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빛과 물질에 관한 이론
앤드루 포터 지음, 김이선 옮김 / 21세기북스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알맹이 없는 이야기 하나. 세상에 빛이 없다면 우리는 아무것도 볼 수가 없다. 애초부터 빛이란 것이 없었다면 그것이 어떤 모양을 하고 있는지, 어떤 색깔을 가지고 있는지, 어떤 촉감을 주는지 상상하는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리고 거기에 맞춰서 특이한 문명과 문화, 역사가 이룩되었을 것이다. 알맹이 없는 이야기 둘. 세상은 다양한 물질들과 그 물질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인간은 무수한 조합들 가운데 상당히 특이한 경우에 속하는 것 같다. 스스로 생각을 하고 의심을 하고 의미를 부여하며 심지어는 스스로의 존재 자체를 부정할 줄도 아는 매우 독특한 생명체. 아, 이 생명이란 것도 어떤 것은 있는 것으로, 어떤 것은 무생물로 분류된다. 문득 이런 알맹이 없는 생각들 때문에 난 상당히 신비한 기운에 휩싸이곤 한다. 그리고 길을 잃은 아이처럼 한동안 멍하니 삶이란 도대체 무엇인지, 정말 어떤 심오한 목적에 의해 세상이 운영되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그냥 모든 것이 우연의 연속에 불과한 것인지 등에 대한 생각에서 빠져나오지 못한다.
앤드루 포터의 소설집 ‘빛과 물질에 관한 이론’에는 친구의 죽음으로 자기 잘못이 아닌데도 평생을 악몽과 같은 죄책감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한 사람의 독백을, 천재적인 영화감독으로서 주목받았지만 결국 시간이 지날수록 아무것도 성취하지 못하는 아버지의 모습을 바라보며 이해하려 하는 한 아들의 목소리를, 교수 자신도 1년이 걸려서야 해결한 방정식을 시험문제로 내면서 끝까지 남아 시험지를 제출한 한 여학생과 겪게 되는 복잡한 물리학 이론만큼이나 이해하기 어려운 사랑의 문제를 다룬 이야기, 보통의 마을 소년과 아미쉬 마을 소녀의 만남을 통해 기존의 문명을 거부하고 살아가는 아미쉬 사람들에 대한 새로운 일면을 보여주는 이야기 등이 담겨 있는데, 나는 이 소설을 읽으면서 우리가 일반적으로 쉽게 접하지 못하지만 반드시 인식하고 있고 문제 삼을 소지가 다분한 소재들을 바탕으로 쓰인 이야기 하나하나에서, 있는 그대로 드러낸 상처가 시간이 지나면서 천천히 아물어가는 모습을 보는듯한 느낌을 받았다.
평생을 사랑할 것만 같았던 두 사람이 왜 헤어져야만 하는 것인지, 그 사람은 왜 죽어야만 했는지, 그 사람이 죽었다는 사실이 왜 이렇게 실감이 나지 않는지, 어색하게 웃음으로 무마하려다 주체할 수 없는 눈물에 무릎이 풀려버리는 것은 어째서인지, 왜 사람과 세상에 대해 희망을 가질 수 없는 것인지, 어떤 상황이나 사람을 그토록 두려워하거나 피하려 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왜 우리는 근본적인 질문에 대해 ‘어떻게’라는 방식으로 밖에 대응할 수 없는 것인지... 이 책은 살면서 가볍게든 심각하게든 어찌해서든지 들게 되는 무궁무진한 의문들에 대한 답을 직접적인 방식이 아닌 작가만의 담담한 목소리로 몇 가지 상황에 대해 거울로 반사하듯 우리에게 보여줌으로서 역으로 우리에게 스스로 답을 찾으라고 다시 질문하고 있는 것 같다. 우리는 이에 대해 고민하거나 그냥 스쳐지나가는 등의 반응을 보일 것이고 이러한 일련의 현상들은 우주 전체를 포괄하는 어떤 덩어리의 부피를 키우거나 줄이는 자양분이 될 것이란 엉뚱한 상상을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