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연극의 이해
정성희 지음 / 연극과인간 / 200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교육연극 연수를 떠나기 직전  한 번 훑어보고

연수를 마친 뒤 다시 한 번 훑어보았습니다.

교육과 연극이 어떻게 만나는지

그 역사와

그 철학적 배경이

잘 정리되어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구성주의 교육관'이 근본적인 교육철학적 배경이 되고

'헤스컷의 교육관'을 통해 '교육연극'의 실체가 잘 드러나고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간 잘 모르던 교육자인 '헤스컷'에 대한 언급들을 읽다가

무척 공감이 되는 부분을 찾아 밑줄을 그어봅니다.

pp. 150-151

헤스컷에 있어 이상적인 교사는

'사물과 관련된 것'과 '사람과 관련된 것'간의 차이점을 알고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이 두 가지는 모두 이상적인 교사의 특성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지만,

보다 중요한 특성은 사람과 관련된 것에 관한 능력에 있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교사는 학생이 학습장면에 가지고 오는 모든 것을 수용하고 활용하려는 의지를 보이면서,

학생은 물론이고 그와 동시에 학생이 학습상황에 가져오는 모든 것을 존중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학생과 관련된 것을 수용하고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교사의 능력을 의미한다.

<중략>

이상적인 교사는 학생들에게 문제를 여러 가지 다양한 방식으로 제시하고자

끊임없는 모색을 시도해야 한다.

교사는 학생들로 인해 위축되어서는 안 되며,

그들을 압도할 수 있는 자기 확신이 있어야 하며,

필요하다면 학생의 의견을 거부할 수 있어야 하고,

자신의 의견을 강요할 수도 있어야 한다.

요컨대, 교사는 교육의 초점과 의의를 일관성 있게 견지하면서,

대상에 대한 관심을 촉진할 수 있도록

학생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동시에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pp.155 - 157

학생을 위한 봉사자가 되기 위해서 먼저 교사는 그 주된 대상인 학생을 알아야 한다.

그것은 학생이 무엇을 알고 있는가가 아니라,

그 학생이 누구인가, 무엇인가라는 인격체로서의 성격과 특성을 지각하고 있어야 한다.

즉, 교사는 학생들의 동기, 요구, 잠재력, 특성, 경향성에 대한 통찰력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통찰력을 갖기 위해서 교사는 학생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유연적이고 개방적인 사고를 하고 있어야 한다.

잠재적 특성이나 표현적인 특성과 같은 학생의 상태를

교사는 어떠한 첨가없이 있는 그대로를 수용하고 분석해야 한다.

이러한 분석에 기초하여 봉사자로서 교사는

학생의 요구에 맞는 학습 환경을 형성하고,

역으로 학생의 요구는 교육과정의 요구에 순응할 수 있는 환경으로 전환될 수 있어야 한다.

다음으로 진정한 봉사자로서 교사는

교실 상황을 제대로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교사는 학급에 들어가기 전에 그 학급의 태도, 에너지 수준, 공간적 행동 등등과  같은

사회적 건강을 먼저 분석해야 한다.

즉, 학생을 포함하고 있는 교실 상황의 언어적 기호, 비언어적 기호, 물리적 환경에

대해서 민감하게 감지하고 그 의미들을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마치 배우가 연극 대본을 읽고서 일차적으로는 즉각적인 이해를 하고,

그 다음으로는 그것을 시각화하여 신체적 제스처와 행동과 음성으로 옮길 수 있어야 하는 것처럼,

교사는 교실 환경의 모든 기호와 이미지를 읽고서 그 의미를 명료화할 수 있어야 한다.

역으로 교사는 자신의 이미지를 교실에서 어떻게 효과적으로 사용할지도 학습해야 한다.

이미지와 기호는 교실에서 의사소통을 위한 강력한 표현적 수단이 된다.

따라서 교사는 이미지와 기호에 대한 민감성을 발달시킴으로써

학급의 요구에 맞는 적절한 이미지와 관련된 기호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하고,

그것을 어떻게 사용할 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사는 수업에 영향을 주는 소음의 수준, 공간의 사용, 학급의 크기 등등의 외적인 요인들을

분석할 수 있어야 하며,

이러한 비언어적 기호와 물리적 환경에도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이로 인해 교사와 학생 간의 보다 깊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되며

총체적인 상호작용적 환경을 구성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