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글쓰기 생각쓰기
윌리엄 진서 지음, 이한중 옮김 / 돌베개 / 200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언젠가 혼자 생각해본 적이 있다.
'쓸모없는 표현들이 잔뜩 들어간 글을 쓰게 된 이유가 무엇일까?'
물론 1차 원인은 내 생각이 쓸모없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었다.
2차 원인은 쓸모없는 표현이 잔뜩 들어간 글들을 좋은 글이라고 배워온 습관 때문이었다.
-80년대 중고등학교를 다녔는데, 그 때 내가 가장 싫어했던 교과는 바로 국어였다.
이유는 '국어교과서'의 글들이 모두 마음에 들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대학에 들어간 후 전공서들과 각종 신문, 잡지 등을 읽으면서
그 마음에 안드는 '국어교과서'적 글들을 계속 만나야했다-
그러나,
좋은 습관은 인간의 인격마저도 바꾸어낸다.
나는 글쓰기 습관을 조금씩 뜯어고치면서
내 사유가 한결 간결해지고 쓸모있어지는 걸 경험했다.
그 과정에서 첫 도움을 주신 분은, 지도교수님이셨던 '이대규교수님'이셨다.
그분의 저서들 '국어교육론' '수사학' '문학의 해석' '수필의 해석' 속에는 군더더기 표현이 없다.
그래서 그 책들을 읽어가고 옮겨적으면서
나는 간결하고 효과적인 글쓰기 훈련을 시작했던 셈이다.
하지만, 교수님 글은 모두 설명문이었고 논증문이었기에
실제 내가 즐겨쓰는 다양한 글-실용문(논픽션류)들, 문학 소품들-을 쓰기 위한
효과적인 지침은 찾을 수 없었다.
그런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다가 만난 책이 바로 이 책 '글쓰기 생각쓰기'이다.
(여기서 문학적 글쓰기의 방향을 섬세하게 제시하는 책도 추가로 발견했는데,
바로 '안정효의 글쓰기 만보'였다)
내가 학교에서 아이들에게 국어를 가르친 지 몇 년 되지 않았지만,
가장 흥미롭고 답답했던 부분이 바로 '글쓰기'지도영역이었다.
그래서, 내 나름대로 '국어교과서'(특히, 생활국어 교과서)를 아예 내팽개치고
새로운 좋은글의 전형을 제시하고 그것을 흉내내어 쓰게 하고
'군더더기를 다 빼라, 이런 순서가 더 효율적이다, 이런 점은 정말 매력적이다'라며
아이들에게 쉴 새 없이 쓰고 또 쓰게 했던 경험과 이 책의 내용은 맞닿아 있었다.
내게 배운 아이들은 "우와, 오늘도 또 써요? 제발 이제 그만..."
그렇게 앓는 소리들을 시간마다 낸다.
그 소리가 내게는 "선생님, 정말 감사해요~~"라고 자동번역되어 들리니,
내 착각 덕분에 나는 나대로 '쓰기지도' 때문에 바쁘고
아이들은 아이들대로 '쓰느라' 바빴다.
이제 이 책 덕분에 나와 아이들은 더욱 제대로 바빠질 것 같다.
이 책의 목차에는 글쓰기 지도의 모든 것이 다 아우러져 있다.
여러번 읽고 '나의 글쓰기 '를 실험삼아 반복하여
아이들에게 딱 맞는 '글쓰기' 방향과 지침을 만들어갈 계획이다.
좋은 책일수록 소장해두고 두고두고 봐야한다.
이 책을 책장에 가득 꽂아놓고 선물용으로 -동료교사들, 교수님들, 아이들에게...-
나누어주고 싶지만, 내 월급이 그걸 허락하지 않으므로...
일단 홍보부터 해둔다.
"일단 한 권 사 두거라/두세요! 무조건 사서 여러번 보아라/보세요!" 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