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디톨로지 (반양장) - 창조는 편집이다
김정운 지음 / 21세기북스 / 2014년 10월
평점 :
품절



아르's Review

 

   

길에서 김정운 교수를 만났더라면(물론 그에 대해서 모르고 있는 상태에서) 나는 그저 스쳐지나 가며 무언가 독특한 아저씨다, 라는 생각을 했을 것이다. 중년 남성들이 좀처럼 선택하지 않는 파마머리에 나비 넥타이를 하고 있는 그가 무언가 남들과는 다른 느낌이기는 하지만 아마 나의 호기심은 거기서 멈췄을 것이다. 그 이상 그에 대해 궁금한 것이 없는, 그저 한 명의 아저씨로 남았을 테니 말이다.

늘 그의 책을 읽을 때마다 느끼는 거지만 그에게는 유쾌하면서도 그만이 가지고 있는 당당함이 매력적으로 다가오게 된다. 그저 그를 스쳐 지나갔다면 몰랐을 것들을 활자를 통해 보면서 화통한 웃음을 터트리기도 하고 때론 골똘히 생각에 빠지게도 하는 그의 이야기는 늘 기대되는데 이번 <에디톨로지> 역시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즐겁게 읽어 내려간 책이었다.

모든 창조는 편집에서부터 온다, 를 주장하고 있는 그의 서막의 모습은 씁쓸함이 묻어난다.그가 아무리 주장을 한다 해도 세계 속의 작은 대륙 안의 한 남자가 이야기 하는 것은 그 누구도 귀담아 듣지 않았기에 그가 지금까지 계속 주장해 온 에디톨로지의 중요성이 묵살되고 있었으니 말이다. 넘쳐나는 정보 속에서 어떠한 것들이 중요한지를 걸러내고 그 안에서 연관성을 찾아 전혀 새로운 무언가를 만들어 내는 능력인 에디톨로지에 대해서 그가 주장하는 이야기들을 보노라면 우리가 입에 단내가 나도록 이야기하는 창조라는 것이 실제는 편집 능력의 재구성임을 알 수 있다.    

정보가 부족한 세상이 아니다. 정보는 넘쳐난다. 정보와 정보를 엮어 어떠한 지식을 편집해낼 수 있느냔가 관건이다. 편집의 시대에는 지식인이나 천재의 개념도 달라진다. 예전에는 많이 그리고 정확히 아는 사람이 지식인이었다. 남들이 상상할 수 없는 정도의 정보를 외우고 있으면 천재 대접을 받았다.
  
그러나 세상이 바뀌었다. 이제 지식인은 정보를 많이 알고 있는 사람이 아니다. 검색하면 다 나오기 때문이다. 오늘날 지식인은 정보와 정보의 관계를 잘 엮어내는 사람이다. 천재는 정보와 정보의 관계를 남들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엮어내는 사람이다. –본문

 앞으로 드리울 미래의 경제 상황에 대해서 정확하게 예견했던 미네르바의 실존재는 물론이거니와 황우석박사의 논문 조작 사건을 보며 지식이라는 것이 우리가 알고 있던 대학이나 전문인 집단 안에서만 활성화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그야말로 보편적으로 널리 퍼져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문제는 이 거대한 정보의 홍수 속에서 누가 어떻게 이 정보들을 사용할 줄 아느냐가 관건인 것이다. 그런 점에서 독일 학생들이 공부하는 방법인 카드를 이용한 학습 방법은 우리네 주입식 교육인 고스란히 암기하고 시험보고 다시 증발시키는 것이 아니라 카드를 이용해 다양한 조합으로 정보들을 만들어내고 그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것들을 만들어 내는, 이른바 자신만의 정보를 만들어 내는 것이기에 그가 말하는 에디톨로지의 공부방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자기 생각이다. 독일 학생들은 모은 카드를 자신의 생각에 따라 다시 편집한다. 편집할 수 있기 때문에 카드를 쓰는 것이다. 예를 들어, ‘발달이라는 개념과 관련된 프로이트, 피아제, 비고츠키, 융의 이론을 자기 기준에 따라 다시 정리한다. 이때 정리는 그저 알파벳순으로 하는 것이 아니다. 자신이 설정한 내적 입관성을 가지고 카드를 편집하는 것이다. 이렇게 편집된 카드가 바로 자신의 이론이 된다. –본문

편집이 무어 그리 중요하냐, 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아이폰이 바로 이 편집의 기술로 인해 재탄생 된 것이며 그로 인해 수 많은 기업들이 휘청거렸으며 이로 인해 아이폰과 같은 모델을 만들어내려는 후발주자들의 아련한 행보들을 보노라면 이 편집의 기술이라는 것이 그저 하나의 기술이라 말하기엔 광범위하면서도 새로운 창작임에는 틀림없다.

 언제나 익숙한 방향에서만 바라보고 그것이 당연하다 믿는 우리에게 김정운 교수가 던지는 그림을 보는 관점에서 우리의 모습을 오롯이 자신의 관점에서만 모든 것을 바라보고 있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같은 공간에서 같은 것들만 마주하며 그것에 옳다고 여기고 있는 우리 자신에게 과연 우리가 가지고 있는 것들로부터 새로운 것들을 만들어 낼 수 있는지에 대해 반문을 던지게 된다.

 천재는 사회문화적 편집의 결과다. 천재의 사회문화적 필요가 극대화된 시기가 바로 단선론적 발달관이 형성되던 근대초기다. 봉건으로부터 시민사회로의 이행기는 성숙한 주체, 능력 있는 개인에 대한 신념에 기초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즉 위대한 개인의 시대가 열린 것이다. 역사 발전은 이 같은 위대한 개인에 의해 이뤄진다고 믿었다. –본문

 모든 것이 완벽한 상태에서 천재의 탄생이 아닌 결핍이 되어 있는, 그러니까 부족함 속에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것들의 조합을 계속 하다 보면서 천재가 탄생된다고 그는 주장하고 있는데 이것은 이 책 안에서 내내 그가 이야기하고 있는 편집의 중요성과 다르지 않다. 천재가 만들어지기 위해서 그 시대 속에서 계몽이라는 것의 필요성을 인지하게 되고 계몽의 필요성은 주변에 잔재해 있는 것들을 재구성하여 타인들에게 나누어 그 수준을 끌어 올리는 일련의 과정 속에서 탄생하게 되는 것이다.

 사회 속의 천재를 만들어내기 위해서라기 보다는 한 개개인이 담고 있는 곳에서 더 나은 발전을 위해서 그가 말하는 편집의 기술은 꼭 필요한 것이라 보여진다. 여전히 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은 내가 얼마나 세상에 잘 길들여졌는지에 대해서 마지막까지 허를 찌르는 그의 지적은 책을 덮는 순간까지도 뜨끔하게 만든다. 이미 가지고 있는 것들이지만 바라보지 못하고 있는 것들이 무엇인지, 조금만 비뚤어져 생각해봐야겠다

 

 

아르's 추천목록

 

놀이 마르지 않는 창조의 샘 / 스티븐 나흐마노비치저



 

독서 기간 : 2014.11.05~11.09

by 아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