단히, Crick은 20세기의 다윈이라고 말했다.

Crick was elected a fellow of the Royal Society in 1959, primarily for his work on DNA but also for his study of the structure of proteins and viruses. He was awarded the Royal Medal in 1972 and in 1975 received the Copley Medal, the Royal Society's premier scientific award.

Crick은 1959년 DNA와 단백질, 바이러스에 대한 구조연구를 인정받아 왕립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1972년 왕립학회 메달, 1975년 Copley 메달과 왕립학회의 premier scientific award를 수상했다.

Lord May of Oxford, president of the Royal Society, said: "Francis Crick made an enormous contribution to science and his discoveries helped to usher in a golden age of molecular biology. His death is a sad loss to science."

왕립학회의 회장인 Oxford의 May 경은 "Francis Crick 은 과학의 발전에 위대한 기여를 했고 그의 발견은 분자생물학의 황금기를 당기는데 크게 도움을 주었다. 그의 죽음은 과학계에 참으로 슬픈 일이다." 라고 말했다. 

Last year, the Royal Society established a prize lecture in Francis Crick's honour following an endowment by Sydney Brenner from his award of the 2002 Nobel prize in physiology and medicine. The Francis Crick Lecture is awarded annually to recognise the achievements of younger researchers in the biological sciences.

 작년에 왕립학회는 2001년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한 Sydney Brenner의 기부를 받아 Francis Crick 을 기리는 prize lecture를 설립했다. Francis Crick Lecture는 생물학계의 젊은 연구자들의 성과를 기리기 위해 해마다 수여된다.

"Francis Crick will be remembered as one of the most brilliant and influential scientists of all time," said Richard Murphy, the Salk Institute's president and chief executive officer.

"Francis Crick 은 모든 시대를 걸쳐 가장 영민하고 영향력있는 과학자 중의 한 사람으로 기억될 것이다" 라고 Salk Institute 원장 Richard Murphy는 말했다.

Francis Crick


The secrets of science

Leader
Saturday July 31, 2004
The Guardian

Francis Crick was one of those rare scientists who changed the way that ordinary people understand the world. The double helix and DNA itself have ascended into everyday mythology and form part of our stock of metaphors, just as relativity or gravity do. Comparisons with Einstein make a lot of sense, partly because he did his science by thinking and talking, not experimenting. On Crick's rare excursions into a laboratory, he was as clumsy as an albatross on land. He could adjust the focus on a microscope so roughly that it smashed the slide beneath it. But he read everything; he had a rare knack for spotting talent; he saw more deeply into scientific problems than almost anyone who has ever lived; and he expressed his insights in language of astonishing sharpness and clarity.

Francis Crick 은 일반인이 세계를 이해하는 방법을 바꾸어 놓은 매우 드문 과학자 중의 한 사람이다. DNA와 이중나선은 이제 일상의 신화가 되었고 상대성이나 중력이 그러하듯 은유의 일부가 되었다. 그는 여러 면에서 아인슈타인과 비교되는데 그 이유중 일부는 그가 실험이 아니라 생각과 이야기로 과학을 했기 때문이다. Crick이 실험실에 나타나는 건, 마치 땅 위에 알바트로스가 있는 것처럼 어색했다. 현미경의 촛점도 정교하게 맞추지 못해서 그 밑에 있는 슬라이드 유리를 깨버렸다. 그러나 그는 모든걸 읽어냈다; 집중할 수 있는 드문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과학적인 문제에 대해 누구보다도 깊이 보았고 그의 통찰을 놀랍도록 날카롭고 명징한 언어로 표현해 냈다.

He set himself to discover the secrets of life, and when the workings of DNA had been unravelled to his satisfaction, he switched his attention to consciousness, on which he worked for the last decades of his life. All this last work was done in California, where he moved in 1975.

The great problem for British science is ensuring that there are future Cricks educated here, as well as future Watsons coming to this country to work with them. The best memorial we could have to him would be a thriving scientific culture. This is not easy. Crick and Watson did their work in a time when science was generally thought benevolent, or at worst ethically neutral. This is less self-evident now. In the US, research is under threat from religious fundamentalists. In this country it is the extreme animal activists who pose the most urgent danger to science, and even to some scientists.

영국과학계의 중요한 문제는 미래의 Crick 들이 여기에서 교육받고 있으며 미래의 Watson들이 이 나라로 와서 그들과 함께 일할 것을 보장하는 것이다. 우리가 그에 대해 보여줄 수 있는 가장 큰 추모는 과학적인 문화를 일깨우는 것일 것이다. 쉽지 않은 일이다. Crick와 Watson의 시대는 과학이 일반적으로 이로운 것이라고, 적어도 윤리적으로 중립적인 것이라고 생각되던 신대다. 지금은 그래보이지 않는다. 미국에서 연구는 종교적인 원리주의자들로부터 위협받는다. 영국에서는 극단적인 동물보호론자들이 과학과 과학자들에 대한 위험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In the long term, though, the danger comes from government, and from bureaucracies which attempt to direct research into areas that look profitable rather than interesting. Crick and Watson got important results because they were free to work on problems they saw were overwhelmingly important. That freedom is what makes science attractive as well as worthwhile.

장기적인 안목에서 보면, 더 중요한 위협은 호기심 보다는 이익을 먼저 추구하도록 연구자들을 모는 정부와 관료들로부터 나온다. Crick와 Watson은 그들이 중요하게 본 문제를 해결하는데 자율권을 가졌기 때문에 중요한 업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이 자유야 말로 과학을 가치있는 동시에 매력적인 것으로 만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Klaus 2004-08-06 21: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퍼갔습니다. 감사합니다.

Choice 2004-08-06 21: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