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 500개 키워드로 익히는 역사상식
휴먼카인드 역사문화연구소 지음 / 휴먼카인드 / 2014년 10월
평점 :
품절


 

아르's Review

 

 
 

 

 역사를 왜 배워야 하는지도 모른 채 그저 대학이라는 관문을 들어서기 위한 시험과목의 하나로 마주하며 외우기에 급급했던 역사를 이제서야 제대로 배워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 것은 지금에라도 다행이 철이 들었기 때문일 것이다. 국사 과목이 선택과목으로 전환된 이후 그 세대들에게 역사에 대한 기초적인 질문들을 던졌을 때 엉뚱하다 못해 실소를 머금게 하는 대답들이 쏟아져 나오는 인터뷰를 보면서 그들이나 나나 별반 다르지 않다는 현실이 안타깝게만 다가왔다. 그리하여 역사 관련 책들을 조금씩 읽어보려 하는 나로서는 이 <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다른 책에서는 마주할 수 없었던 독특한 형식의 것으로서 부담 없이 읽어 내려가면서 또 그 안의 키워드가 잔상으로 남게 되기에 페이지를 넘기면서 마치 스피드 퀴즈를 보는 듯한 느낌이 든다.

 

 

 고조선의 8조법을 보면 눈에는 눈, 이에는 이라는 말이 떠오르게 되는데 그 당시에도 신분제도가 있었다는 것과 사유 재산을 인정하고 있었다는 것은 우리의 역사 속 선조들은 그 오래 전부터도 당시의 합당한 사회상을 만들어 가기 위해 노력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책 안에 소개되지 않은 나머지 5개의 법도 찾아봄으로써 아련하게 스쳐지나 갔던 고조선의 8조법을 마주하게 된다.

  고려의 중서문하성은 정책에 당시 모든 정책이 한쪽으로 치우쳐지지 않도록 관장하는 기구였는데 정책을 제시하기도 하고 또한 잘못된 것은 비판하기도 했다고 하니, 중앙정치기구로서의 역할을 똑똑히 하기 위한 모습들이 그려진다.

  

 붕당정치의 폐해들에 대해서만 들어왔던 나로서는 붕당정치, 하면 좋지 않은 쪽으로만 생각했었는데 실제 이것은 복수의 붕당의 존재로 인해 다양한 의견을 수렵하며 존중하고 타협하기 위한 것이었음을 배우게 된다. 원래의 목적대로 이 붕당정치가 제대로만 움직였다면 좋았을 것을, 하는 아쉬움이 남기도 한다.

    선사시대부터 근현대 속의 사건들도 조명하고 있는데 나로서는 처음 들어보는 키워드들도 꽤나 많이 등장했다. 와우아파트 붕괴사고는 이 책 안에서 처음 알게 된 사건인데, 2015년을 살고 있는 현재의 우리는 또 어떠한 키워드들을 남기게 될지, 선사시대부터 그려온 역사를 통해서 미래의 우리의 모습들도 그려보게 된다.

 

아르's 추천목록


최진기의 끝내주는 전쟁사 특강 1 / 최진기저 

 

 

 

독서 기간 : 2014.12.15~12.16

by 아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