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머니 집에서 보림어린이문고
이영득 지음, 김동수 그림 / 보림 / 200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줄곧 도시에서만 살아온 우리 아이들은 시골의 생활을 동경한다. 원래 도시에 사시는데 잠시 시골에 살았던 적이 있는 할아버지 댁을 방학 때마다 방문했던 경험이 좋았던지, 그 때 기억을 자주 이야기하곤 한다. 그나마 초등학교 1학년인 작은 아이에게는 그 기억도 이제는 가물가물해진 듯 하다.

  책 표지를 보니 "할머니 집에서"라는 책 제목이 아이가 쓴 글씨로 적혀 있다. 그림도 마치 아이가 그린 듯 슬며시 웃음이 나온다. 내가 읽기 전에 아이에게 먼저 읽어보라고 건네주었더니 열심히 읽는 품이 너무 예쁘다. 1학년이라 아직 글이 많은 책은 읽지 못하는 편인데, 힘들면 그만 읽으라는 엄마의 말을 뒤로 하고 끝까지 다 읽는 모습에 흐믓하기만 하다.

   어떤 이야기가 가장 생각이 나느냐고 물으니 상구 이야기를 한다. 상구가 솔이에게 뭘 던졌는데, 그게 사실은 솔이가 좋아서라고... 아이의 눈에는 같은 아이들의 이야기가 가장 인상적인 모양이다.

  아이가 읽은 후 나도 책을 읽어보았다. 생각한 것보다 더 재미있다. 아직도 그림책을 주로 읽는 우리 아이가 왜 끝까지 내리 읽었는지 이해가 된다. 1, 2학년 권장이라는 이 책의 단계가 잘 설정되었다는 생각도 든다.

  이 책의 화자인 솔이는 첫머리에 "나는 할머니는 좋은데 시골은 싫어요"라고 말한다. 나 또한 그렇다. 도시 생활에 익숙해지고 길들여져서 그런지, 어른인 나도 시골은 불편하게 느껴진다. 그런데 나에게도 솔이처럼 "내 감자"가 생긴다면 어떨까? 시골은 심심한 곳이 아니라 내게 활력을 불어넣는 새로운 곳이 될 것 같다. 아직 한번도 두더지를 본적이 없는 나로서는 감자밭을 파헤치는 두더지를 뒤쫓아 다니는 솔이에게 "두더지 보니 어떻든?" 묻고 싶어진다. 주렁주렁 열린 자주감자를 거두는 솔이의 모습에서 농부의 마음을 보게 된다.

  솔이의 행동은 참 예쁘다. 감자를 들고 두더지에게 이거 하나 갖고 가라고 외치고, 호박이 할머니 말 알아듣든다는 말에 콩과 옥수수에게 잘 자라라고 말을 건네는 솔이. 영락 없이 어린이의 모습이고, 예쁘게 따라 하고픈 모습이다.

  솔이와 동무과 되고픈 마음을 망개를 던져 반대로 표현한 상구 또한 영락 없는 어린아이. 바늘에 실을 꿰어 망개 목걸이와 팔찌를 만드는 모습이 시골의 여유와 풍요로움을 엿보게 한다. 우리 아이가 가장 인상적이라고 꼽은 것에는 다 이유가 있었다. 당장 그림처럼 망개 목걸이를 만들어 보잔다. 그래, 우리 시골에 가서, 안되면 뒷 산에라도 가서 만들어보자꾸나. 그리고 서로 목에 걸어주자꾸나.

  도시로 돌아가는 솔이에게 방금 낳은 알을 건네주는 따듯한 상구의 마음은 바로 시골의 마음, 자연의 마음이 아닐까. 나도 아이의 손을 잡고 할머니 집에 가고프다. 망개 목걸이 만들어 쓰고, 산으로 들로 뛰다니며 메뚜기도 잡을까. 그리고 내 감자, 한번 꼭 키워보자꾸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