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선생 지식경영법 - 전방위적 지식인 정약용의 치학治學 전략
정민 지음 / 김영사 / 200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이 퍽도 매력적이다.

(시의성, 상업성이 잘 고려되어 있다. 한마디로 '대중적'이다)

"지식 경영법".................

아니나 다를까, 책을 읽기 시작한 지 얼마 안되어 우연히 본

이 책을 다룬 작년말 'kbs책을 말하다'프로그램을 보니,

정말 '다산선생'을 대중적으로 한껏 평가하고 음미하는 모양새였다.

책이 의도한 바가 성공한 것일까?

(2006 올해의 책으로까지 선정된 걸 보면.. 성공하였다고 할 수도 있겠다)

또 한편으로 문득 떠오르는 것은

최재천 교수님이 TV에서 책에서 강조하고 있는

'과학의 대중화'가 '과학의 저질화'로 치닫고 있다는 우려들이었다.

정말 '고전의 대중화'를 꾀하는 여러책들이 쏟아지는 마당에

그 대중화에서 얻은 성과가 무엇인지 무척 궁금해진다.

(특히, 청소년 아동용으로 쏟아지는 고전해석서들 중 많은 책들이 수준미달이다...)

고전 그것도 경학자의 사상, 생애에 대한 핵심은,

바로 '지식'과 '실천'이 하나된 '깨달음'이었다는 점이 아닐까 싶다.

그러니 경학자의 '지식경영'은 곧 '삶의 경영'의 일부분으로 이해될 때

온전한 가치를 지니지 않을까?

다산의 삶에 대한 조심스런 이해를 바탕으로 읽지 않으면

이 책은 자칫 '이걸 통해 다산 선생의 지식경영법을 알게 되었다'는

편견과 오만을 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논술을 위한 논술적 해석과 요약이 판을 치는  '고전도서 시장' 전체가

소위 똑똑하다는 중고교생들을

편견과 오만에 가득찬 예비지식인으로  만드는 부작용도 정말 끔찍하다)

고전은 그 속에서 삶의 깊이와 향기가 어우러져 있으므로

우리 삶을 성찰하기 위해 읽혀져야 한다.

그러니,

다산의 '지식경영법'을 그야말로 '지식경영법'차원으로만 읽는 오류를 범하지 않기를

바랄 따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