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민 교수의 새 책 제목이 <아버지의 편지>라니, 무언가 개인적인 이야기를 해야 할 것만 같은 생각이 들었다. 개인적으로 '아버지의 편지'를 받아 본 기억은 없지만, 그 말은 내게 한 작가의 이야기를 떠올리게 했다.

아버지는 가끔 그렇게 형광펜으로 줄을 그은 신문기사를 편지봉투에 넣어 보내오곤 했다. 언젠가는 편지봉투를 뜯어보니 조선일보 기사가 나왔다. 그때까지 나는 조선일보와 인터뷰를 하거나 조선일보에 글을 실은 적이 없었다. 펼쳐보니 아쿠타가와 상을 수상한 유미리에 관한 기사였다. 아버지는 유미리라는 이름에, 그리고 '방황과 절망이 빚어낸 문학성'이라는 홍사중씨의 칼럼 제목에 각각 붉은 형광펜 칠을 해놓았다.

동봉한 편지에 아버지는 "나는 너를 믿는다. 네 소신껏 희망을 갖고 밀고 나가거라. 어차피 人生이란 그런것이 아니겠냐"라고 써놓은 뒤, '아니겠냐'의 '겠'과 '냐' 사이에 'V자'를 그려놓고 '느'를 부기했다. 그 편지를 읽을 때마다 나는 '아니겠냐'라고 쓴 뒤에 그게 마음에 들지 않아 중간에 '느'자를 삽입하는 아버지의 모습을 떠올린다. 아이가 생긴 뒤에야 나는 그게 얼마나 숭고한 일인지 알게 됐다.

- 김연수, '뉴욕 제과점' 중, <내가 아직 아이였을 때> p.74)

그리고, 바로 그 작가와 얼마전 만난 인터뷰 자리에서 잠시 틈을 타 이런 대화를 나누기도 했던 것이다.

"몇 년 전에 저희 과 행사에 오셔서 뵌 적이 있는데, 작년에도 또 오셨다면서요?"

"아… 정민 선생님이 전화를 주셔 가지고요. 시간 있냐, 하시는데 아마 그 몇해 전에 제가 갔었다는 걸 모르셨던 모양이에요. ("아, 그때는 안식년이셨을 거에요") 네… 그래서 뭐 못간다고 할 수도 없고 그래서. (웃음)"

그렇다. <아버지의 편지> - 김연수 작가 - 정민 교수로 이어지는 이 '크리'의 동시성(synchronicity)! 그것이 이 좋은 금요일에 꼼짝없이 이런 페이퍼를 쓰게 만든 것. 아 이 가혹한 운명이란…


어쨌거나 정민 교수에게는 그런 면이 있는 모양이다. 거절하기 힘든 면이. 그에 더해, 여느 대학 강단에서 보기 드물게 조는 학생들의 꿀밤을 때리기도 하고, 공부를 제대로 하지 않는 학생들(?)을 준엄하게 꾸짖기도 하는, 그런 모습이. 그러니까 '아버지 같은'이라고 부르고 싶어지는, 그래서 내게, 대학 내내 요리조리 빠지며 그 분의 수업을 듣지 않도록 만들었던 모습이.

하지만 자식은 언젠가 자라 또 다른 자식의 아버지가 되고, 제자는 어느새 자라 스승의 책을 판다. "그게 얼마나 숭고한 일인지"는 온전히 알지 못할지라도, 적어도 그의 책을 눈앞에 놓고 있는 오늘, 그 마음만은 미루어 짐작 할 수 있을 것만 같고(그래야 할 것 같고), 그래서 부질 없는 말을 자꾸만 늘어놓게 되었다는 이야기. ('왜 이 페이퍼는 개인적일 수 밖에 없나'에 대한 길고 지루한 변명!)

너무 늦었지만 각설하고 들어가면, 이 책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편집장의 선택'을 위해 간략하게 정리한 내용이다)

"선인들의 생동하는 삶과 사유를 오롯이 담은 글을 우리에게 소개해 온 정민 교수가 이번엔 옛 아버지들의 편지를 소개한다. 오늘날 부모들이 자식의 대학입시에 목을 매듯 자식의 과거 급제를 위한 노심초사에서부터, 직접 담근 고추장을 보내니 사랑채에 두고 밥 먹을 때마다 함께 먹으라 이르는 자상함에 이르기까지. 이황, 유성룡, 박지원 등 우리에겐 그저 역사 속 인물로만 남아 있는 인물들의 자식 사랑이 우리의 부모와 다르지 않아 더욱 애틋하기만 하다."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편지의 주인공들은 이황, 백광훈, 유성룡, 이식, 박세당, 안정복, 강세황, 박지원, 박제가, 김정희- 총 10명의 인물들. 눈익은 인물도, 조금 눈설은 인물도 있지만 시시콜콜하고 노심초사하며 사려깊기도 한 편지 속에서 발견하게 되는 것은 모두 낯익은 아버지의 모습이라는 것.

아버지의 모습이야 사실 설명한다고 되는 것도 아니고, 그저 가장 즐거웠던 편지 한 토막을 옮기는 것으로 부족한 설명을 대신하려 한다. 역시나 연암 박지원의 '고추장 편지'. 사실 알만한 사람은 다 알만한 편지이고, 책 속에는 연구자가 아니라면 모를, 그렇지만 멋진 다른 편지들도 많이 있지만, 그래도 그냥 넘어가기엔 너무 아쉬움이 커서.



