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할 시간이 그리 많지 않습니다 - 문학에서 찾은 사랑해야 하는 이유 아우름 2
장영희 지음 / 샘터사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르's Review

 

  

 책을 왜 읽어야 하는가에 대한 답은 다양한 것일 게다. 지식을 얻기도 하고 지혜를 구하기도 하고, 그 안에서 다른 사람들의 삶을 보기도 하고 한 권의 책을 통해서 타인의 삶을 살아보기도 하고 다양한 의미들이 있을 텐데 그 모든 것을 포괄하여 단 한 문장으로 말한다면 그것은 바로 사랑을 찾아서, 라고 저자는 말하고 있다.

 문학의 주제를 한마디로 축약한다면 어떻게 사랑하며 사는가에 귀착됩니다. 동서곡므의 모든 작가들은 결국 한 가지 주제를 전하기 위해 글을 썼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수많은 작가들이 나름대로의 사랑론을 펴거나 작중 인물들을 통해 사랑에 관한 메시지를 전달하였습니다. –본문

 유명한 명사이든 이름 모를 그 누구이든 상관없이 가슴 속에 따스한 사랑을 전하는 그들의 노력과 메시지는 늘 한결같이 순수하고 정갈한 느낌인데 그것은 가슴 속에 끓어오르는 순결함을 전하기 위한 근본적인 인간의 공통 분모인 듯 하다. 가장 뜨거운 것을 설명하기 위해 가장 단순한 형태로 전해지고 있는 모습을 보노라면 그럼에도 그 안에서는 진심이 절로 전해지고 있으니 말이다.

 음성이 사라져도 그 음색은 계속 맴돌게 되고 꽃이 져도 향기는 생생하게 남아 있듯이 그대가 떠나도 사랑은 영원할 것이라 말하는 이 한 편의 시를 마주하며 그 따스한 음색에 매료되어 사랑하는 이에게 당장이라도 전해주고 싶다는 생각이 들게 된다.

이 세상에 어차피 궁극적으로 혼자인 것은 없고 혼자일 수도 없습니다. 어떤 의미에서는 이것이 사랑의 철학이고 조건입니다.
 
현실 속 셀리의 사랑은 불행했습니다. 사랑보다 의무감에 한 결혼은 불행했고 사랑의 도피를 했지만 정말로 사랑하는 사람을 앞에 두고도 하나가 되지 못하는 괴로움을 겪었습니다. 동시에 타인에게 도덕적으로 타락자, 탕아라는 비난을 받아야 했습니다. –본문

 뿐만 아니라 <사랑의 철학>이라는 시 안에서는 강물은 바다로 감으로 하나가 되고 햇빛과 대지를 서로 끌어안고 하나가 되지만 이 모든 달콤함 속에서 그대가 내게 오지 않는다면 아무 의미가 없다고 말하는 시를 보면 그 간절함이 얼마나 깊은지를 전해 듣게 된다. 그러니까 이 시는 저자의 상황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것으로서 사랑하지만 하나가 될 수 없던 그의 안타까운 현실이 고스란히 담겨 있기에 더욱 쓸쓸하게 느껴지는 것이다.  

 물론 남녀의 사랑 이외에도 다양한 사랑의 모습을 마주할 수 있는데 아버지에 대해 말하고 있는 아버지는 누구인가에 대한 부분을 읽으면 울컥한 마음이 들게 된다.

아버지는 아들딸들이 나를 닮아주었으면하고 바라면서도 아니, 나를 닮지 않아 주었으면 하고 이중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다. 아버지는 가족에게 어른인 체를 해야 하지만 친한 친구나 맘이 통하는 사람을 만나면 소년이 되는 사람이다.
 
아버지는 가족들을 위해 온몸이 부서져라 일해도 부자 아빠가 못되어 큰소리 치지 못하는 사람이다. 어머니의 마음은 봄가을을 오고 가지만 아버지의 마음은 가을겨울을 오간다. –본문

 아버지가 아들에게 들려주는 이야기들을 한대 모아 들려주고 있는 <큰 물고기>의 이야기를 보고 있으면 절로 마음이 따스해 지면서도 그 애잔함이 느껴지게 된다. 무엇이든 아들에게는 최선의 것을 주고자 했던 그의 아버님의 느껴지기에 이 먹먹함은 심장을 관통하는 것일 게다.

 한 권의 책이지만 이 안의 수 많은 사랑을 마주하며 마음이 절로 따스해 지는 것을 느끼게 된다. 아름다운 것만은 아니지만 다양한 사랑의 형태를 문학 속에서 마주하게 되면서 세상의 모든 책들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근본적인 것들은 무엇인지, 그것은 세상을 따뜻하게 뒤덮고자 하는 마음들이 모인 것이라는 걸 다시금 깨닫게 된다.

 

 

아르's 추천목록

 

다시, 봄 / 장영희저


 

 

독서 기간 : 2015.01.08

by 아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