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끼리는 생각하지 마 - 미국 진보 세력은 왜 선거에서 패배하는가
조지 레이코프 지음, 유나영 옮김, 나익주 감수 / 와이즈베리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르's Review

얼마 전 시행되었던 4.29 재보궐선거를 앞에두고 성완종리스트의 문제가 야기됨은 물론 그 안에서 이완구전 총리의 뇌물수수에 대한 사건까지 더해지게 되면서 이번 선거의 결말이 어떻게 나오게 될지 많은 사람들의 귀추가 주목되고 있었다. 무엇보다도 비리에 연루된 이들의 명단이 여당과 관련된 이들이 많았기에 금번 선거가 여당의 심판이 될 것인지 그럼에도 여전히 여당의 건재함을 보여줄 것인가에 대한 궁금증이 증폭되고 있었는데 결론적으로 금번 재보궐선거는 야당의 참패로 마무리되었다.

프레임이라는 것은 보거나 만질 수 없는 것이지만 우리의 뇌가 무의식 중에 반응하는 것으로서 상식이라는 이름으로 우리가 생각하는 것들이 바로 프레임의 대표적인 예로 볼 수 있다. 어떠한 이야기 혹은 어떠한 것을 들었을 때 우리가 하게 되는 추론들이 바로 프레임의 틀 안에서 작용하는 것이기에 언어를 통해 만들어내는 프레임은 궁극적으로는 사람을 움직이는 힘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모든 정치는 도덕적이지만, 모두가 똑같은 도덕적 관점에 근거하거나 행동하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도덕적 신념의 상당 부분은 무의식적이다. 우리는 가장 깊숙이 품고 있는 도덕적 관점에 대해 의식조차 못할 때가 많다. 앞으로 보겠지만, 미국의 정치 진영을 둘로 가르는 것은 곧 도덕의 차이다. 우리는 이 도덕의 차이를 이해하고 진보와 보수의 도덕 체계가 어떠한지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문

그러니까 프레임은 도덕적 관념을 통해서도 전혀 다른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는데 진보와 보수는 동일한 안건 안에서도 전혀 다른 도덕적 관념을 바라보게 되기에 그들이 선택하는 프레임 자체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보수는 엄격한 아버지의 틀을, 진보는 다정한 부모의 형태로서 존재하게 되는데 가난한 이들의 구제라는 문제 앞에서 진보는 현재 눈에 보이는 이들을 먼저 도와야 한다는 생각으로 그들을 향해 자신들의 자금을 쪼개어 내어 놓는 반면, 보수의 입장에서는 현재 당면한 문제는 그들이 해결해야 하는 것이 아닌 그 개인이 해결해야 하는 것으로 바라보는바, 보수주의자들은 자신들의 집단의 프레임을 구축하기 위해서 미디어 노출을 점점 늘리는 것은 물론 미국 전역에 보수주의자들을 양성하는 곳에 비용을 지출하고 있다. 그러니까 다정한 부모의 노릇을 자처하는 진보의 입장에서는 미래를 위한 투자보다는 현재 눈 앞에 보이는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에 더 우선순위를 두는 반면, 보수의 입장에서는 현재의 문제는 문제를 당면한 그들 스스로 해결해 나아가야 하는 것이기에 보수의 수를 점점 늘리는 데에 초점을 맞춰 행동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투표를 하는 이들이 자신의 이익에 쫓아 투표를 하는 것이 아닌 자신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하여 투표를 하고 있다는 현재의 모습을 보면서 금번 재보궐 선거의 결과에 대한 이유를 가늠해 볼 수도 있다.

그저 하나의 프레임이 전해지는 것은 그 하나의 단어 혹은 목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라고만 받아들이고 있었는데 이 하나의 프레임이 탄생하기 위해서는 암묵적인 목적을 기반으로 한 진보와 보수의 팽팽한 줄다리기가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이 안의 이야기들을 한번쯤을 읽어봐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생각하는 대로 살지 않으면 사는 대로 생각하게 된다는 이야기가 이 책을 통해서 다시금 전해지게 된다.

전체서평보기 : http://blog.yes24.com/document/8044574

아르's 추천목록

생각해봤어? / 노희찬, 유시민, 진중권저

독서 기간 : 2015.04.30~05.0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