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진 기자의 블로그를 다녀왔다. 한때는 나도 필력있는 그 누군가처럼 글 쓰게 되길 바랐던 적이 있었다. 그들이 읽은 책을 따라 읽으려 하고 그들이 가진 관점을 내 것인 것마냥 읊조린 적도 있었다. 이동진 기자의 블로그에 댓글을 남긴 사람들을 보면 그때의 기억이 떠오른다. 내 생각과 비슷하다며 애써 권위자와 스스로를 동일시 하려던 어린 모습, 나와 다른 생각을 보면 나의 부족함을 우선 책망하는 자신감이 결여 된 모습. 내 생각이란 숫제 교열 받을 준비가 된 발로 쓴 교과서 같은 것이고 그 분의 생각이야 말로 사표로 삼을 국정 교과서라는 생각. 조금 아닌것 같다는 생각이 들면 내 목소리를 내거나 고민을 했어야 했는데 그러지 못했다는 생각에 불현듯 아쉬움이 든다. 영화 '과속 스캔들'에 대한 이동진 기자의 평점에 동의하는 댓글은 예전에 느꼈던 아쉬움을 현재로 치환시킨다. '기자님과 저는 생각이 비슷한 것 같아요'라는 글은 글쓴이가 자신의 생각을 기자와 맞췄다는 생각이 들게한다. 지적 허영의 표출이다. 이동진은 문화권력 이니까. 아님 말고.
소크라테스는 자신이 남들보다 유식하다고 생각했다. 본인의 부족함을 아는 소크라테스이기에 자신의 부족함을 모른 채 젠체하기 바쁜 그리스인들보다 유식하다고 본 것이다. 자신이 부족한 지 모른 채 타인의 사상을 좇으며 그의 생각이 마치 자신의 것인냥 여기는 헛똑똑이들. 그러한 점을 지적이라도 할라 손 치면 십중팔구는 이런 반응을 보인다. 내 생각은 오롯이 나의 것이라며 등기부 설정이라도 해 놓은 듯한 그 결연한 확신으로 애써 지적해 준 사람을 무안케 한다. 넘사벽을 절감케 하는 순간이다. 그냥 본인의 부족함을 인정하고 '아직 배우는 단계라 잠시 타인의 의견을 임차했을 뿐이니 너무 지적마시게나'하면 본인의 생각을 갈고 닦고 타인과 소통을 증진하는데 도움이 될 터인데. 안타깝다. 다들 자기계발이다 뭐다 하며 발전을 추구하지 않는가. 발전을 하려면 스스로를 객관화 해야 한다. 그러려면 소크라테스의 말처럼 너 자신을 알아야 한다. 이것이 내생각인지 남의 생각인지는 알아야 한다는 거다. 하늘 아래 완전히 새로운 것은 없듯 내 생각이라는 것 또한 이런저런 생각의 집합체일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그래도 자기화된 생각만큼은 오리지널리티를 주장할 수 있지 않겠는가.
한마디 덧붙이자면 과속스캔들은 좋은 영화다. 이동진이 말한 '재치의 부스러기'나 '공장느낌이 나는 코미디'는 좀 과하다. 내게 이 영화는 이음새가 매끈하고 매력이 넘치며 적당히 영리한 영화로 다가온다. 리얼리티에 신경을 쓰고 봤다면 영화를 잘못본 것이다. 개연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 직전에 넘어가는 유연한 극적 흐름을 보라. 장르적 클리셰로 빠질만한 부분도 잘 벗어났다. 과하지 않은 웃음을 주고 시나리오에 고민한 흔적이 많이 보인다. 그렇게 허술하면서도 쉽게 이야기를 진행시킨 것도 아니다. 왜 평론가 사이에나 통할 예술적 잣대를 들이대는가. 아마츄어 같이.. ㅎ.