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완벽한 세계 세계사 시인선 80
박서원 지음 / 세계사 / 1997년 11월
평점 :
품절


박서원. 천년의 겨울을 건너온 여자. 백년의 시간 속에 갇힌 여자. 실비아 플라스를 닮은 여자. '죽는 것은 하나의 기술이지요, 만사가 그렇듯. 난 그걸 특히 잘 해내요' 라는 실비아 플라스의 시처럼 몇 번이나 자살을 시도하고 정신병원에 갇히기도 한 여자. 그 놀라운 자기 고백의 시. 그리고 그 무의식의 시세계.

박서원의 시「흰눈의 가시」에서 그녀는 '흰눈에 가시가 달린 줄 몰랐다'라고 말함으로써 영화 러브스토리의 아름다운 장면이나 떠올리는 독자의 굳은 의식을 흔들어놓는다. 아름다운 흰눈을 보면서 그 속에 가시가 숨어 있다고 생각하는 시인의 불온한 의식은 어떤 아픔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

시집의 첫 번째 시「꿈으로 내려가는 길」의 첫 부분에서 '아빠, 따뜻한 눈꽃으로 나를 할쿼져'라고 시인이 천진난만한 어린아이의 입으로 말하는 것은 흰눈에 가시가 달려있었기 때문이다. 시인은 몰랐지만 시인의 내부에 숨은 아이는 이미 알고 있었다.

그러나 눈 속에 가시가 있는지 몰랐기 때문에 시인은 '신발을 신고 눈을 밟'지 않았고 '창문을 닫고 잠을 자'지 않았으며 '가시에 얼굴을 비벼'야 했고 '꿈꾸지 말아야 했다'. 그래서 그토록 시인은 고통스러웠고 '나는 꿈속에 갇혀 있어야 할 희한한 것들이 그 어두운 자루를 찢고 쏟아져내리는 경험을 여러 차례 겪었다. 아, 그 사태를 막을 수만 있었다면 나는 이렇게 불행하지 않았을 것이다' 라고 말하는 것이다. 그러나 '흰눈'. '유리창에 무수히 희디흰 화살이 날아와 공작새처럼 퍼드득거'리는 그 아름다운 흰 눈.

두 번째 시집 <난간 위의 고양이>의 첫 번째 시「파티」에서 시인은 이미 '나는 그때 보았네 하나의 예감이었던 내 유년의 공작새가 깃털마다 파란 피를 적시며 푸드득 날아가는 것을' 이라고 말한 바 있다. 그 흰눈은 시인의 유년의 세계, 유년의 공작새, 시인의 '완벽한 세계' 였다. 어른이 되어서야 알아버린, 알았어야 했을까 라고 후회를 하게 만드는 그 시절. 가시가 달린 흰눈의 그 완벽한 세계.

시인이 그토록 고통스러운 것은 그 완벽한 세계로 가는 길이「꿈으로 내려가는 길」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꿈의 세계가 소름끼치도록 황홀한「어떤 황홀」연작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엘리베이터를 타고 하늘 끝까지 오를 수는 없는가 좀 더 끔찍하게 찬란해질 수는 없는가' 라고 하는 그 비현실 속의 세계. 그 끔찍한 황홀한 세계에서 그녀는 길을 잃는다. 그리고 현실이 아닌 '열두 개의 섬이 사이렌을 울리는' 유년의 꿈 속으로 또박또박 걸어서 내려간다.

박서원의 시는 '당신들의 발목을 갈고리처럼 낚아채기를' 바란다는 서문의 말처럼 <이 완벽한 세계>로 우리를 낚아채 단숨에 쓰러뜨리고 그 세계 속에서 그녀처럼 길을 잃게 만들지도 모른다. 그러나 낯설고 무서운 그 세계는 또한 그래서 너무나도 황홀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머리와의 사랑 세계사 시인선 71
성미정 지음 / 세계사 / 199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성미정이라는 시인이 있다.「대머리와의 사랑」에서 그녀는 대머리 남자를 위해 자신의 머리털을 뽑고 음모를 잡아뜯고 겨드랑이털을 깎아 진짜 머리털보다 더 진짜 같은 가발을 만들어 준다. 그러나 그는 사실 대머리가 아니었다. 다만 머리카락이 뇌 속으로 자라고 있을 뿐이었다. 그리고 그 머리카락을 누를 수 없었던 뇌가 폭발한다. 자. 이제부터 시작이다.

그녀의 시는 재미있다. 엄숙한 시를 읽으면서도 깔깔깔 웃을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야구처녀」연작시는 정말 재미있다. 그리고 감동적이다. 이렇게 아무렇지도 않게 시침 뚝 떼고 야구라고 하는 몸의 스포츠에 비유해서도 정신의 시를 쓸 수도 있는거구나 싶어 처음에는 조금 놀랍기도 했다.

