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의 해석, 감춰진 인간 정신의 숨은그림찾기 청소년 철학창고 14
지크문트 프로이트 지음, 안병웅 옮김 / 풀빛 / 200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신 분석의 대가로 알려져 있는 심리학자 지그문트 프로이트. '무의식, 전의식, 의식'이라든가, '이드, 자아, 초자아'와 같은 유명한 개념은 대학에서 공부했던 기억이 어렴풋하게 난다. 오이디푸스 컴플렉스는 너무도 유명한 이야기. 그러나 그의 저서를 읽어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것도 프로이트의 초기 저작이며 가장 유명한 [꿈의 해석].

   프로이트의 나이 44세인 1900년에 출간된 [꿈의 해석]은 그의 연구 성과 중에 전기에 해당하는 시점의 저작이다. 꿈에 주목하여 의식의 세계를 설명했고, 연구자로서의 후기에는 자아 개념과 죽음의 본능에 대한 연구가 전개된다. 프로이트 연구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는 이 책은 초판 600부가 모두 팔리기까지 9년이 걸렸고, 심리학계의 바깥에서는 물론 안에서조차 엄청난 비판에 직면했다고 한다.

   "나는 꿈을 해석할 수 있는 심리학적 기술이 존재하며, 이 방법을 적용해서 모든 꿈이 낮 동안의 정신 활동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증명하려 한다."  

   이렇게 시작되는 [꿈의 해석]은 꿈의 해석 방법, 꿈의 목적과 출처, 꿈의 여러 특징들이 소개되는데, 여러가지 다양한 꿈의 해석 사례가 또한 실려있다. 책을 읽고 나서 책의 말미에 설명된 소개를 나중에 읽었다. 저자와 책 소개를 읽으니 비로소 고개가 끄덕여진다. 사실 책을 읽으면서 꿈에 대한 프로이트의 설명은 어느 정도 공감할 수 있었으나, 책에 실린 수많은 사례들에 대해서는 과연 그럴까? 하는 생각이 자주 들었다.

  신경증 환자를 치료하면서 프로이트는 '최면술' 대신 '자유연상법'을 적용해보고 정신 분석에 있어서의 효과를 확신하게 된다. 자유롭게 꿈에 대해 설명하게 함으로써 환자의 정신 세계를 파악할 수 있다고 믿었던 프로이트. 스스로의 꿈도 그러한 방식으로 분석하고 유명한 문학 작품에도 그러한 접근을 해본다. 그러나 딱부러진 과학적 근거나 논리는 발견할 수 없어서 읽는 이를 곤혹스럽게 만드는 점이 있다. 백년전 이 책에 가해진 수많은 비판은 바로 나의 생각과 일치했던 걸까?

   그러나 그의 꿈에 대한 주목과 해석은 돋보이지 않을 수 없다. 그에 따르면, 꿈은 소망을 충족하기 위한 것이며 왜곡되어 나타난다. 꿈은 어린 시절과 연관되어 있으며, 전형적인 꿈이 있다. 꿈은 마음의 상태를 보여 주며, 꿈을 통해서 무의식의 세계에 들어갈 수 있다. 이 책의 역자에 따르면 꿈이란 '인간의 내면으로 들어가는 문'. 이러한 꿈의 특성과 꿈을 해석하는 기법을 제시함으로써 프로이트는 심리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인간의 무의식과 성의 욕구에 대한 발견은 심리학 뿐만 아니라 다른 학문 분야에서도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또한 그에게 제기된 비판은 곧 새로운 연구를 촉발하는 힘으로도 작용했을 것이니, 그의 연구는 긍정적으로나 부정적으로나 기여한 바가 있다고 본다. 

   원전의 틀을 유지하면서도 쉽게 풀어쓴 책이라 읽기는 어렵지 않다. 단 머리로 이해되지 않는 부분들 때문에 간혹 멈추게 되는 일은 생긴다. 그러나 그동안 프로이트의 연구 결과를 몇가지 개념과 이야기로만 단편적으로 알고 있었던 것에 비해, 이 책을 읽음으로서 좀더 폭넓은 이해가 생겼고 그의 연구 전체를 거시적으로 조망하는데 도움이 된 것은 틀림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