직접 담금 고추장 한 단지를 보낸다 - 안의에서 종의에게 보낸 편지


'아동기년(我東紀秊)' 2권을 지었다. 실로 소략한 점이 많으니 탄식할 만하다. 비록 그렇긴 해도 상고하여 살피기는 좋으니, 모름지기 뇌아(차남 종채)에게 주어 때때로 자세히 살피게 하는 것이 좋겠다. 어려서 총명할 때 보지 않으면 안 된다. '박씨가훈(朴氏家訓)' 1권은 올라갔더냐? 선조의 휘자(諱字)는 푸른색 종이로 가리면 어떻겠느냐? 이 책은 절대로 다른 사람에게 빌려주어서는 안 된다. 잃어버리기 쉽기 때문이다.

'소학감주(小學紺珠)'는 간신히 베낀 것인데 잃어버렸다니, 어찌 애석하지 않을 수 있겠느냐? 네가 서책에 대해 성의 없기가 이와 같으므로 늘 안타까워하는 것이다. 나는 문서를 살피는 여가에도 오히려 한가한 일에까지 미쳐 때때로 책을 저술하고 혹 법첩을 임서하며 붓 글씨 연습을 한다. 너희가 1년 내내 무슨 일을 일삼고 있는 게냐?

내가 4년 간 '강목'을 열심히 읽어 처음부터 끝까지 두 번 세 번 되풀이해 읽었어도, 늙고 보니 책만 덮으면 문득 잊어버리고 만다. 그래서 어쩔 수 없이 작은 책자 하나를 만들어 초록했지만 전혀 긴요하지 않은 책이 되고 말았다. 나는 비록 손발이 근질거려 한 것이라 스스로 그만둘 수는 없지만, 너희가 심심하게 날을 지내며 그럭저럭 세월을 보내는 생각을 하니 어찌 매우 애석하지 않을 수 있겠느냐? 젊을 적에 이와 같다면 장차 늙어서는 어찌 지내려는 게냐? 허허!

고추장을 작은 단지로 하나 보낸다. 사랑에 놓아두고 밥 먹을 때마다 먹으면 좋겠다. 이것은 내가 손수 담근 것인데, 아직 잘 익지는 않았다.

말린 고기 세 접
곶감 두 접
볶은 고기 한 상자
고추장 한 단지.

(본문 200~201페이지, 편지 전문)


책을 읽는 내내 이런 아버지의 마음, 그러니까 "'아니겠냐'의 '겠'과 '냐' 사이에 'V자'를 그려놓고 '느'를 부기"하는 마음 같은 것이 애틋하고 또 절절하게 다가와 자꾸 자꾸 곱씹게 된다. 그리하여, 대학 4년 내내 그 분의 수업을 제대로 들은 적이 없는 스스로의 치기를 조금 뼈아프게 반성하기도 하는 것이다. 모든 반성처럼, 이 또한 너무 늦은 것이 되어 버렸지만. 사실 이 늦은 반성조차 꽤나 부족한 것이겠지만.

"내게 보낸 편지에서 "어차피 인생이란 그런 것이 아니겠느냐"라고 아버지는 쓰고 싶었던 모양이다. '아니겠냐'와 '아니겠느냐'가 어떻게 다른지 나는 아직도 모르고 있다. 세월이 흘러서 나도 내 아이에게 용기를 북돋아주기 위한 편지를 쓸 때쯤이면 그 차이를 알지도 모르겠다.

그때는 나도 왜 아이는 자라 어른이 되는지, 왜 세상의 모든 불빛은 결국 풀풀풀 반짝이면서 멀어지는지, 왜 모든 것은 기억 속에서만 영원한 것인지 깨닫게 될 것이다."
라고 말했던 어떤 작가처럼, 나 역시 깨닫게 되는 날이 오지 않을까, 라고 스스로 위로 하는 수밖에.



* 그런데, 정민 선생님의 좀 '어려운 면',  그러니까 내가 위에서 '아버지 같은'이라고 표현했던 그 면이, 실상 손아래 사람한테만 보이는 모습은 아닌 모양이다. 정민 선생님의 스승인 이승훈 선생님은 언젠가 (그러니까 정민 교수가 안식년이었던 그 해) 학생들과 함께 갔던 학술 답사에서 이런 말씀을 하셨다고 전해진다.

"아이고, 민이가 안오니까 이렇게 편하네"

** 그렇지만 그 사제지간은 또한 애틋하기도 한 모양이어서 지난 2004년에 출간된 이승훈 선생님의 시집 <비누>의 말미에, 정민 교수가 아래와 같은 멋진 글을 남기기도 하는 것이었다.

>> 접힌 부분 펼치기 >>

*** 아버지는 말하셨지 "○○○ ○○○" 라는 이상한 제목에 들어갈 아버지의 말씀은, 이 책을 읽으실 독자 분들의 몫으로 남기며 마무리 하겠습니다(;). 너무 개인적인 페이퍼가 되어 버렸네요.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곰탱이 2008-11-03 22: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개인적이라 더 재밌네요 ㅋ

활자유랑자 2008-12-01 17: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곰탱이 님 / 이만치 시간이 돌아 다시 보니 역시나 부끄럽네요 ; 고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