내가「야구처녀」연작 시 중에서 특히 좋아하는 시는 바로「야구처녀의 고독은 둥글다」이다. 고독이라고 할 때 우리가 떠올리는 모습은 날카롭고 선명한 못과 같은 어떤 치명적인 것들이다. 그런데 성미정은 어느날 혼자 날아가는 공에서 외로움을 느꼈고, 장갑 안으로 숨어드는 공에서 감출 수 없는 두려움을 만났다. 그래서 야구는 고독이라 불리는 편이 더 어울린다고 말하는 것이다. 그 공이 그렇게 사라진 건 그만큼 고독했기 때문이니까.

처음에 그 고독은 날카로운 그 어떤 것이었지만 세월이 흐르고 나이가 흐르면서 그 통증에 익숙해졌고, 그리고 그 고독은 사람들과 부대끼며 둥글둥글해져 야구공만한 둥근, 지루한 고독이 되어버린 것이다.

야구공처럼 둥근 고독.

나는 성미정의 시가 쉽고 재미있고 발랄하게 쓰여져 있어서 좋다. 소름끼치는 고독이라는 물건을 이렇게 말랑말랑한 야구공으로 만들어 시를 읽는 독자를 향해 변화구로 던질 수 있는 야구처녀인 그녀가 정말 마음에 든다. 세상에는 여러 종류의 야구가 존재하고 그 중에서 시라는 종류의 야구를 즐길 줄 아는 그녀는 그 고독이 끝도 시작도 알 수 없는 둥근 공처럼 지루하더라도 결코 게임을 포기하지는 않을테니까.

야구에 있어 각각의 포지션은 중요하지 않다 자신이 선택한 포지션을 지켜나가는 것 그것이 선수들의 가장 중요한 포지션이다

- 포지션

나는 그녀가 시에 있어 그 포지션을 지켜나갈 것을 의심하지 않는다. 얼마전 <2000 현장비평가가 뽑은 올해의 좋은 시>에서「구두란 존재」를 읽었는데「검고 낡은 구두와의 이별」에도 불구하고 냄새나는 그 구두에 관해 여전히 쓰고있는 그녀를 발견하고 무척 기뻤다. 그녀의 두 번째 시집이 어서 빨리 나왔으면 좋겠다.

그리고 내가 가장 아끼는 고독 또한 보이지 않을 만큼 멀리 날아간 공이라는 것을 고백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위대한 예술가 커플의 10가지 이야기
휘트니 채드윅 외 지음, 최순희 옮김 / 푸른숲 / 1997년 8월
평점 :
절판


버지니아 울프는 세익스피어에게 여동생이 있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라고 말한 적이 있다. 질문을 바꾸어 보자. 만일 세익스피어와 같은 문학적 감수성을 가지고 있던 그 여동생이 결혼을 하게 되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그것도 같은 예술가와 말이다. 같은 직업을 가진 두 사람이 한집에 살게 되었으니 시너지 효과가 생겼을까, 아니면 서로에게서 가장 나쁜 점만 끄집어내게 되었을까? <위대한 예술가 커플의 10가지 이야기>는 바로 그 가상의 질문이 이 지상에서 성립된 10가지의 선별된 예이다. 물론 여기에는 전자도 있고 후자도 있다.

이 책은 성과 창조성의 문제를 다른 관점에서 접근해보고자 하는 공동 노력의 소산으로 휘트니 체드윅ㆍ이자벨 드 쿠티브론을 포함한 10명의 전문가들이 각자의 분야에서 정치적으로 올바르게 써내려 간 전기이다. 주인공은 한 사람이 아니라 두 사람, 바로 커플이다. 결혼이라는 가장 낡은 이데올로기 안에서 그들의 예술성이 어떤 식으로 나타났는지 그 궤적을 살펴본 것은 흥미로운 작업이었다.

그렇다면 진실은 무엇인가. 너무 유명한 카미유 클로델과 로댕 커플을 제외하고 좀 덜 유명한 커플의 이야기로 들어가 보면…

아나이스 닌과 <북회귀선>의 헨리 밀러, 바네사 벨과 던컨 그랜트, 버지니아 울프와 비타 색빌-웨스트, 릴리언 헬만과 <말타의 매>등을 쓴 대시얼 해멧, 소니아와 로베르 들로네 같은 커플은 우리가 생각하는 성별에 따른 고정 관념의 한계를 뛰어넘어 분명 새로운 커플상을 만들어나간 '시대를 앞서간 커플들'이었다. 서로의 관계 안에서 그들의 창조성 또한 꽃피었다. 특히 성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그들의 예술혼을 꽃피웠던 블룸즈베리 그룹의 예는 어느 정도 부러운 감이 없지않다.

