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 제너레이션 - 스마트 세대와 창조 지능
하워드 가드너 & 케이티 데이비스 지음, 이수경 옮김 / 와이즈베리 / 2014년 7월
평점 :
품절



아르's Review

 

 

모든 것이 열려있는 세상이다. 원하는 것이 있다면 인터넷을 통해서 무엇이든 찾을 수 있고 스마트폰을 통해서 누구와도 소통할 수 있는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어느 샌가 눈을 뜨면서부터 감는 그 하루의 시간 속에서 디지털 기술 속에 살고 있는 우리를 이른바 앱 세대라고 명명하고 있는데 하루 종일 카톡을 하고 SNS을 통해 자신의 일상을 공유하는 것은 물론 카카오 스토리 또는 인스타그램과 같은 것들을 통해 사진을 공유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하루의 나날이 된 현대의 우리에게 있어서 그의 이야기는 익숙한 것 속에서 들려오는 생경함과 같았다.

요즘 젊은이들이 단순히 앱에 빠져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세상을 앱들의 총체라고 여긴다는 것이 우리의 생각이다. 그들은 자신의 삶을 일련의 체계적인 앱들이 합쳐진 무엇으로 여기며,인생 자체를 마치 하나의 거대한 앱처럼 바라보는 사고방식을 갖고 있다. 만일 필요한 앱이 아직 없다면 누군가가 당장 고안해 내는 것이 옳다. –본문

 이미 앱 세대에 살고 있는 젊은 층과 아날로그 세대를 지내다 앱 세대를 마주한 어르신들께서는 현재의 우리가 이해되지 않을 것이다. 하루 종일 핸드폰이며 컴퓨터를 쥐고서는 모니터 앞에서 벗어날 줄 모르니 말이다. 일곱 살의 오스카만 하더라도 그의 할아버지를 넘어 이미 충성스런 고객으로서 앱 세대 속에 함류하고 있으니 아날로그에 대한 향수를 은은히 지속될 수 있지만 실제 세상을 장악하는 것은 편리함과 신속성이라는 장점은 물론 광범위한 분야에서 부각을 나타내고 있는 디지털 세상이다.

새로운 미디어 기술은 자기표현을 위한 다양한 새로운 기회를 열어 줄 수 있다. 하지만 개인의 정체성이 기술의 특정한 특성들에 과도하게 속박을 받으면, 또한 오프라인의 삶을 진정성 있게 가꿔 나갈 시간이나 기회, 의향이 없으면 자아감이 피폐해지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잊으면 안 된다. –본문

 이 디지털 세상 속에 앱 세대로서 살고 있는 우리에게 저자는 무한한 가능성을 안고 있는 이들이 자신들의 그 무한함을 제대로 이용하고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니까 요새 뉴스에서도 심심치 않게 등장하고 있는 스마트폰 중독과 같은 사태를 지양하며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속에 대한 절대적인 의존도를 낮춰야 한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지금 무언가 불편한 것들이 있다면 이를 개선한 새로운 앱이 있어야 한다고 느끼는 것인데 이렇게 앱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창의력은 물론 자신이 앱을 이용하는 이용자가 아니라 앱이 사람을 지배하는, 주객이 전도 되는 모습이 될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말 그대로 스마트 폰과 그 안에 다양한 앱을 이용하며 이전에는 생각할 수 없었던 시너지 효과들을 나타낼 수 있지만 때론 그 세계에 잠식되어 내가 사라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전자는 앱 주도형으로 무언가를 계속해서 탐구해 나가며 더 넓은 세계로의 조우가 가능하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앱 의존형으로 변모되어 한정된 공간 안에서만 자신을 계속해서 가두게 되는 것이다.

 저자의 말마따나 우리는 앱을 주도할 것인지 아니면 앱에 기생하여 살 것인지에 대한 갈림길에 서 있는 거나 마찬가지일 것이다. 더 즐겁고 좋은 세상 속에 살기 위해 만들어 낸 세계가 나를 잠식하지 않도록 지금의 내 모습들을 점검해봐야 할 때 인 듯 하다

 

아르's 추천목록

 

엄지세대 두 개의 뇌로 만들 미래 / 미셸 세르저

 


 

 

독서 기간 : 2014.07.20~07.22

 

by 아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