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키친
요시모토 바나나 지음, 김난주 옮김 / 민음사 / 1999년 2월
평점 :
무라카미 류나 하루키, 요시모토 바나나 등 일본 작가의 작품이 한국의 출판계에서도 맹위를 떨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키친>은 요시모토 바나나의 데뷔작이기도 하면서 그녀의 이름을 한국에 널리 알린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책은 크게 세 편의 중편 소설들로 이루어져 있다. 앞의 두 소설은 연작이라고 할 수 있으며, 뒤의 마지막 소설은 앞의 두 편과는 다른 내용으로 채워져있다. 하지만 세 소설 모두 등장 인물들이 처하는 상황과 주제 의식이 비슷하다고 밖에는 볼 수 없는 유사성이 존재한다. 즉 작가는 세 소설을 통해 하나의 메세지를 전달하려고 하고 있는 것이다.
작가가 전달하려고 하는 중심적인 메세지는 '상처의 극복'이라고 할 수 있다. 앞의 두편인 <키친>과 <만월>에서는 마지막 가족인 할머니를 잃은 미카게와 트랜스젠더 어머니 에리코를 잃은 유이치가 등장한다. 둘은 서로가 서로를 의지하면서 그 상처를 극복하고 있다.
<키친>이라는 단편에서는 가족을 모두 잃은 미카게가 마지막 피붙이인 할머니를 잃으면서 시작하고 있다. 하지만 유이치가 자신의 집에서 살아도 좋다면서 미카게에게 도움의 손길을 뻗치게 된다. 유이치의 집에서 살면서 유이치와 에리코의 과거를 알게되고, 같이 음식도 해먹으면서 서로가 친해지게 된다. 또한 그러한 과정을 통해서 서로가 가족을 잃은 슬픔의 앙금을 씻어내게 되는 것이다. 비슷한 처지에 있는 사람들끼리 서로 잘 통하고 감싸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부엌은 바로 미카게가 가장 좋아하는 장소인데, 아마도 사회 생활과 삶, 그리고 가족관계 또는 인간관계의 근원으로서의 의미를 가지지 않나 생각된다.
이어지는 중편인 <만월>에서는 유이치의 어머니인 에리코가 갑작스럽게 피살되는 것으로 시작한다. 상황이 바뀌어서 이번에는 유이치가 슬픔에 빠지는 것이다. 이 때 유이치가 미카게에게 같이 살았으면 한다는 말이나 같이 음식을 배부르게 직접 해 먹는다거나 하는 장면들은 그들이 가족을 잃은 아픔을 어떻게 치유하고 있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에는 지방 취재를 나온 미카게가 돈까스 덮밥을 유이치가 먹을 수 있게, 유이치가 있는 먼 숙소까지 직접 찾아가는 장면으로 마무리를 짓고 있다. 이런 식으로 서로가 서로를 의지하고 돕고 있는 것이다.
마지막 소설인 <달빛 그림자>에서도 남자 친구 히토시를 잃은 하츠키와 형 히토시와 여자 친구 유미코를 잃은 히라기가 나온다. 하츠키는 충격으로 불면증에 걸리고, 그것을 극복하기 위해서 새벽마다 조깅을 하게 된다. 그 와중에 만나는 신비한 인물인 우라라가 등장하는데, 이 우라라가 그들의 상처를 극복하게 하는 결정적인 인물로 설정되어 있다. 우라라는 하츠키가 히토시의 환영을 볼 수 있게 함으로써 과거의 추억을 정리하고 새로운 힘을 얻도록 한다. 히라기도 그와 비슷한 유미코의 환영을 보고, 그 환영이 그녀의 유품인 세일러복을 가지고 감으로써 과거의 짐을 덜게 된다. 또한 히라기는 하츠키가 아플 때 병문안도 가는 등 서로 친밀감을 느끼는 것으로 그려진다. 여기서도 서로가 의지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이다.
결국 작가가 말하려고 하는 것은, 서로가 서로를 의지함으로써 삶의 아픔들을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살아가며 많은 상처와 아픔을 겪게 되지만, 그러할 때마다 우리는 움츠러들고 외부와의 소통을 거부하게 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 소설을 통해 반성하는 것은, 그러할 때에 더욱 가슴을 펴고 도움을 요청하고 때로는 도움을 주는 그런 소통 관계를 통해서 상처를 극복할 수 있다는 점일 것이다.
사실 수업 리포트를 써야하는 관계로 이 책을 읽어야 했는데, 대체로 깊이가 부족하지 않나 생각된다. 뭔가 특별한 인식이나 성찰을 기대했었는데 기대가 컸는지 실망스러웠다. 분량이 많지 않고 쉽게 잘 읽히며, 풍경 묘사가 뛰어나다는 점은 장점으로 꼽을 수 있을것 같다. 메세지의 진정성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아쉬운 느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