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의 세계사 - 인류의 문명을 바꾼 7가지 금속 이야기
김동환.배석 지음 / 다산에듀 / 201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르's Review

 

        

 인류의 역사 속에 담고 있는 금속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는 이 책을 펼쳐보기 전까지만 해도 과연 금속이라는 것이 우리네 지난 날 속에서 얼마나 많은 역할을 해왔던 것일까, 라는 의문이 들었던 것이 사실이다. 금속이라는 것을 이용한 것은 현대에 들어서 사용했던 것이 아닐까, 라는 막연한 생각만이 맴돌고 있던 나로서는 이 안에 들어있는 엄청난 이야기들은 그야말로 그 전에는 존재하는 지도 몰랐던 신세계로서 그저 현재 사용하고 있는 금속이 아닌 인류 속의 역사를 이끌어 왔던 한 축이었다는 금속에 관한 이야기는 알면 알수록 즐겁기 그지 없는 지식의 샘으로 다가왔다.

 구리에서부터 수은까지, 우리네 역사에 큰 축을 남긴 금속부터 하나씩 만나보는 시간은 학창시절 과학시간에 만났던 화학 시간의 복잡하고 지루했던 순간을 넘어 스스로 찾아보게 하는 즐거움을 전해주고 있다.

 우리는 인류의 역사를 금속을 중심으로, 석기 시대까지의 비금속기와 청동기 시대부터의 금속기로 나누어 구분 짓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고 있다. 그러나 정작 인류가 석기 시대를 벗어나게 해 준 최초의 금속이 무엇이었는지, 우리가 무심코 청동기 시대라고 구분 짓는 그 시대 속에서 금속이 어떻게 인류의 삶을 변화시켰는지. 현재 진행 중인 철기 시대를 이끌어 온 것은 누구이며 앞으로 이 시대가 얼마나 더 지속될 것인지를 생각해 본 적이 없었다. 금속이 인간의 삶 속에 너무도 자연스럽게 녹아 있어서 그런 것일까. 마치 공기의 존재가 당연하게 느껴져 그 중요성 대한 인식이 옅어지는 것과 같이 우리는 역사 속 금속의 역할에 대해 너무나 관심이 없다. –본문

인류 최초의 금속으로 알려져 있는 구리는 고대 자신의 영역을 널리 알리기 위한 수단으로서 동전 속 자신의 모습을 새겨 넣기도 했으며 때론 구리를 가지로 장식품인 송곳을 만들기도 하고, 성경을 기록하는 재료로도 이용해 왔다고 하니 10원짜리 동전의 재료로 익히 알고 있던 구리의 면모가 색다르게 보이는 순간이 아닐 수 없다. 뿐만 아니라 닥터 코퍼라는 이름으로 세계 경제의 지표를 예측하는 원소로도 자리매김을 했다고 하니, 널리 이용하기도 쉬울뿐더러 매장량도 나름 풍부한 구리가 왜 인류가 이토록 오랫동안 구리와 함께 해 왔는지를 되새겨 보게 된다.

납은 일반적으로 구리, 아연, 은 등과 함께 화합물로 발견되기 때문에 납을 얻기 위해서는 녹여서 납만 추출하는 제련 과정을 꼭 거쳐야 한다. 그런데 이렇게 정교한 납 비드가 발견되었다는 것은 납이 함유된 광석을 용광로에 녹여서 적당한 크기의 납 덩어리로 만드는 공정이 차탈휘이크에선 이미 행해지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도 언제? 기원전 6500년 전에! 납 비드의 제작 연대를 검사해 보니 지금까지 기록된 어떠한 납 사용 연대보다 앞선 기원전 6500년 전으로 확인되었다. 인류 최초의 납 공예인이 차탈휘이크에 거주했다는 사실이 이로써 명백해진 것이다. –본문

 유연휘발유나 박가분 안에 있던 납의 모습을 보노라면 인간에게 함부로 다뤄서는 안될 금속이라는 것이 명백하지만 이 납은 방사선의 노출을 방지하는데 있어서 없어서는 안되는 자원이라고 한다. 납 중독이라는 것에만 포커스를 두어 납, 하면 무조건 피해야만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던 나에게 있어서 납이 인간에게 전해줄 이득과 위험은 모두 인간의 손 안에서 피어나는 것임을 배우게 된다.

 은보다는 금이 현재의 우리에게는 더 큰 가치로 다가오기에 둘 중 하나를 선택하라고 한다면 누구나 금을 택하겠지만 고대에 있어서 은은, 특히나 이집트의 파라오에게 있어서 갖고 싶어도 가질 수 없는 금속이었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은은 질병을 치료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에 음식이나 물이 부패하지 않도록 돕는 것은 물론 화상이나 상처를 치료하는 대도 쓰였다고 하니, 은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가치가 높았던 그때로 시간을 되돌려 과거로 돌아가고 싶어 하지 않을까. 여하튼 금보다 귀한 이 은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련 공정을 거쳐야 한다고 하니, 은을 쓰기 위한 인류의 노력은 아주 오래 전부터 계속 되어 왔음을 보여주고 있다.

눈부시게 번영했던 이집트 문명을 들 수 있다. 고대 이집트 제4왕조가(기원전 2613!2498)가 지는 후부터는 이집트에서도 청동이라는 놀라운 재료를 알고 있었으나, 주 원료인 주석을 구할 수 없었기 때문에 제 12왕조(기원전 1991~1786) 무렵까지는 청동기를 만들어 내지 못했다. 4왕조에서 제 12왕조에 걸쳐 이집트 문화는 다른 여러 지역의 청동기 문화나 철기 문화보다도 훨씬 높은 수준에 도달해 있었는데 단지 청동이 없어서 못 쓴 것일 뿐이지 기술이 부족해서 못 쓴 것은 아니었던 셈이다. –본문

 청동기 시대를 열었던 주석의 이야기는 너무도 당연히 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의 순으로 진행되는 것이라 생각했으나 주석이 지구 상의 모든 곳에 존재하지 않았기에 청동기를 쓸 수 없던 상황의 역설은 이전에는 생각지도 못했던 문제를 드러내는 것이었다. 시대를 구분하는 삼시대법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는 하지만 청동기 시대가 전 세계 적으로 동시에 발생했다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생경하지만 신기하게 다가온다. 뿐만 아니라 주석의 동소체에 따라 나폴레옹의 진격은 실패로 돌아갔으며 극지방을 탐사했던 스콧은 죽음을 면치 못했으니, 금속이 역사 안에 담아 놓았던 비밀은 알고 보면 끝없이 이어지고 있다.

 지구 상에 있는 철이 회색조의 빛깔이겠거니, 라 생각했던 나에게 있어 철의 원색은 은빛이라는 것을 전해주고 있으며 지구상에 존재하는 금속 중 유일하게 액체로 존재하는 수은은 현재의 우리에게는 두려운 존재지만 진시황에게는 영생을 꿈꾸게 해주는 금속이었다고 하니, 금속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다시금 전해주는 반증이 아닐 수 없다.

 너무 익숙하게 사용하고 있어서 생각하지도 못했던 금속 안에 숨겨져 있던 역사가 이토록 장대했다는 것에서 페이지를 넘기면서 절로 고개를 끄덕거리게 된다. 인류의 역사를 바꾼 7개의 금속 이외에 또 다른 이야기들도 계속해서 전해지길 바라며 관련 내용들을 찾아보고 싶어진다 

 

아르's 추천목록

 

총, 균, 쇠 / 제러드 다이아몬드저


 

 

독서 기간 : 2015.03.15~03.17

 

by 아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