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삼관 매혈기
위화 지음, 최용만 옮김 / 푸른숲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장편소설들을 읽다보면,  인물의 성격이나 주제를 위해 반복되는 패턴들이 눈에 금새 들어와 소설을 끝까지 읽고 싶은 생각이 사라지곤 한다. (한동안 재미없는 영화의 대명사가 되었던 '한국영화'들이 실패했던 원인도 그것이 아니었나 싶다^^)

읽어볼만한 소설이라는 추천으로 이 책을 들었는데, 책을 다 읽을 때까지 좀처럼 반복되는 패턴을 찾기 힘들었다.  '매혈'이라는 행위가 반복되고는 있지만, 그 '매혈'의 의미는 매번 달라지고 있었다.  결혼자금을 벌기 위해 충동적으로 한 행위에서 아내 대신 다른 여인에게 선물을 하기 위한 행위로 ... 남의 자식으로 판명된 일락이 때문에 잃은 재산을 되찾기 위한 행위에서  다시 그 일락이의 목숨 자체를 구하기 위한 행위로...  허삼관의 '매혈'은 궁핍한 환경속에서 자신의 생명을 서서히 잃어가는(아니, 종국에는 나누어주고, 그 나누어준 것조차 잊어버리는) 과정인데, 여기서 작가의 주제의식을 추출하자니 나같은 상투적인 독자수준으로는 여간 곤혹스러운 게 아니다.

다만,  '눈썹과 좆털의 불평등'을 인식하는 정도의 이 '허삼관'이 그 주변인물들에게 기여한 "그 무엇"이, '시대의 혁명가'라고 칭송되는 '체 게바라'나 '아름다운 청년'이었던 '전태일'이나  '의인'으로 기억되는 '이수현' 등의 대중적인 영웅이 기여한 "그 무엇"과 결코 다르지 않다는 걸.... 작가는 슬그머니 나에게 세뇌시키는 듯 싶다. 이게 바로 암시적인 주제인지....아닌지.......나로서는 알 수 없지만,  그렇다고 작가인 '위화'한테 직접 묻는 것도 예의가 아닌 듯 싶으니....... 두고두고 생각해 볼 문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