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만의 길을 가라> 서평단 알림
너만의 길을 가라 - 인생의 숲에서 길을 잃은 당신을 위한 안내서
프랜시스 타폰 지음, 홍은택 옮김 / 시공사 / 2007년 11월
평점 :
품절


"인생의 숲에서 길을 잃은 당신을 위한 안내서"라는 문구가

책제목인 "너만의 길을 가라" 위에 자그맣게 쓰여져 있다.

그렇다면 글자 크기로 보아 "~~~안내서"가  부제인 셈인데,

오히려 부제가 제목으로 더 적절하다.

왜냐하면, 이 책은 현재 자신의 인생을 묵묵히 걸어가는 사람들

-즉, 인생의 숲에서 길을 찾아낸 사람들-이 이미 터득한 삶의 작은 지혜를 다루므로

현재 길을 잃고 헤매는 사람들 정도에게만 도움이 될 책이기 때문이다.

또, '너만의 길을 가라'라는 다소 명상적인-범위가 넓은- 문구보다는

원제목인 'HIKE YOUR OWN HIKE'가 글의 구조나 내용을

더 잘 예측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딱맞는 제목이었다는 생각도 든다.

*

작가는 AT종주라는 기나긴 여행길을 매개로 인생에서 적용할 만한 교훈을 추출해낸다.

목차를 보면 작가가 정리해낸 일곱 가지 원칙을 확인할 수 있다.

첫번째 원칙 -인생의 숲 깊은 곳에서 오직 너만의 길을 가라

두번째 원칙-거친 황야에 우뚝 솟은 정상의 열병을 조심하라

세번째 원칙-차가운 바위 그늘에 숨겨진 열정의 씨앗을 캐내라

네번째 원칙-오래된 낙엽 밑에서 앞서간 이들의 발자국을 발견하라

다섯번째 원칙-위대한 진실을 찾는다면 가장 단순한 진리를 살펴봐라

여섯번째 원칙-숲에서 만난 낯선 여행자에게 배려하는 마법을 행하라

일곱번째 원칙-정말 중요한 것은 그것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임을 기억하라

그런데, 나는 이 책을 다 읽고 나서

작가가 여행인으로서 종주를 함으로써  삶의 교훈을 얻은 것이 아니라

상담가로서 다소 의식적으로 삶의 교훈을 찾기 위한 방편으로

종주길을 선택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리 가나 저리 가나 '종주를 통해 얻은 교훈'을 다룬 책이 나올 수 있겠지만,

지혜를 의식한 채 완주한 이 종주 이야기에서는

왠지 작가의 깨달음이 그리 절절한 것으로 느껴지질 않는다.

뭐랄까?

깨진 장독에 열심히 물을 들이붓는 성실한 자세는 보이지만

결국 그 장독을 끝내 채우지 못하고 말 것 같은 불안함이 작가에게서 느껴졌기 때문이다.

그 불안함은 에필로그에서 다음과 같이 확인된다.

pp.334-335

나는 지금도 다음 여행을 준비하고 있다. 미래의 모험에서 어떤 교훈을 얻을지는 모른다. 다만 익명으로 온 다음의 이메일이 몇 가지 아이디어를 주었다.

"내가 아무리 신경을 많이 써주더라도 어쩔 수 없는 멍청이가 있다는 것을 배웠다. 신뢰를 쌓는 데는 수년이 걸리며 신뢰를 무너뜨리는 데는 명백한 증거가 아니라 단지 의심만으로도 충분하다는 것을 배웠다. 자신을 남과 비교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배웠다. 남들은 생각보다 더 엉망이다. 누군가가 나를 사랑하도록 만들 수 없다는 것을 배웠다.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그들을 뒤따라다녀서 그들이 놀란 나머지 내 요구를 받아주기를 바라는 것뿐이다. 인생에서 가장 소중한 사람들은 너무 빨리 떠나가고 덜 중요한 사람들은 영원히 가지 않는다는 것을 배웠다...<중략>"

익명의 이메일 내용은 어수룩하기만 하다.

작가가 글 전체에서 제시한 일곱가지 원칙을 묵묵히 실천으로 옮긴다면

다 저절로 해결될 문제들을 나열해놓은 글이다.

그런데, 이 유치한 이메일 내용이 작가에게 새로운 여행의  아이디어를 준다는 것은

작가 또한 이메일 작성자처럼

여전히 삶의 지혜를 체화해내지 못한 수준이라는 것을 증명하는 셈이다.

즉 작가의 깨달음-앎-은,

'지행합일'이 아닌 '생각 따로' '행동 따로' 수준의 것이 되고 마는 셈이다.

아직, '자신의 길만을 묵묵히 간다는 것이 무엇인지 삶으로 체화하지 못한 사람'이 쓴

'자신만의 길을 가라'라는 글을 어떻게 읽어야 할 것인가?

여기저기 재미있는 일화나 비유나 인용문들로 잘 꾸려놓은 이 책 전체에 대한 신뢰가

에필로그에 이르러 흔들릴 수밖에 없었다. 

좋은 책은 어떤 구조를 갖추더라도

작가의 의식 수준의 일관성이 엿보이기 마련이다.

경전을 보고, 고전을 보면

깨달음에 대한 텍스트들이 갖춘 '언어를 뛰어넘는, 일관된 사유'라는 세계를 만날 수 있다.

어떤 상황에 처한 사람이 읽더라도

작가의 일관된 의식, 체화된 의식을 느낄 수 있는 책이 좋은 책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