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를 품은 책 자산어보 나의 고전 읽기 1
손택수 지음, 정약전 원저 / 미래엔아이세움 / 2006년 3월
평점 :
절판


정약전의 <자산어보>라. 역사책 속에서 실학자의 이름과 짝지은 책 제목 정도 이상의 지식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정약전에 대해서는 정약용의 형이요, 정조 사후 천주교 박해로 귀양살이를 했던 실학자로 알고 있었으나, 그가 어떻게 하여 어류에 관한 책을 쓰게 되었는지 그 내용은 어떤 것이었는지 구체적으로 알지는 못했다.

바다를 품은 책 자산어보는 정약전과 자산어보에 대한 이해와 함께 우리의 조상들이 가지고 있던 바다와 생명에 관한 관점도 함께 소개하고 있다. 정약전은 흑산도에서 유배생활을 하면서 자산어보를 저술하였다. 그가 직접 보고 경험한 것들, 그리고 섬 주민들과 특별히 지식이 많은 소년 창배에게 들은 것들을 망라하여 어류의 생김새, 크기, 성격, 쓰임새 등을 기록하였다. 다양한 방식의 묘사와 서술은 그림으로 보는 것보다 더욱 생생하게 다가왔고, 풍부한 이야기 꺼리와 여러 모로 생각할 여지를 담고 있었다.

특히 상어와 고래를 대함에 있어 포용적이라고 할 수 있는 우리의 관점과, 공포와 위협의 존재로만 여긴 서양의 시각을 대비한 부분이 인상적이었다. 아무 짝에 쓸모없는 동물로 알려진 불가사리에 대해서도, 어부들에게 기상을 예보하는 역할을 했다는 말을 전한다. 이것이 바로 그것이 자연과 인간에 대한 관점 차이가 아닐까? 흑산도 앞바다에 성하던 귀신 고래가, 제국주의의 침략과 함께 무자비하게 포획되어 지금은 씨가 말려졌고 그야말로 '귀신'이 되었다는 저자의 지적은 날카롭다.  

책을 읽어보니, 이 책의 제목이 왜 "자산어보" 앞에 "바다를 품은 책"이라는 수사가 붙어 있는지 알 수 있었다. 자산어보에 실려있는 어류의 소개 글을 부분적으로나마 읽는 재미가 제법 쏠쏠하고, 저자가 소개하는 오늘날의 시와 수필 한토막과 함께 읽는 맛도 새롭다. 밥상에 흔히 오르는 김, 미역, 조기 등에 대한 부분은 더욱 맛있게 읽혔다. 불가사의하다는 불가사리, 붓을 찍어 글씨를 쓸 수 있었다는 오징어 먹물, 썩어야 먹을 수 있는 홍어 이야기도 흥미롭다.

생동감있게 그려낸 몇 장면의 어류 그림들이 생생한 분위기를 더하는데, 그린 이들의 이름이 책 표지에서는 발견할 수 없고, 책장 마지막에서야 등장하는 것은 약간 아쉬웠던 점. 양장본이지만 무게감을 거의 느끼지 못할 정도로 가벼워서 가방에 넣고 다니면서 읽기에도 좋다.

 지난 6월 초, 국제도서전시회에서 운좋게도 저자와 사진 한장을 찍을 수 있었다. 이 책이 어렵다면서도 조금씩 읽어가고 있던 우리 아이, 바로 그 책의 저자를 직접 보게 되니 매우 놀라워하면서도 기뻐한다. 시인으로 새로운 시집을 내놓은 저자, 상당히 젊고 멋진 미소가 가득한 얼굴의 사나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