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만 헤세의 사랑 - 순수함을 열망한 문학적 천재의 이면
베르벨 레츠 지음, 김이섭 옮김 / 자음과모음 / 201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르's Review

 

 

 헤르만 헤세에 대해서 잘 아는 것은 아니었지만 얼마 전에 읽었던 <수레바퀴 아래서> <데이안>을 통해 마주한 성장통을 안고 있는 소년의 모습을 하고 있었다. 물론 그가 이 책을 집필한 것은 이미 노년의 시기였지만 이 소설 속에 투영된 헤르만 헤세는 고뇌하는 청년의 모습으로만 각인되어 있기에 <헤르만 헤세의 사랑>을 마주하는 내내 생경한 듯 겉도는 느낌이 들었다. 내가 알고 있는 헤세와 실존했던 헤세는 너무도 다른 사람이었기에 사실 초반에는 버겁다는 생각이 드는 것도 사실이었다.

 

 결혼제도에 회의감을 품고 있던 그지만 어찌되었건 그는 세 번의 결혼을 하게 된다. 아마도 그의 이름을 모른 채 어떠한 남자가, 그것도 결혼에 대해 불신을 안고 있는 이가 결혼을 세 번이나 했다면 나를 그를 알지도 못하면서도 이래저래 그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고 있었을 것이다. 어찌되었건 그 누군가가 살아온 삶이지만 편협한 나의 잣대를 드리우며 옳다, 옳지 못하다는 갑론을박을 펼치고 있을 텐데 헤세의 이야기를 마주하면 할수록 내가 누군가의 삶을 재단하는 것이 얼마나 끔찍한 것인지에 대해 조금씩 알아가게 되면서 그저 이것이 그의 삶이려니, 하는 마음으로 하나씩 받아들여 보려 하고 있었다.

 

나로서는 결혼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다네. 오랜 망설임과 저항 끝에 어찌할 수 없는 체념, 아니면 이 여인에 대한 너그러운 양보라고나 할까. 어쨌든 난 이 여인에게 고맙게 생각하고 있다네. 그녀가 다 늙어빠진 나를 유혹하고 나의 욕망을 일깨워주고, 나를 타락시켰다네 본문

 

 이름만 대면 누구나 고개를 주억거리는 작가를 떠나 그는 한 인간이자 남자로서 그의 시간들을 보내고 있었다. 3명의 여인과 함께 하는 동안 그의 삶 속에 녹아있는 이야기들은 그가 써 내려가는 이야기들 속에도 녹아 있을 것이다. 그것이 어느 부분인지를 정확하게 구분할 수는 없을 테지만 말이다.

 

 마리아 베르누이와의 결혼은 결국 파국을 맞이하게 된다. 그렇게 그는 다시 루트 벵거를 만나고 세번째 부인인 니논 돌빈과의 결혼까지. 전형적인 나쁜 남자인 듯 하지만 그의 속내를 들여다보면 어느새 또 그럴 수 있을 것 같아, 라는 생각이 드는 것은 헤세가 들려주는 문장 속에 사람을 끌어당기는 힘이 있기 때문이 아닐까.

 

 현실 속의 헤세는 아버지이자 남편의 모습이라기 보다는 철저히 작가로서의 모습으로만 다가오는데 마리아가 입원해 있는 동안에 루트 벵거를 만나고 그녀와의 결혼에 있어서도 자신의 주장을 확고히 했던 그는 결국 다시 파경이라는 결말을 맞이하고 있다.

 

  자유로운 영혼을 결혼이라는 제도 속에서 스스로 속박하려 했으니 헤세 자신은 물론이거니와 그의 주변에 있던 여인들에게도 쉽지 않은 시간들이었을 것이다. 물론 이 시간이 헤세 자신에게는 인생에 대한 고뇌는 물론 삶의 성찰의 시간이 되어 그의 작품 속에 녹아낼 수 있는 윤택함을 주었을지는 모르지만, 그 안의 실제를 고개 내밀어 들여다본 바로는 찰리 채플린이 말했듯이 그들의 인생은 멀리서 볼 때는 희극이었지만 가까이서 볼 때는 비극과 같은 삶이었다.

 

후고 부부는 예언가 수잔 파우밍어를 초대해 헤세의 손금을 들여다보게 했다.

그녀는 헤세에게 혼자 살아가야 할 운명, 고독에 대한 욕구를 읽었다. 앞서 헤세의 운명을 들여다본 랑 박사는 그에게서 결혼을 암시하는 징후를 발현했다. (중략) “이 운명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내가 결혼을 두려워하고 가능하다면 벗어나고 싶은 것 또한 사실입니다. –본문

 

 그 동안 읽어왔던 그의 소설 속에 투영된 그가 아닌 날 것 그대로의 헤세를 마주한 지금 여전히 씁쓸함이 맴돌고 있다. 모두가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성인이었지만 그들의 이야기 안의 내면은 서로에게 상처를 주고 있는 선인장들의 군도를 본 듯 하다. 대문호의 헤세와 나쁜 남자인 헤세. 과연 앞으로 그의 이야기를 들을 때마다 나는 어디에 서서 그를 바라보게 될지, 아직은 아득하기만 하다.

 

  

아르's 추천목록

 

프로이트의 여동생 / 고체 스밀레프스키저

 


  

 

독서 기간 : 2014.08.25~08.26

by 아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