그러나 분명 그 다른 예도 있다. 클라라 말로와 앙드레 말로, 카미유 클로델과 로댕의 경우는 한 쪽(여자)이 한 쪽(남자)에게 구속된 '거짓과 비극의 역사'를 우리에게 보여준다. 전자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고 후자는 너무 유명하다. 앙드레 말로를 떠나 홀로서기를 한 다음 그 영광 안에 자신도 분명 들어있음을 입증하고자 했던 클라라 말로. 그녀는 좀 더 빨리 떠났어야 했다. 그것은 카미유 클로델도 마찬가지다.

레오노라 캐링턴과 막스 에른스트, 리 크리스너와 잭슨 폴록의 경우는 서로의 예술세계를 공유하면서 잃기도 하고 얻기도 한 케이스다. 서로를 떼놓고는 설명할 수 없지만 역시 전자는 후자의 연인, 아내, 영감의 원천, 동반자 같은 이름으로 더 많이 불리우고 있다.

그리고 우리에게 거의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슈바르츠-바르트 부부는 우리가 본받아 나갈만한 모범적인 평등부부의 예이다. 백인이고 유태인인 유럽계 남성과 흑인이고 노예의 후예인 프랑스령 과드루페 태생의 여성의 완전한 문학적 결합은 성과 창조성이라는 문제를 생각해 볼 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일과 사랑과 성공은 함께 갈 수도 있는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잘 알려지지 않았던 릴리언 헬만과 대시얼 헤맷 커플의 이야기가 이 책에서 가장 흥미로웠다.

조지아 오키프와 알프레드 스티글리츠 커플의 예가 여기에 잠깐 나오는데 그 유명한 조지아 오키프도 남편을 위해 수없이 옷을 번어던져 누드 사진의 모델이 되어주어야 했다는 사실이 문득 생각나 사족처럼 덧붙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둑이 다녀가셨다 세계사 시인선 103
정진규 지음 / 세계사 / 2000년 8월
평점 :
품절


<내 줌렌즈에 잡히는 정진규 시인>이라는 시에서 오탁번은 '멱감다가 심심해진 아이 정진규가 알몸으로 숨바꼭질을 한다'라고 말한 바 있는데, 정진규라는 아이가 제 몸으로 열심히 노는 시 역시 또랑또랑한 알몸을 하고 있어 그 알몸의 눈부신 <알詩>를 지나 이번에는 <도둑이 다녀가셨다>라는 시집을 세상에 내 놓으니 내 마음에도 정진규라는 도둑이 또 한 번 다녀가셨다.

이번 耳順의 가을에 정진규 시의 이완과 긴장 사이를 다녀가신 분들은 누구누구일까, 풀밭 새싹들의 초록힘들, 민물과 바닷물 사이를 드나드는 풍천장어의 맛, 온몸 하얗게 꽃들을 뒤집어쓰고 있는 뜨락의 앵두나무 한 그루, 힘 센 벌레들의 사랑, 금거북이와 금열쇠를 가져간 도둑… 그의 '아내는 손님이라고 했고 다녀가셨다고 했다'는 그 도둑… 그러나 알고보면 모든 것들이 그 도둑같이 불현듯 찾아와서 그림자만 남기고 떠나가지 않는가.

시가 그러하고 사랑이 그러하다. 그는 한 여자와 이별하면서 어머니로 돌아가라고 말했다. '여자는 함께 있으면 계집이 되고 헤어지면 어머니가 된다 그게 여자의 몸이라는 것이 나의 결론이다(이별)' 왜냐하면 몸은, 모든 깃든 것들의 알몸은 도무지 가만 있지 못하고 끊임없이 '이동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쪽에서 저 쪽으로, 내가 너에게, 시는 독자를 향해 담이라는 경계를 훌쩍, 뛰어넘어 그 틈을 지우려고 애쓴다.

그가 보내는 <戀書>를 읽어보면 '타지 않는 글자가 있다 재가 되기 직전 까만 종이 위로 마지막까지 몸을 떨며 하얗게 떠오르는 글자들'이 있다. 그 글자들은 사랑이다. 사랑의 몸이다. 타지 않는 글자로 남아 마지막까지 그 몸을 떨며 하얗게 떠오른다. 타오른다. '몸의 말'이다. 그것이 황홀이다.

정진규의 말대로 '몸'과 의논할 때, 사물들의 몸, 자연의 몸, 소리들의 몸은 딱딱하게 굳은 관념의 껍질을 깨고 일어나 나태한 우리의 뺨을 후려치며 '옷을 갈아입고' 시로 되살아난다. 우리는 그 순진무구한 몸들과 열심히 놀 줄 알아야 한다. 똑똑한 머리로는, 굳어버린 관념으로는 아무 것도 낯설게 하지 못한다. 길들여지는 것만큼 무서운 것은 없기 때문이다. 여기 그 깨어나는 소리를 들어보자.

