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턴 - 음악과 황혼에 대한 다섯 가지 이야기 민음사 모던 클래식 36
가즈오 이시구로 지음, 김남주 옮김 / 민음사 / 201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구시대적인 가치관 속에서 고집스럽게 자신의 신념을 지켜온 집사 스티븐슨이 지난 삶의 허망함을 깨닫고 극복하는 과정을 담은 소설 ‘남아 있는 나날’을 통해 처음 가즈오 이시구로라는 작가를 알게 되었다. ‘남아 있는 나날’을 읽으면서 내가 특히 놀랐던 것은 화려하거나 자극적이지 않은, 평범하고 밋밋한 문체와 서술구조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어쩐지 너무나 잘 읽히더라는 것이었다. 그것도 쏠쏠한 재미와 함께 말이다. 나는 이 특별한 재능을 가진 작가에게 단번에 반해버리고 말았다. 그리고 이어서 바로 만난 작가의 최근작인 ‘녹턴’에서도 그 매력은 유감없이 발휘되고 있었다.

   ‘음악과 황혼에 대한 다섯 가지 이야기’라는 부제를 가진 이 단편집에는 이별을 앞둔 왕년의 유명했던 가수와 그의 젊은 부인, 그리고 이들의 기묘한 이벤트에 뜻하지 않게 참여하게 된 한 연주가의 이야기와 학창시절 단짝이었던 친구부부의 위태로운 결혼생활 가운데 초대받아 어쩔 줄 몰라 당황하는, 사회에 어엿하게 자리 잡지 못한 한 중년 남성의 이야기, 성공한 뮤지션을 꿈꾸고 있지만 당장은 현실의 벽에 가로막혀 있는 한 청년이 매끄럽지 않은 결혼생활을 이어가고 있는 프로뮤지션 부부를 만나서 겪게 되는 이야기와 출중한 실력에도 불구하고 외모 때문에 성공하지 못한다는 주변의 설득에 마지못해 성형수술을 하게 된 한 남자가 비슷한 기간에 역시 성형수술을 하고 회복 중에 있는 여배우와 겪는 해프닝, 잘못된 판단으로 허영에 빠져 진정한 첼리스트가 되지 못했던 한 남자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살면서 사랑하고 함께 살다가 헤어지고, 멋진 직업을 꿈꾸다 좌절하지만 다시 희망을 갖게 되고, 무엇이 삶 혹은 예술에서 중요한 문제인지 고민하는 등 평범하고 일반적인 소설 내용의 전반에는 클래식에서 재즈, 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음악들이 배경으로 흐르고 있다. 오직 음악만이 모든 삶의 이야기들을 아우르고 있는 공통분모다. 마치 끊임없이 음악이 흘러나오는 공공장소의 스피커 앞에 앉아 사람들을 보고 있는 듯하다.

   속된 말로 말빨(국어사전에는 ‘말발’이라고 정식으로 나와 있지만)이 좋다거나 화려한 언변을 구사한다 해도 이 사람 말은 정말 듣기 싫다 하는 부류가 있는가 하면, 밋밋하고 억양의 높낮이도 없고 어눌하기 짝이 없어도 들을수록 더 듣고 싶은 말을 하는 사람이 있다. 가즈오 이시구로의 소설은 이를테면 후자에 속하는 느낌이다. 작가는 세계 어디서나 단단히 뿌리내릴 수 있고 공감할 수 있는 삶의 비전이 담긴, 단순하면서도 인터내셔널한 소설을 쓰고 싶다고 한다. 이 매력적인 단순함을 사람들에게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가즈오 이시구로만큼 잘 구사할 수 있는 작가는 흔하지 않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샹해요 2010-12-20 20: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평 잘 읽었습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