그 깨끗한 소리들의 사이로 지나가 보자
정갈해질 것이다
사이들과 놀자 아무것도 섞지 않은
온전한 알몸의 소리를 듣는
황홀과 놀자
이젠 잘 들을 수 있다

- 耳順 중에서

그러고 나면 우리도 벼락맞아 검게 그슬린 미국 요세미티 숲 천 년 나무들이 실은 천년을 기다리다 목이 마르고 속이 타 제 몸의 수소와 산소를 다 바닥내 숯이 되어버렸다는, 그리하여 부처님 眞身舍利 한 顆 씩을 모시고 사는 寂滅寶宮이 되었다(金剛經講解)는 정진규라는 아이의 뻔뻔스런 거짓말을 믿을 수 있을 것이다.

'내가 만나는 황홀들은 늘 도둑같이 왔다 담장을 넘어왔다(황홀-알13)' 이번 정진규 시집에 그 도둑이 다녀가셨다. 그렇다. 깨달음은 언제나 갑자기, 그렇게 도둑처럼 담을 넘어온다. 황홀하다. 내 몸 속 벼락이여. 나도 그 벼락 한 번 맞아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알시 세계사 시인선 77
정진규 지음 / 세계사 / 1997년 8월
평점 :
품절


이제 詩를 읽으면서 울게 되는 일은 잘 없다. 더이상 詩가 노래가 아닌 것처럼 눈물이 아니라 얼마나 충격적인가, 로 現代詩의 문학성을 따져야 할 지도 모른다. 그런데 나는 딱 한 번 詩集의 군데군데가 올록볼록 엠보싱 처리가 되도록 울어본 적이 있는데, 바로 그 詩集이 정진규의 <알詩>이다.

'눈물은 젖은 슬픔의 몸이 아니다 가장 슬플 때 사람의 몸은 가장 둥글게 열린다 알로 돌아간다 젖은 핵이다 가장 둥글다 눈물은… 새들이 울고 있다고 말한 우리 말은 아주 뛰어난 나의 母國語다 노래는 울음이다 최초의 말이다 둥근 알이다 처음 태어날 때 우리는 누구나 울었다 최초로'(알16)'

노래를 잃어버리면서 우리는 詩 속에서 울음 또한 잃어버린 건지도 모르겠다. 그렇지만 아직 정진규는 포기하지 않고 '거기에 있거라 둥글다를 이 최초를 들고 오늘 내가 너에게 간다'라고 감히 말하고 있으니 이 얼마나 사랑스러운 분인가.

무엇보다 그의 詩는 참 재미나다. 알詩연작에서 더욱 그러하다. 漢詩의 옛스러운, 멋스러운 맛을 은은히 품고 있으면서도 또한 그 누구보다 먼저, 부지런히, 첨단의 언어를 발걸음도 또박또박 걸어가고 있다.

플러그 공장을 차려 '그대들의 몸에 그걸 꽂기만 하면 좌르르르 빛의, 욕망의 코인들이 쏟아져나오는 슬롯머신! 햇빛기계! 플러그를 빼앗기고 모두 정전상태가 되어 있는 어둠들에게 폭력을 쏘는 폭력! 폭력의 대부가 되리라 마음먹었다'라는 '플러그-알2'詩를 보자. 그의 말대로 얼마나 '뒷자리가 깨끗한' 표현인가, 훔쳐서 나 또한 남들에게 마구마구 쏘고 싶을 정도이다.

게다가 그의 詩는 무척 관능적이다. 그는 '옷 입고 오는 비를 나는 본 적이 없다 처음부터 젖어있는 알몸이기에 그는 따로 젖을 필요가 없다 갈아입을 필요가 없다(옷-알26)'라고 말하고 있다. 처음부터 우리의 몸이 알몸이었기 때문이다. '얼음 밑에다 알몸을 가둔 알몸(얼음낚시-알3)'이었기 때문이다.

그 관능은 자연스러우며 환경친화적(?)인 에로티시즘이다. 詩의 효용적 기능이 바로 이 '관능의 에너지'로 그는 '우리가 흘리고 있는 사랑들 알게 모르게 흘리고 있는 헤픈 사랑들 알도 슬지 않은 채 떠나가버린 사랑들 그것들을 모두 저장할 수만 있다면 정말 슈퍼 에너지가 될 것이다(헤픈 사랑-알37)', 그리고 詩 속에 바로 그 관능의 에너지, 관능을 모은 슈퍼 에너지가 들어있을 것이다, 라고 말한다. 詩는 힘이 세다.

이처럼 밝고 환한 정진규의 <알詩>를 읽을 때 마다 내 '몸의 어둠들이 또록또록 눈을 뜨(알22)'는 기분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상쾌하다. 정말 기분 좋은 詩集 중의 하나라고 감히 말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